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175
발행년 : 2006 
구분 : 학위논문 
학술지명 : 전남대학교 대학원 : 법학과 (석사)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T10392275 

환자의 승낙과 치료중단에 따른 의사의 형사책임


  • 기타서명 : (A) Study on the consent of the Patient and The Criminal Responsibility of Doctor according to the Discontinuance of Treatment

  • 저자 : 장승일
  • 형태사항 : v, 93 p. ; 26 cm.
  • 일반주기 :

    지도교수:안동준
    참고문헌: p.86-89

  • 학위논문사항 : 학위논문(석사)-- 전남대학교 대학원 : 법학과 2006. 2
  • DDC : 340 20
  • 발행국 : 광주
  • 언어 : 한국어
  • 출판년 : 2006



초록 (Abstract)

오늘날 의료수준이 인접학문과 더불어 비약적으로 발전해 가고 있음에 비추어 의료행위의 범위도 넓어지고 형법의 개입가능성도 그 만큼 높아가고 있다. 특히 환자의 권리의식이 강조되면서 의료행위에 있어 환자의 승낙이 매우 중요한 요소로 자리잡고 있다. 더구나 환자가 승낙능력이 없는 경우 대리승낙의 유효성을 인정할 수 있을 것인지 대리승낙에 의해 의사의 치료계속의무가 어떠한 영향을 받는지가 문제되고 있다. 더욱이 최근 소위 “보라매병원사건”에서 의사에게 살인죄의 책임을 물음으로써 의료행위에 대한 형법의 개입이 구체화되고 있다. 따라서 본 논문은 의료행위에 대한 형사법적 고찰을 바탕으로 치료계속에 대한 의사의 책임의 한계를 살피려고 한다.
의료행위의 법적 성격에 대해서는 치료의 목적을 가지고 의료준칙에 맞게 환자의 승낙을 받아서 행해지는 의사의 행위는 일시적이고 부분적인 생리적 기능훼손을 가져온다 하더라도 상해죄의 구성요건에 해당하지 않는다고 보아야 한다. 범죄의 불법은 결과와 함께 행위반가치도 함께 고려하여야 하기 때문이다.
과거에 의사는 고도의 전문적 지식을 바탕으로 환자보다 우월한 지위에 서서 전단적으로 행하는 경우가 많았으나 이제는 환자의 권리의식이 강화되면서 환자의 자기결정권이 의료행위에 있어 매우 중요한 요소로 자리잡고 있다. 이와 더불어 환자가 자기결정권을 제대로 행사하여 유효한 승낙이 되기 위해서는 의사의 충분한 설명의무가 전제되어야 한다. 의사의 설명의무는 대체로 민사법 영역에서 논의되고 있으나 형법에서도 의사의 과실에 대한 입증책임을 경감하는데 있어 매우 중요한 사실이 되어지고 있다.
환자는 자기의 생명과 신체에 대한 결정권을 갖는데 이러한 자기결정권행사로서의 환자의 승낙이 유효하려면 의사의 충분한 설명을 전제로 승낙능력을 가진 환자에 의해 자유롭게 이루어져야 한다. 환자가 승낙능력이 없는 무의식 상태에 빠지게 되면 환자의 생전의사표시를 근거로 그 의사를 추정해야 할 것이며 이러한 자료도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는 환자의 가족등이 치료계속이나 치료중단여부를 결정할 수밖에 없을 것이다. 문제는 치료중단이 사망과 직결되는 경우이다. 환자가 생존가능성이 없는 경우의 치료중단에 대한 요구를 받아들일 것인가는 안락사 또는 존엄사의 인정여부와 연결된다. 이때에는 환자의 추정적 동의나 환자가족 등의 동의가 있고 객관적으로도 환자가 불가역적인 죽음의 과정에 들어선 경우 환자에 대한 치료가 인간의 존엄에 반하는 상태의 유지에만 그 목적이 있는 경우라면 제한적인 조건하에서 이를 인정하는 것이 타당하다. 그러나 이러한 때에도 환자가족 등의 대리권 행사가 환자를 위한 대리권이 아니라 대리인을 위한 대리권이 되지 않도록 해야 할 것이다.
환자의 생존가능성이 높은 경우에 대리인이 경제사정 등을 이유로 퇴원을 요구하고 그로 인한 치료중단으로 환자가 사망한 경우 환자가족의 치료중단에 대한 대리 승낙은 그 효력이 없다고 보아야 한다. 이 경우 퇴원을 허가하는 행위가 의료계의 관행이라고 주장하더라도 이러한 관행은 법률상 허용할 수 없는 것이고 퇴원후 환자가 사망할 것을 인식하고 퇴원조치를 취한 의사에게 살인의 고의는 부정할 수 없을 것이다. 그러나 의사에게 퇴원요구를 거부할 법적 · 제도적 장치도 마련되어 있지 않은 상황에서 퇴원후 환자가 사망할 것이라는 사실을 인식하였다는 이유로 의사에게 형사책임을 가하는 것은 의료계의 현실을 외면한 조치라 생각된다. 의료 영역에 대한 형법의 개입은 규범적으로 많은 혼돈을 야기할 우려가 크다. 의료영역에 대한 형법의 적용은 최후수단성과 보충성의 원칙에 입각하여 최대한 개입을 자제한 뒤에 의료계의 현실을 최대한 이해한 후에 법적용을 해야 할 것이다. 그러기 위해서는 법학 뿐아니라 의학적 측면에 대한 상호이해가 필수적이며 사회전반에 걸친 합의, 윤리학적 측면에 대한 연구등이 선행되어야 할 것이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8
135 8 환자 의사 관계 간호사의 의료과오 책임에 관한 연구/장미희 2014  425
134 8 환자 의사 관계 의학 전문직업성의 덕 윤리적 접근 / 최숙희 2013  422
133 8 환자 의사 관계 환자의 자율성에 관한 연구 - Beauchamp과 Childress의 관점에 대한 비판적 검토 / 홍소연 2005  419
132 8 환자 의사 관계 배려윤리에 근거한 환자-의사관계의 윤리 / 유수정 2009  416
131 8 환자 의사 관계 의사의 비밀유지의무와 정보의 자기결정권 / 김형선 2018  413
130 8 환자 의사 관계 개인의료정보보호법 제정의 필요성과 입법방향 / 이한주 2014  394
129 8 환자 의사 관계 의사의 설명의무위반에 대한 민사책임 / 이태섭 2011  381
128 8 환자 의사 관계 의료정보의 보호와 관리방안 / 최중명, 오인환, 오창모 2012  378
127 8 환자 의사 관계 수술환자의 권리보호에 대한 형사법적 쟁점 - 환자의 자기결정권을 중심으로 -/유재근 2015  378
» 8 환자 의사 관계 환자의 승낙과 치료중단에 따른 의사의 형사책임 / 장승일 2006  363
125 8 환자 의사 관계 의료소송에서 과실과 인과관계의 증명 : 병원감염 판결을 중심으로/유현정 2014  354
124 8 환자 의사 관계 응급진료에서 치료거부와 원칙으로서의 자율성 / 김아진 2015  344
123 8 환자 의사 관계 의료과오소송에서 증인인 담당의사의 신문 등에 관한 연구 -환자 측 소송대리인의 입장에서- / 박태신 2015  340
122 8 환자 의사 관계 의료사고 환자들의 외상후 스트레스 장애(PTSD) 실태: 의료진의 설명 및 태도와 사회적 지지의 상호작용 / 김나연 외 2017  340
121 8 환자 의사 관계 양방의료행위와 한방의료행위의 의의 및 중첩 양상에 관한 판례의 태도에 대한 고찰 / 백경희, 장연화 2014  338
120 8 환자 의사 관계 의료사고 재발 방지를 위한 의료소송 판결문의 원인분석 방법의 활용 / 이원, 김소윤, 이미진 2014  329
119 8 환자 의사 관계 한국소비자원 의료분쟁 조정제도의 개선방안/전병남 2015  325
118 8 환자 의사 관계 의료소송실무상 감정의 현황 및 개선방향 : 한 의료소송전문 법률사무소의 최근 10년간 사례를 중심으로 / 진수현 2008  322
117 8 환자 의사 관계 의료판례를 이용한 의료사고에 대한 원인분석 및 맵개발에 대한 연구 / 김선녀 2018  321
116 8 환자 의사 관계 의사의 비밀유지의무의 근거와 한계- 독일 항공기 저먼윙즈(Germanwings) 참사에 관한 최근의 논의에 대하여/군나 두트게, 장영민, 손미숙 2015  3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