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175
발행년 : 2017 
구분 : 학위논문 
학술지명 : 한양대학교 : 노인복지학과 노인복지관리 2017. 8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T14541976 

일 요양병원 노인환자의 품위 있는 죽음태도와 사전의료의향서 작성 의향 = Attitude toward Death with Dignity and Intention to Use Advance Directives of the Elderly Patients in a Long-term Care Hospital



      • 저자

        이미숙

      • 형태사항

        68 ; 26 cm

      • 일반주기

        지도교수: 황선영

      •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석사)-- 한양대학교 : 노인복지학과 노인복지관리 2017. 8

      • 발행국

        서울

      • 언어

        한국어

      • 출판년

        2017

      • 주제어

        노인요양죽음사전의료의향서

      • 소장기관

        • 한양대학교 중앙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초록 (Abstract)
        • 본 연구는 요양병원 노인환자들이 품위 있는 죽음태도에 대하여 어떻게 생각하는지와 사전의료의향서 작성 의향에 관하여 파악하여 「호스피스․완화의료 및 임종과정에 있는 환자의 연명의료결정에 관한 법률」 시행을 앞두고 품위 있는 죽음준비 교육프로그램 개발과 의사결정에 도움을 주는 사전의료의향서 정착 및 활성화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본 연구의 목적을 위해 국가유공자가 주로 이용하는 서울 소재 400병상 규모의 요양병원에 입원 중인 65세 이상의 노인환자 중 의사소통이 가능하고 한국형 간이정신상태검사(K-MMSE) 점수가 20점 이상으로 인지기능장애가 없는 노인환자 125명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이용하여 일대일 면담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자료수집 기간은 2017년 2월 6일부터 3월 30일까지 시행하였으며, 연구도구는 조계화(2011)가 개발한 30문항의 한국 성인의 품위 있는 죽음태도 측정도구를 사용하였으며, 사전의료의향서 작성 의향은 1문항으로 측정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IBM SPSS Statistics 21.0 프로그램을 이용해 빈도와 백분율을 구했고, 평균과 표준편차, -test, t-test, ANOVA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요양병원 노인환자의 성별은 남자 64.8%, 여자 35.2%이었으며, 연령대는 71~79세가 44.0%로 가장 많았으며 평균 나이는 74.2세(±6.2)로 조사되었다. 학력은 고졸이 39.2%로 가장 많았으며, 배우자가 있는 경우가 80.0%이었다. 종교는 기독교가 34.4%로 가장 많았으며, 의료보장형태는 국가가 의료비를 지원해 주는 대상자가 58.4%이었다. 3개 이하의 만성질환을 가진 대상자가 44.0%이었으며, 병원에 입원한 경험이 4회 이하인 대상자가 46.4%로 가장 많았다. 주관적 건강상태는 ‘나쁘다’라고 응답한 대상자가 48.8%로 가장 많았고, 환자군 분류는 의료중도가 53.6%로 가장 많았다. 일상생활수행능력(ADL) 평균 점수는 32.04점(±8.84)으로 ‘약간의 도움’이 필요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2. 대상자의 품위 있는 죽음태도의 문항당 평균 점수는 4점 만점에 3.36점(±0.35)으로 나타났다. 문항별로는 ‘잠들 듯 편안하게 죽음을 맞이하는 것이다’(3.74±0.43점), ‘두려움 없이 기쁘게 죽음을 맞이하는 것이다’(3.64±0.53점) 순으로 높게 조사된 반면 ‘죽을 때 장기를 기증하는 것이다’(2.49±1.06점), ‘고통에서 벗어나기 위해 죽음을 선택하는 것이다’(2.77±1.01점) 순으로 낮았다. 대상자의 품위 있는 죽음태도에 대한 하부영역별 점수는 ‘자율적 의사결정’(3.44±0.52점), ‘사회적 관계정리’(3.41±0.39점), ‘역할보존’(3.32±0.47점), ‘정서적 안위유지(3.28±0.37점), ‘고통 없음’(3.12±0.66점) 순으로 조사되었다. 3. 대상자의 77.6%는 사전의료의향서를 인식하지 못하고 있었으며, 연구자가 제공한 자료 및 설명에 대해 이해했다고 응답한 대상자는 88.8%이었다. 설명 후 사전의료의향서 작성 의향이 있다고 답한 대상자는 70.4%이었으며, 사전의료의향서 결정방법은 ‘단독 결정’이 38.6%, ‘가족과 결정’이 61.4%로 나타났고, 사전의료의향서 작성 시기로는 ‘건강할 때’(35.2%), ‘말기 단계 진단 시’(20.5%) 순으로 응답하였다. 4.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른 품위 있는 죽음태도를 분석한 결과 종교 유무(t=2.61, p=.010) 및 의료보장형태(t=-2.04, p=.043)에 대해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품위 있는 죽음태도를 하부영역별로 살펴보면 ‘정서적 안위유지’ 영역에서는 종교 유무(t=2.14, p=.034)가, ‘사회적 관계정리’ 영역에서는 배우자 유무(t=2.75, p=.007), 종교 유무(t=2.36, p=.020), 의료보장형태(t=-2.03, p=.044)가, ‘자율적 의사결정’ 영역에서는 종교 유무(t=2.34, p=.020)가, ‘역할보존’ 영역에서는 배우자 유무(t=2.28, p=.024)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임상적 특성에 따른 품위 있는 죽음태도를 하부영역별로 살펴보면 ‘사회적 관계정리’ 영역에서는 입원기간(F=3.54, p=.032)이, ‘고통 없음’ 영역에서는 입원경험(F=3.43, p=.035)이, ‘자율적 의사결정’ 영역에서는 입원경험(F=4.02, p=.020)과 입원기간(F=3.30, p=.040)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5. 임상적 특성에 따른 사전의료의향서 작성 의향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입원기간(=7.844, p=.019)과 대상자의 주관적 건강상태(=9.129, p=.010)에 대한 사전의료의향서 작성 의향 간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6. 품위 있는 죽음태도의 하부영역 중 ‘자율적 의사결정’(t=2.73, p=.007)과 사전의료의향서 작성 의향 간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요양병원 노인환자는 품위 있는 죽음을 희망하는 정도가 강하며, 하부영역 중 ‘자율적 의사결정’ 점수가 가장 높은 것으로 보아 노인환자 본인의 가치관이 의학적 결정에 반영되기를 희망하는 것으로 여겨진다. 또한 사전의료의향서에 대한 설명에 이해가 큰 것으로 나타나 「호스피스․완화의료 및 임종과정에 있는 환자의 연명의료결정에 관한 법률」이 효과적으로 시행되기 위해서는 노인환자의 자기결정권에 기반 한 사전의료의향서 작성을 지원하는 다양한 형태의 교육프로그램이 요구되어진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8
75 8 환자 의사 관계 아동 주치의등록제에 대한 정의론적 접근 / 김준혁 2018  186
» 8 환자 의사 관계 일 요양병원 노인환자의 품위 있는 죽음태도와 사전의료의향서 작성 의향 2017  183
73 8 환자 의사 관계 의료행위 동의권자의 결정 ; 성년후견제 시행에 대비하여 / 현소혜 2012  182
72 8 환자 의사 관계 일개 종합병원 의료종사자들의 환자안전과 관련된 의료과오보고 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융합요인/강정미, 권정옥 2018  182
71 8 환자 의사 관계 의사윤리지침의 유용성, 한계, 구속성 / 유호종 2003  181
70 8 환자 의사 관계 의사에게 치료상의 과오를 설명할 의무가 있는가?/김민중 2014  176
69 8 환자 의사 관계 의사의 설명의무와 인신사고의 소멸시효에 관한 고찰 / 백경희 2017  175
68 8 환자 의사 관계 오스트리아 환자사전의사표시법(PatVG) / 이석배 2007  173
67 8 환자 의사 관계 선택진료제를 위반한 의료행위의 민사책임에 관한 고찰/백경희 외 2014  173
66 8 환자 의사 관계 보건의료정보 보호에 관한 법제 연구 / 이진영 2009  172
65 8 환자 의사 관계 개정된 의료사고 피해구제 및 의료분쟁 조정 등에 관한 법률 시행에 따른 의사의 진료행태 변화에 관한 연구 / 강유평 2017  169
64 8 환자 의사 관계 의료기기의 결함으로 인한 손해배상책임과 미국 연방법 우선 적용 이론에 관하여/김장한 2014  167
63 8 환자 의사 관계 의료기관 종사자들의 정보보안정책준수의도에 미치는 영향 / 김유록 2019  167
62 8 환자 의사 관계 인공지능을 활용한 의료행위와 환자의 법적 구제수단 - IBM Watson(왓슨)의 이용을 중심으로- / 이현경 2018  166
61 8 환자 의사 관계 보건의료분야 정보보호 및 정보화촉진체계 구축에 관한 연구 / 이은자 2010  161
60 8 환자 의사 관계 의사의 환자중심적 커뮤니케이션이 만성질환 환자의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 건강행동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이정선 외 2018  159
59 8 환자 의사 관계 의료계약에 있어서 비밀유지의무위반의 민법상 책임 / 김세준 2014  159
58 8 환자 의사 관계 병원간호사가 지각한 환자안전관리 중요성 인식, 환자안전문화 및 안전수행이 병원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 / 박미연 외 2018  156
57 8 환자 의사 관계 중국의 의료분쟁 조정제도 : 의료분쟁 조정제도 / 조도환 2005  155
56 8 환자 의사 관계 급성 충수염과 관련된 의료 소송 : 판례 중심의 의료법학적 접근 / 배현아, 노현, 장혜영, 정구영 2007  15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