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175
발행년 : 2009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형사정책 Vol.21 No.1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76515641 

응급의료거부죄의 해석과 정책


  • 제어번호 : 76515641
  • 저자명 : 이석배(Seok-Bae Lee)
  • 학술지명 : 刑事政策(Korean Journal of Criminology)
  • 권호사항 : Vol.21 No.1 [2009]
  • 발행처 : 한국형사정책학회(Korean Association of Criminology)
  • 발행처 URL : http://www.kcriminology.or.kr
  • 자료유형 : 학술저널
  • 수록면 : 263-289(27쪽)
  • 언어 : -
  • 발행년도 : 2009년
  • KDC : 360
  • 등재정보 : KCI등재
  • 주제어 : 응급의료거부죄 , 응급의료에관한법률 , 응급의료종사자의 치료의무의 한계 , 응급환자 , Die Ablehnung der Notfalldienst , Das koreanische Notfalldiesntgesetz , Die Grenze der Behandlungspflicht des Notarztes und des Notfalldiestpersonals , Notfallpatient



초록 (Abstract)

Notfallmedizin beinhaltet die Notwendigkeit, in kritischen Situation rasche und richtige Entscheidung zu treffen. Das betrifft sowohl das taktische Vorgehen am Einsatzort, als auch die Festlegung und die Durchführung der bestmöglichen Behandlung für den Notfallpatienten, aber auch die richtige Auswahl einer geeigneten Zielklinik. Gemäß § 6 des koreanischen Notfalldiesntgesetzes sind der Notarzt und Notpflegepersonal verpflichtet, am Notfalldienst teilzunehmen. Daraus ist die Einrichtung und Durchführung eines Notfalldienstes keine berufsethische Pflicht sondern rechtliche. Als die tatbestandsmäßige Handlung wurde bisher nur das Unterlassen der notfallmedizinischen Maßnahmen diskutiert. Nach diesem Beitrag ist jedoch es wichtiger als notfallmedizinischer Maßnahme, dass der Notfalldiestpersonal den Notfallpatienten von dem Nicht-notfallpatienten abgrenzen. Deshalb wird es hierbei für die wichtige tatbestandsmäßige Handlung gehalten. Für den Notarzt stellt sich mitunter die Frage nach der Sinnhaftigkeit ärztlicher Maßnahmen und damit die Frage nach den Grenzen der Behandlungspflicht. Wie bereits ausgeführt, besteht nach Rechtsprechung für den Arzt aufgrund seiner Garantenstellung zunächst grundsätzlich die Verpflichtung zur Leistung medizinisch indizierter Maßnahmen. Diese Verpflichtung findet ihre Grenze im Willen des entscheidungsfähigen Patienten. Bei entscheidungsunfähigen Patienten ist hingegen deren Wille als nicht maßgeblich zu erachten, aber auch der Wille des Angehörigen. Dabei ist die medizinische Prognose entscheidend.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문제의 제기
  • Ⅱ. 응급의료종사자의 응급의료의무

    Ⅲ. 응급의료법상 응급의료거부죄

    Ⅳ. 관련문제

    V. 결론

    참고문헌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6
    175 8 환자 의사 관계 개정된 의료분쟁조정법 하위법령에 대한 고찰 / 김필수 2017  35
    174 8 환자 의사 관계 의료소송상 환자보호를 위한 방안의 검토 : 입증부담의 경감방안 및 적극적 위자료 인정의 필요성을 중심으로 / 한태일 2017  36
    173 8 환자 의사 관계 The Obligation to Provide Information where Valid Consent is Not Needed / Walker, Tom 2017  36
    172 8 환자 의사 관계 개정된 의료분쟁조정법 시행 관련 정책적 함의 및 향후과제 / 성용배 2017  38
    171 8 환자 의사 관계 한방의료분쟁의 합리적인 해결방안 연구 / 정미영 2008  38
    170 8 환자 의사 관계 의료분쟁조정법상 조정 자동개시 조항에 관한 고찰 / 김석영 외 2018  45
    169 8 환자 의사 관계 의료과오소송 입증책임 관련 입법의 동향 /조형원 2008  47
    168 8 환자 의사 관계 의료기관 인증제에 대한 인식이 요양병원 간호인력의 환자안전관리 활동에 미치는 영향 / 권명숙 외 2018  48
    167 8 환자 의사 관계 개정 의료분쟁조정법 시행에 따른 의료분쟁조정제도에 관한 현황과 과제 / 신현호 외 2017  48
    166 8 환자 의사 관계 환자의 건강권 및 의료인의 진료권 보호를 위한 의료관계법령 개선 / 이얼 2016  51
    165 8 환자 의사 관계 의사-환자 관계성에 관한 상호이해도 분석 / 박진영 외 2015  52
    164 8 환자 의사 관계 신진학자 연구논문 : 유방암 환자들의 치료과정에서 환자-의사 관계의 관계적 체험과 의미 탐색: 감정 체험과 인지적 관점을 바탕으로 / 이혜범 2013  52
    163 8 환자 의사 관계 의료판례의 동향과 문제 / 백경희 외 2018  54
    162 8 환자 의사 관계 정부 지원 환자안전 연구의 타당성 검토 / 이 원 외 2018  54
    161 8 환자 의사 관계 의료과오에 있어서 인과관계에 관한 판례의 고찰 /신은주 2012  55
    160 8 환자 의사 관계 의료소송과 실질적인 환자의 권리보호에 관한 소고 / 손연우 2016  59
    159 8 환자 의사 관계 환자안전에 관한 문헌 연구: 국내연구를 중심으로 / 황지영 외 2018  64
    158 8 환자 의사 관계 우리나라 의료기기 부작용에 따른 피해구제시스템 도입방안 연구 / 최철호 2017  65
    157 8 환자 의사 관계 의사-환자 관계성 측정척도 개발에 관한 연구 / 박진영 외 2014  71
    156 8 환자 의사 관계 의사들의 호스피스 관리에 대한 임상적인 접근 1999  7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