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175
발행년 : 2016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인격주의 생명윤리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101737305 


제목 환자와 자율성의 한계
영문명 Limitation of the Patient's Autonomy
저자 이인국(Lee Paul Inkook)
학술지명 인격주의 생명윤리
권호사항 Vol.6No.1[2016]
발행처 가톨릭생명윤리연구소
자료유형 학술저널
수록면 75-105
발행년도 2016
KDC 190
주제어 자율성,치료 결정,온정적 간섭주의,의사-환자 관계,인격주의,신뢰,Autonomy,Medical Decision,Paternalism,Physician-Patient Relationship,Personalism,Trust



초록 

민주주의 사회에서 환자의 권리 주장, 사생활 보호 및 자율성 확립은 아주 중요한 이슈가 된다고 말할 수 있다. 근래에 들어 생명윤리학자와 법학자들은 온정적 간섭주의에 기반한 전통적 의료윤리를 비난해왔다. 그들은 전통적인 온정적 간섭주의는 자율성 행사에서 환자의 이익을 아주 제한적으로 존중한다고 주장한다. 분명 우리는 생명윤리 분야에서 자율성의 승리 시대에 살고 있다. 환자의 자율성을 존중한다 함은 환자의 권리를 수용하고 그들의 인격적 가치와 신념을 제대로 인식하고 선택하여 그에 알맞은 행위를 하는 것이라 말할 수 있다. 어느 한 사람의 자율성을 위배한다는 것은 그 사람 자신의 목표가 아닌 다른 사람의 목표에 따라서 그 사람을 단지 수단으로 취급하는 것이라고 말할 수 있다. 하지만 의료 행위의 현실에서 특히 환자-의사의 관계에서 실제 무슨 일들이 일어나고 있는가에 대한 깊은 성찰이 필요하다. 적어도 어떤 환자들은 자기들에 대한 치료의 결정에 직접 참여하기를 원하기도 하지만, 더 많은 환자들은 자율성 주창자들이 원하는 것처럼 의료치료 결정에 따르는 부담감을 거부한다. 의료 행위 현장에서 환자들이 진정으로 원하는 것은 그들의 권리 주장이나 자율성 확립이라고 하기 보다는 의사와의 관계에서 신뢰와 진정한 인간관계의 형성을 원한다고 말할 수 있다.



목차

Ⅰ. 들어가는 말
Ⅱ. 생명윤리와 자기결정권
Ⅲ. 의사와 환자의 관계(Physician-Patient Relationship)
Ⅳ. 질병과 고통 중의 환자와 자율성: 누구를 위한 자율성인가?
Ⅴ. 소비자-선택 모델(Consumer-Choice Model)에서 소비자-복지 모델(Consumer-Welfare Model)로
Ⅵ. 나가는 말
참고문헌
 초록
Abstract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6
95 8 환자 의사 관계 자기결정능력 흠결 상태의 환자에 대한 의료행위의 동의에 관한 소고(小考) / 백경희 2015  239
94 8 환자 의사 관계 일본에 있어 의료사고에의 대응과 시사점 - 의료사고조사제도와 무과실보상제도를 중심으로 - / 홍태석 외 2018  229
93 8 환자 의사 관계 비뇨기과의 영역에서 의료책임과 최근동향 / 김기영 외 2016  227
92 8 환자 의사 관계 공동의사결정에서 의사결정 코칭(Decision Coaching)의 함의/이은영 2015  221
91 8 환자 의사 관계 의료적 의사결정에서 자율성 능력 모델의 한계와 그 대안의 필요성 / 송윤진 2016  221
90 8 환자 의사 관계 의료정보의 관리와 비식별화에 관한 법적 과제 / 박민영, 최민경 2016  218
89 8 환자 의사 관계 성년후견제도와 정신보건법상 환자의 동의권에 관한 연구/문상혁 2015  216
88 8 환자 의사 관계 의료에서의 사전의사결정(advanced directives)에 대한 도덕적 검토 / 손명세, 유호종 2001  209
87 8 환자 의사 관계 병원감염 사건에서 사실상 증명책임 전환의 필용성 및 그 근거로서 안전배려의무에 관한 검토/유현정 2014  209
86 8 환자 의사 관계 의사는 적응증이 아닌데도 수술을 원하는 환자를 어떻게 대해야 할까?: 닥터링 통합과정의 설명의무 사례를 중심으로/정창록, 김소윤 2015  209
85 8 환자 의사 관계 환자의 자기결정권에 관한 연구-의사,환자관계의 유형을 중심으로 / 박태신 2014  209
84 8 환자 의사 관계 의대생의 임상 실습에 따른 환자-의사 관계 평가 비교 / 윤희정 2010  205
83 8 환자 의사 관계 의료과오소송에서의 책임제한법리 / 심다은 외 2018  205
82 8 환자 의사 관계 의료 전문직 윤리교육과 합리적인 의료오류보고 체계 마련을 통한 의료분쟁의 예방 -일개 지역응급의료센터 의료오류보고 체계를 통한 민원 분석 / 2008  203
81 8 환자 의사 관계 의료분쟁조정제도 운영상의 문제점 및 개선방안/최장섭 2014  200
80 8 환자 의사 관계 미국의 의료과오소송 제도에 관한 고찰 / 이승현 2018  196
79 8 환자 의사 관계 헌법상 유전정보보호와 의사의 고지의무 : 미국의 사례를 중심으로 / 허전, 정덕영 2009  195
78 8 환자 의사 관계 응급 환자 진료에서 설명 의무와 환자 사생활 보호 의무가 상충될 때의 대처 / 배현아, 이석배, 장혜영 2007  191
77 8 환자 의사 관계 의료사고 피해구제제도에서의 입증책임 연구 / 하신욱 2017  188
76 8 환자 의사 관계 수술로봇을 이용한 의료수술과 형사책임의 귀속 / 최민영 2018  18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