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869
발행년 : 2017 
구분 : 학위논문 
학술지명 : 학위논문(석사)-- 성균관대학교 일반대학원 : 제약산업학과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T14441216 


위험분담계약제도(risk sharing arrangements) 도입 전후 국내 고가 의약품 급여 접근성 비교 : 항암·희귀질환 약제를 중심으로


Comparison of accessibility of domestic high price medicine to covered charge by insurance before/after risk sharing arrangements : focusing on anticancer medicine · rare disease medicine



  • 저자 : 김정주
  • 형태사항 : 59 p. : 삽화 ; 30 cm
  • 일반주기 : 지도교수: 이재현참고문헌 : p. 54-56
  • 학위논문사항 : 학위논문(석사)-- 성균관대학교 일반대학원 : 제약산업학과 2017. 2
  • 발행국 : 서울
  • 출판년 : 2017
  • 주제어 : 위험분담계약제도, 경제성평가 면제제도, 접근성, 협상생략제도, 급여



  • 초록

우리나라는 전국민 단일 건강보험제도를 도입한 이래 보편적이고 형평성 있는 의료보장의 제도 기반은 마련하였지만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회원국 대비 낮은 보장률은 도전과제로 인식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 위험분담제도(Risk Sharing Arrangements) 도입 이후 암과 희귀질환을 주 타깃으로 한 고가 의약품들의 보험급여 등재 현황을 조사하고 등재까지 걸리는 소요시간을 산출하여 급여 접근성 향상을 비교․분석하였다. 위험분담제도 이후 암과 희귀질환을 타깃으로 한 고가 신약들의 급여 접근성을 높이기 위해 도입된 유사 성격의 특례제도인 경제성평가 면제제도와 신약 접근성 향상을 높이기 위해 도입된 약가협상 생략제도를 함께 비교·분석 하였다. 보건복지부 건강보험정책심의위원회 심의․의결 자료 기준으로 위험분담제도 시행 이후에 등재된 신약은 총 94개 성분이었고, 위험분담제도만 채택해 신약 등재 트랙을 밟은 약제는 총 7개 성분이었다. 위험분담제도가 도입된 이후 유사제도 트랙을 밟은 약제 성분 수는 총 41개로서 이 중 경제성평가 면제 트랙을 밟은 약제는 5개, 약가협상 생략 트랙을 밟은 약제는 36개였다. 분석 결과 위험분담제도 트랙만 이용한 약제 중 처음부터 이 트랙을 밟아 등재된 약제(1품목)는 최초로 급여 등재를 신청한 날부터 등재까지 389일이 소요되었다. 일반 트랙으로 등재 신청을 하였다가 비급여 판정을 받거나, 등재신청서를 일반 트랙에서 위험분담제 양식으로 바꿔 재신청해서 등재에 성공한 약제는 총 6품목으로서, 최초 급여신청일부터 재신청일까지 소요시간은 평균 831일(중간값 583일), 재신청일부터 등재까지 286일(중간값 319일) 소요되는 것으로 나타나 재신청일부터 등재까지의 소요시간이 현저히 짧았다. 경제성평가 면제제도만 이용해 등재된 약제는 총 3개 성분으로서, 이 중 처음부터 이 트랙을 밟은 2개 약제는 최초 등재 신청일부터 등재까지 평균 321일(중간값 동일) 걸렸다. 일반 트랙으로 급여 신청을 하였다가 비급여 판정을 받은 뒤 경제성 평가 면제 트랙을 이용해 급여 등재된 약제는 1품목이었다. 이 약제의 최초 등재 신청일부터 재신청일까지 소요시간은 554일, 재신청일부터 등재까지 소요시간은 368일 걸렸다. 경제성평가 면제제도와 위험분담제를 혼합 트랙을 밟은 약제 중 처음부터 이 트랙을 밟은 약제(1품목)의 최초 급여신청일부터 등재일까지 285일 소요됐고, 비급여 판정을 받은 후 이 트랙을 이용해 등재된 약제(1품목)의 최초 등재 신청일부터 재신청일까지 소요시간은 467일, 재신청일부터 등재일까지 215일 소요된 것으로 나타나 위험분담제 트랙과 경제성평가 면제 트랙만 이용한 약제들과 같은 양상을 보였다. 위험분담제와 경평면제 트랙을 채택한 약제들 중 처음부터 해당 트랙을 이용해 등재된 약제들의 등재 최초 신청일부터 등재일까지 걸리는 소요시간은 재신청한 약제들의 재신청일부터 등재일까지 걸리는 소요시간(중간값)과 매우 흡사한 공통점이 있었다. 이는 비록 산출 기준은 다르지만 협상생략 트랙을 이용한 약제들 중 제도 이후 허가받은 약제들의 허가일부터 등재일까지 걸리는 평균 소요시간(중간값)과 제도 이전에 허가받은 약제들의 제도시행일부터 등재일까지 걸리는 평균 소요시간(중간값)이 유사하다는 특징과도 공통적인 현상이어서, 각 제도들이 약제 접근성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고 있다는 해석을 가능하게 한다. 본 연구를 수행함에 있어서 제도 시행이 2~3년에 불과한 한계로 적용되고 있는 약제 성분 수가 적어서 분석에 한계가 있었다. 다만 대상 케이스와 사례가 적은만큼 분석 단위는 케이스를 추출한 것이 아닌 전수(全數)이기 때문에 그만큼의 가치가 있고 할 수 있다. 또한 약제급여평가위원회 공개 정보가 제한적이어서 위험분담제도와 경제성평가 면제 트랙을 밟은 약제를 제외한 나머지 의약품들은 등재 신청일을 기준으로 삼지 못하고 식약처 시판허가일로 산출했기 때문에 전체적으로 통일적인 산출에 한계가 남아 있다.


  • 목차


제1장 서론 1

제1절 연구 배경 및 목적 1

제2장 문헌고찰 4

제1절 선행연구 검토를 통한 제도의 정의 및 유형 4

1. 위험분담제도의 출현 배경과 정의 4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6
489 9 보건의료 병원 외래고객 만족도 평가의 의료서비스 최적화 방법 적용 / 지은희 외 2017  157
488 9 보건의료 의료소비자 권리보호법제의 문제점과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 최상기 2018  157
487 9 보건의료 바이오 헬스케어 분야 국가연구개발 특허성과 네트워크 분석 / 권영은, 김재수 2018  157
486 9 보건의료 의료 광고 상황에서 관계적 규범에 따른 효과적인 가격 프로모션 전략 / 김재휘 외 2015  156
485 9 보건의료 국민건강보험법의 발전과정과 법정책적 과제 / 조형원 2007  155
484 9 보건의료 건강보험급여구조와 비급여 관리 / 지영건 외 2017  155
483 9 보건의료 고혈압 환자의 삶의 질 영향요인 및 측정도구에 대한 체계적 문헌고찰 / 장선주 외 2017  155
482 9 보건의료 의료민영화와 안경원 법인화에 대한 서울지역 안경사들의 인식도 비교 조사 연구 / 강수지 외 2016  155
481 9 보건의료 의료감정(鑑定)에 있어 포괄성에 대한 고찰/윤성철 2014  153
480 9 보건의료 인수공통성 병원체 중증열성혈소판감소증후군 바이러스(SFTSV) / 신성식 2013  152
479 9 보건의료 의료광고에 대한 규제현황 및 개선방향 / 김한나, 김계현 2017  152
478 9 보건의료 역량 중심 접근법에 입각한 의료 정의론 연구 : 노만 대니얼즈의 논의를 넘어서 / 목광수 2014  152
477 9 보건의료 말기암환자에서 통증 외 증상의 관리: 최신 NCCN(National Comprehensive Cancer Netweork) 권고안을 중심으로 / 이혜란 2013  152
476 9 보건의료 지문인식을 이용한 진료등록시스템에 관한 연구/백종현 이동훈 2018  151
475 9 보건의료 영상정보학: 인공지능-빅데이터-데이터 과학 시대의 영상의학을 위한 새 지평 / 김종효 2019  151
474 9 보건의료 인터넷상의 치과 및 의과 과대광고 사례 분석 : 의료광고 심의제도를 기반으로 / 김종훈 2015  150
473 9 보건의료 생체신호 기반 바이오인식 시스템 기술 동향 / 최규호 2017  150
472 9 보건의료 치매의 임상적 접근 / 이동국 2013  150
471 9 보건의료 의료기관 홈페이지의 합리적 관리방안 / 박경라 2013  149
470 9 보건의료 민간보험 도입 후 개원의사들이 느끼는 진료환경의 변화/이성원 외 2015  14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