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175
발행년 : 2015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생명윤리정책연구 Vol.9 No.1 
관련링크 : http://www.dbpia.co.kr/Journal/ArticleDetail/3732221 

응급진료에서 치료거부와 원칙으로서의 자율성 = Treatment Refusal and Principled Autonomy in Emergency Medical System


http://www.riss.kr/link?id=A100548457 


  • 제어번호 : 100548457
  • 저자명 : 김아진
  • 학술지명 : 생명윤리정책연구
  • 권호사항 : Vol.9 No.1 [2015]
  • 발행처 : 이화여자대학교 생명의료법연구소
  • 자료유형 : 학술저널
  • 수록면 : 103-126(24쪽)
  • 언어 : Korean
  • 발행년도 : 2015년
  • 등재정보 : KCI등재후보
  • 주제어 : treatment refusal ,emergency ,의무 ,의사 결정 ,환자-의사 관계 ,autonomy ,patient-doctor relation ,decision making ,obligation ,자율성 ,응급 ,치료거부



초록 (Abstract)

자율성을 언급할 때 우리는 일차적으로 개인적 자율성(individual autonomy)을 말하게 된다. 의료적 결정에서 자율성이 주된 원칙으로 타당한 이유는 다양한 것을 고려하여 자신의 이익의 측면에서 결정을 할 수 있는 사람은 환자 자신이기 때문이다.
환자는 자기결정에 대한 권리가 있으며, 의사는 환자의 의사결정능력을 최대한 보호하고 환자의 결정을 존중할 의무를 갖는다. 환자가 치료를 거부하게 되면, 의사는 직관적으로 환자의 의사에 반한 치료 이득이 환자의 자율적 결정보다도 우선시 되어야 할 수 있을 것이라고 여기기도 한다. 그러나 경우에 따라 의사가 생각하는 임상적 이득은 환자에게 큰 고려사항이 아닐 수도 있다.
특별한 예외가 없다면 자율적 결정이 최선이라고 여기는‘개인적 자율성’에 대하여 응급상황의 치료거부에서는‘원칙으로서의 자율성’이 적용되어야 한다.‘원칙으로서의 자율성’은 환자의 권리뿐 아니라 자율적 결정을 위한 의사의 의무를 강조한다. 이 의무에는 의사가 임상적 이득을 선행하면서 행사할 수 있는 영향력을 최소화 하는 것을 포함된다. 환자에 대한 의사의 영향력들은 환자-의사 관계의 신뢰형성을 방해할 수도 있기 때문이다. 신뢰 관계는 치료거부에 대한 구체적인 절차를 통해서 만들어진다. 이러한 원칙으로서의 자율성은 병원 전 단계와 병원 단계 모두에서 적용가능하며, 이를 위하여 환자의 의사결정능력에 대한 객관적 평가, 의사 소통능력, 개인의 가치관 등을 파악할 필요가 있다.




목차 (Table of Contents)

  • I. 서론
  • II. 자율성과 자기결정권, 응급에서의 동의

    1. 자율성에 대한 시각-자기결정권이 가지는 의의

    2. 자기결정권과 의사결정능력

    III. 응급진료의 단계별 자기결정권과 진료의무의 관계

    1. 병원 전 단계의 이송거부

    2. 병원단계

    IV. 결론

    Abstract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6
    135 8 환자 의사 관계 간호사의 의료과오 책임에 관한 연구/장미희 2014  425
    134 8 환자 의사 관계 의학 전문직업성의 덕 윤리적 접근 / 최숙희 2013  422
    133 8 환자 의사 관계 환자의 자율성에 관한 연구 - Beauchamp과 Childress의 관점에 대한 비판적 검토 / 홍소연 2005  418
    132 8 환자 의사 관계 배려윤리에 근거한 환자-의사관계의 윤리 / 유수정 2009  414
    131 8 환자 의사 관계 의사의 비밀유지의무와 정보의 자기결정권 / 김형선 2018  413
    130 8 환자 의사 관계 개인의료정보보호법 제정의 필요성과 입법방향 / 이한주 2014  393
    129 8 환자 의사 관계 의사의 설명의무위반에 대한 민사책임 / 이태섭 2011  381
    128 8 환자 의사 관계 의료정보의 보호와 관리방안 / 최중명, 오인환, 오창모 2012  378
    127 8 환자 의사 관계 수술환자의 권리보호에 대한 형사법적 쟁점 - 환자의 자기결정권을 중심으로 -/유재근 2015  377
    126 8 환자 의사 관계 환자의 승낙과 치료중단에 따른 의사의 형사책임 / 장승일 2006  363
    125 8 환자 의사 관계 의료소송에서 과실과 인과관계의 증명 : 병원감염 판결을 중심으로/유현정 2014  350
    » 8 환자 의사 관계 응급진료에서 치료거부와 원칙으로서의 자율성 / 김아진 2015  342
    123 8 환자 의사 관계 의료과오소송에서 증인인 담당의사의 신문 등에 관한 연구 -환자 측 소송대리인의 입장에서- / 박태신 2015  340
    122 8 환자 의사 관계 의료사고 환자들의 외상후 스트레스 장애(PTSD) 실태: 의료진의 설명 및 태도와 사회적 지지의 상호작용 / 김나연 외 2017  339
    121 8 환자 의사 관계 양방의료행위와 한방의료행위의 의의 및 중첩 양상에 관한 판례의 태도에 대한 고찰 / 백경희, 장연화 2014  338
    120 8 환자 의사 관계 의료사고 재발 방지를 위한 의료소송 판결문의 원인분석 방법의 활용 / 이원, 김소윤, 이미진 2014  329
    119 8 환자 의사 관계 한국소비자원 의료분쟁 조정제도의 개선방안/전병남 2015  324
    118 8 환자 의사 관계 의료소송실무상 감정의 현황 및 개선방향 : 한 의료소송전문 법률사무소의 최근 10년간 사례를 중심으로 / 진수현 2008  322
    117 8 환자 의사 관계 의료판례를 이용한 의료사고에 대한 원인분석 및 맵개발에 대한 연구 / 김선녀 2018  321
    116 8 환자 의사 관계 의사의 비밀유지의무의 근거와 한계- 독일 항공기 저먼윙즈(Germanwings) 참사에 관한 최근의 논의에 대하여/군나 두트게, 장영민, 손미숙 2015  3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