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175
발행년 : 2016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법철학연구(Korean journal of legal philosophy)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102687162 
의료적 의사결정에서 자율성 능력 모델의 한계와 그 대안의 필요성
= Limitations and alternatives of autonomy competence model in medical decision making

                              

  • 저자명

    송윤진 ( Song Yoon Jin )                                            

  • 학술지명

    법철학연구(Korean journal of legal philosophy)                           

  • 권호사항

    Vol.19 No.3 [2016]                                                           

  • 발행처

    한국법철학회                                   

  • 자료유형

    학술저널

  • 수록면

    45-88(44쪽)

  • 언어

    Korean

  • 발행년도

    2016년                                                                                       

  • 초록 (Abstract)
    • 오늘날 의료영역에서 환자의 자율성 원칙은 점차 강조되고 있는 반면 그 개념 및 근거에 대한 논의가 제대로 이루어지고 있지 않으며 개인의 결정이나 선택 그 자체의 문제로 과도하게 집중...
  • 오늘날 의료영역에서 환자의 자율성 원칙은 점차 강조되고 있는 반면 그 개념 및 근거에 대한 논의가 제대로 이루어지고 있지 않으며 개인의 결정이나 선택 그 자체의 문제로 과도하게 집중되는 경향을 보인다. 물론 의료적 의사결정을 내리는 환자는 본인의 건강 및 신체에 대한 최종적인 결정권한을 가지는 규범적 주체이지만, 그와 동시에 타인에 의한 의료적 치료와 돌봄을 필수적으로 요하는 의존 상태를 경험하게 된다. 따라서 의료 영역에서 환자의 자율성은 합리적 판단 능력을 가진 개인의 독립적인 자기결정으로 환원될 수 없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의료 영역에서 자율성 담론이 개인적 자율성 논의로 수렴되는 이유를 필자는 자율성의 개념 및 근거에 대한 종래의 논의 방식에서 찾고 있으며, 이를 `자율성 능력 모델`이라고 지칭한다. 자율성 능력 모델에 따르면 자율성 개념은 외부로부터 독립하여 스스로 자신에 관한 일을 숙고하여 결정하는 개인의 능력이며 이러한 의사결정능력을 겸비한 주체가 자기결정권을 행사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관점이 의료적 의사결정과정에 그대로 대입될 경우 의료상황에 놓인 환자의 신체적 취약성 및 상호의존성은 제대로 고려되기 어렵다. 더욱이 자율성 능력 모델이 취하는 이원화 방식은 다양하고 복합적인 의료적 의사결정과정의 특성을 반영할 수 있는 논의 틀로 기능하는 데 한계를 지니며 더 중요하게는 의료적 의사결정에서 적극적인 도움을 필요로 하는 환자의 요청을 자율성을 존중한다는 명목 하에 외면하는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 이러한 문제의식 하에 본고는 표준적인 자율성 담론을 자율성 능력 모델의 관점에서 비판적으로 조망해 보고, 이러한 자율성 능력 모델이 의료적 의사결정 과정에 그대로 적용됨으로써 생기는 문제점들을 지적한 후 이를 극복할 수 있는 대안을 모색한다. 그 한 가지 가능성으로서 본고는 여성주의가 시도하는 관계적 자율성 이론에 주목한다. 관계적 자율성 이론들은 복합적인 의료적 의사결정과정의 특성 및 환자의 속성을 자율성 논의 안에 적용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지만, 다양한 이론적 시도들을 하나의 통일된 체계로 구성하기 어려운 한계 역시 가진다. 따라서 관계적 자율성의 장점을 수용하면서도 의료영역에 체계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대안적인 자율성 모델을 개발하기 위한 후속 연구가 요청된다고 하겠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8
95 8 환자 의사 관계 자기결정능력 흠결 상태의 환자에 대한 의료행위의 동의에 관한 소고(小考) / 백경희 2015  239
94 8 환자 의사 관계 일본에 있어 의료사고에의 대응과 시사점 - 의료사고조사제도와 무과실보상제도를 중심으로 - / 홍태석 외 2018  229
93 8 환자 의사 관계 비뇨기과의 영역에서 의료책임과 최근동향 / 김기영 외 2016  227
92 8 환자 의사 관계 공동의사결정에서 의사결정 코칭(Decision Coaching)의 함의/이은영 2015  221
» 8 환자 의사 관계 의료적 의사결정에서 자율성 능력 모델의 한계와 그 대안의 필요성 / 송윤진 2016  221
90 8 환자 의사 관계 의료정보의 관리와 비식별화에 관한 법적 과제 / 박민영, 최민경 2016  218
89 8 환자 의사 관계 성년후견제도와 정신보건법상 환자의 동의권에 관한 연구/문상혁 2015  216
88 8 환자 의사 관계 환자의 자기결정권에 관한 연구-의사,환자관계의 유형을 중심으로 / 박태신 2014  210
87 8 환자 의사 관계 의료에서의 사전의사결정(advanced directives)에 대한 도덕적 검토 / 손명세, 유호종 2001  209
86 8 환자 의사 관계 병원감염 사건에서 사실상 증명책임 전환의 필용성 및 그 근거로서 안전배려의무에 관한 검토/유현정 2014  209
85 8 환자 의사 관계 의사는 적응증이 아닌데도 수술을 원하는 환자를 어떻게 대해야 할까?: 닥터링 통합과정의 설명의무 사례를 중심으로/정창록, 김소윤 2015  209
84 8 환자 의사 관계 의대생의 임상 실습에 따른 환자-의사 관계 평가 비교 / 윤희정 2010  205
83 8 환자 의사 관계 의료과오소송에서의 책임제한법리 / 심다은 외 2018  205
82 8 환자 의사 관계 의료 전문직 윤리교육과 합리적인 의료오류보고 체계 마련을 통한 의료분쟁의 예방 -일개 지역응급의료센터 의료오류보고 체계를 통한 민원 분석 / 2008  203
81 8 환자 의사 관계 의료분쟁조정제도 운영상의 문제점 및 개선방안/최장섭 2014  201
80 8 환자 의사 관계 미국의 의료과오소송 제도에 관한 고찰 / 이승현 2018  197
79 8 환자 의사 관계 헌법상 유전정보보호와 의사의 고지의무 : 미국의 사례를 중심으로 / 허전, 정덕영 2009  195
78 8 환자 의사 관계 응급 환자 진료에서 설명 의무와 환자 사생활 보호 의무가 상충될 때의 대처 / 배현아, 이석배, 장혜영 2007  191
77 8 환자 의사 관계 의료사고 피해구제제도에서의 입증책임 연구 / 하신욱 2017  188
76 8 환자 의사 관계 수술로봇을 이용한 의료수술과 형사책임의 귀속 / 최민영 2018  18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