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869
발행년 : 2016 
구분 : 학위논문 
학술지명 : 학위논문(석사) -- 연세대학교 보건대학원 역학전공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T14172790 
한국 성인 HIV 감염인구 추계와 역학적 특성

Estimation of HIV infection and epidemic attributes in Korea, 2015 

  • 저자 : 김민우 
  • 형태사항 : vi, 56장 : 삽화 ; 26 cm 
  • 일반주기 
  • 지도교수: 김희진 
  • 학위논문사항 : 학위논문(석사) -- 연세대학교 보건대학원 역학전공 2016.8 
  • 발행국 : 서울 
  • 출판년 : 2016 
  • 주제어 : HIV, AIDS, 감염인구 추계, HIV estimation, epidemics, mode of transmission, UNAIDS

초록

배경 및 목적 : HIV/AIDS 감염자의 수와 경향을 파악하는 것은 감염 인구집단에 대한 보건 정책 및 예방과 치료 활동을 위한 기초적인 역학 자료이나, 질병의 특성상 정확한 감염인의 수를 파악하는 것이 불가능하다. 국내에 보고된 HIV 감염인의 수는 내국인의 HIV 검사율을 고려할 때 실제와 차이가 있을 것으로 추정되며, HIV 감염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진 고위험 행태를 바탕으로 현재 국내 성인 인구의 HIV 감염 규모를 추계하고자 한다. 연구 방법 : 최근의 HIV 감염 고위험 행태를 문헌 고찰을 통해 역학적으로 재해석하고, 한국 성인 인구집단(WHO 기준: 15 – 49세)을 대상으로 인구정보와 주요 HIV 감염 위험 요인을 통계 모델에 대입하여 HIV 감염 인구를 추정하였다. 예측 모델은 UNAIDS에서 개발한 MoT(Mode of Transmission)을 사용하였다. 연구 결과 : 2015년 국내 성인(15-49세)의 HIV 감염인구 규모는 약 19,485명(10,913-33,180명)으로 추정되었다. 국내 HIV의 전파는 모두 성접촉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으로 보이며, 주요 전파 경로는 남성 동성간의 성접촉으로 추정된다. 성별로는 남성이 99%를 차지하였다. 남성 동성간의 성접촉시 콘돔 사용률이 14% 증가할 경우 약 25.3%의 감염인구 감소 효과가 있을 것으로 추정되었다. 결론 : 국내 HIV 감염인의 수는 계속적으로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며, 성접촉이 주요한 원인으로 작용할 것이다. 보호된 성접촉(콘돔 등)의 비율을 높이고 고위험 행태를 개선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하여 보건 관점에서의 전략적 접근이 필요하다. 또한 HIV 감염 고위험군을 모니터링하고 치료의 영역이 확대될 수 있도록 지속적인 연구 조사가 필요하며, 고위험 행태와 임상에서의 체계적인 데이터 확보는 현재와 미래 감염에 대한 예방 전략을 위하여 필요하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6
749 9 보건의료 유방암 생존자의 정서 접근적 대처, 정서 억제, 내면의 힘에 따른 외상 후 성장 / 김미영 2019  62
748 9 보건의료 Evaluating the Legitimacy of Contemporary Legal Strategies for Obesity 2015  63
747 9 보건의료 바이오메디컬 데이터를 활용한 치매에 대한 총체적 이해 / 신현정 2016  63
746 9 보건의료 입원환자의 위급 상황 시 위치추적이 가능한 웨어러블 헬스케어 디바이스 디자인 개발 방향에 관한 연구 / 나한범, 장영주 2015  63
745 9 보건의료 개인 맞춤형 의료 연구 동향 / 이선원 외 2011  63
744 9 보건의료 공공보건의료체계 발전 방안에 대한 상대적 중요도 분석 / 김유호 2018  63
743 9 보건의료 의료행위의 정당화와 면책가능성 / 임상규 2019  63
742 9 보건의료 보건의료의 위기와 한국 건강보험의 뉴 패러다임 선택 / 김명희 2014  64
741 9 보건의료 건강기능식품의 기능성 전달기법에 대한 소비자 인식조사 2014  64
740 9 보건의료 중동호흡기증후군 대응 참여자의 경험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전진아 외 2018  64
739 9 보건의료 의료정보정책 및 디지털헬스의 국제동향, 18.02.19~20, 호주 캔버라 - / 최솔지 외 2018  64
738 9 보건의료 의약품 관리정책과 소비자권익 확보방안 - 주사제 관리체계의 개선 - / 문상혁 2018  64
737 9 보건의료 의료광고에 대한 과잉규제의 문제점과 그 개선방안 / 이정선 2011  65
736 9 보건의료 국민건강과 올바른 의료제도 확립을 위한 2016년 보건의료 주요 현안 2016  65
735 9 보건의료 공공기관 생성 건강정보활용 활성화 방안 연구 : 일개 공공기관의 자료를 바탕으로 / 이도화 2015  65
734 9 보건의료 만성질환자에서 상용치료원의 유무가 건강행태에 미치는 영향 연구 / 윤완중 2014  65
733 9 보건의료 의약품의 안전정보 제공을 위한 국가의 역할 / 김재선 2013  65
732 9 보건의료 의료정보 프로그램에서의 방송 허용범위에 관한 법적 고찰 / 정순형 2019  65
731 9 보건의료 바이오헬스산업과 의약품 접근권 -바이오의약품 자료보호에 대한 최근 논의 / 박대웅, 이주하 2016  66
730 9 보건의료 의료광고에 대한 태도가 의료기관 이용의사에 미치는 영향 : 종합병원의 외래환자를 대상으로 / 한수연 2009  6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