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869
발행년 : 2017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Crisisonomy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103481870 

예외적 보건 위기와 위기 상황의 차단 - 프랑스 감염병 관리 및 위기 대응 체계를 중심으로-= Exceptional Health Situation and Crisis Avoidance - Focusing on the Infectious Disease Emergency Preparedness and Response System in France -

 

 http://www.riss.kr/link?id=A103481870

  • 저자명 박혜미(Haemi Park) ,김대중(Daejung Kim)
  • 학술지명 Crisisonomy
  • 권호사항 Vol.13 No.8 [2017]
  • 발행처 위기관리 이론과 실천
  • 발행처 URL http://www.cemtp.re.kr
  • 자료유형 학술저널
  • 수록면 1-14(14)
  • 언어 Korean
  • 발행년도 2017
  • KDC 350
  • 주제어 위기 관리 ,위기 차단 ,감염병 위기 ,프랑스 지방보건청(ARS)crisis management ,crisis avoidance ,infectious disease,France ARS(Regional Agency of Health)

 

 

  • 초록

위기 상황은 어떤 의사결정을 통해 어떤 관리전략을 세우느냐에 따라 다른 결과를 가져올수 있으므로 예외적 보건위기 상황에서의 대응체계를 시스템적 관점에서 파악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감염병이 대유행과 같은 위기로 전이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해 고려되어야 하는 요인들을 프랑스의 감염병 관리와 위기대응 체계를 통해 살펴보았다. 프랑스의 감염병 관리는 중앙에서 의사결정을 내리고, 지역에서 정보를 수집하고 대응하는 이원체계가 확립되어 있는 것이 가장 큰 특징이다. 의료 기관과 지역사회에서 발생하는 감염병 발생 신고는 각 지역의 ARS에서 수집이 되고, 위기경보 발동시 ARS를 중심으로 대응에 나서고 있다. 위기 발생 시를 대비하여 지역 내 보건의료분야 위기 대응 매뉴얼(Orsan)이 준비되어 있고, 일선의 의료기관에서도 별도의 대응 매뉴얼(Plan Blanc)을 확보하고 있다. 이러한 시스템적 관점이외에 위기 증폭 차단을 위한 시스템 내 개별 기구들의 이기주의 극복, 시스템의 유연성 확보, 시스템에 대한 의미부여 활동과 의미 공유와 같은 조직적 또는 전략적 관점 에서의 접근도 필요함을 제시하였다.

 

 

  • 목차

. 서 론

. 위기 상황에서의 조직에 관한 이론적 배경

. 프랑스 감염병 관리 체계와 특징

. 결 론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5
469 9 보건의료 인터넷상의 치과 및 의과 과대광고 사례 분석 : 의료광고 심의제도를 기반으로 / 김종훈 2015  149
468 9 보건의료 보건의료정책 기반마련을 위한 공공데이터 활용 방안 연구 / 이은환 2016  149
467 9 보건의료 노인 건강증진을 위한 창의적 움직임 콘텐츠 개발과 U-헬스케어 모델 연구 2017  149
466 9 보건의료 사무장병원에서 민법상 의료계약의 적법성에 대한 검토/민국현 2018  149
465 9 보건의료 일개 응급의료센터에서 전문의에 의한 fast track 운영의 효과 / 정진희, 배현아 2008  148
464 9 보건의료 원격의료의 법리와 실현 / 윤석찬 2015  148
463 9 보건의료 병원 내 간호사의 조제 보조행위와 약사법 개정 방향 / 현두륜 2015  148
462 9 보건의료 의료용 인공지능의 허가에 대한 비교제도론적 고찰 : 미국·유럽·중국·일본을 중심으로 / 오지현 2017  148
461 9 보건의료 BRICs 그리고 멕시코 vs. 우리나라의 의약품 인허가 규정 비교 연구/양지영 2016  148
460 9 보건의료 개정 의료법상 설명의무에 관한 비판적 고찰 / 현두륜 2017  148
459 9 보건의료 진료계약의 환자 측 당사자확정에 관한 소고 -제3자 진료요청행위의 해석을 중심으로-/박동진 2014  147
458 9 보건의료 최근 사례를 통해 본 (시술관련) 의료관련감염 / 이재갑 2018  147
457 9 보건의료 클라우드 환경에서 의료 빅데이터 활용 및 전망 / 한정수 2014  146
456 9 보건의료 의약품 허가특허연계제도의 도입에 따른 경쟁제한성 판단기준에 관한 연구 / 유신현 2015  146
455 9 보건의료 희귀 의약품의 현재 상황과 발전 방향 / 손영배 2013  146
454 9 보건의료 국내 헬스케어 빅데이터 현황과 신규 연구 방향 / 신수용 2017  146
453 9 보건의료 건강보험과 의료급여 노인환자의 의료이용량 / 이용재 2017  145
» 9 보건의료 예외적 보건 위기와 위기 상황의 차단 - 프랑스 감염병 관리 및 위기 대응 체계를 중심으로/ 박혜미, 김대중 2017  145
451 9 보건의료 의료 빅데이터를 활용한 질병 처방 예측 모델/고승완 외 2018  145
450 9 보건의료 인간면역결핍바이러스(HIV)에 감염된 의료인의 의료행위 규제 / 박창범 2018  14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