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175
발행년 : 2006 
구분 : 학위논문 
학술지명 : 전남대학교 대학원 : 법학과 (석사)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T10392275 

환자의 승낙과 치료중단에 따른 의사의 형사책임


  • 기타서명 : (A) Study on the consent of the Patient and The Criminal Responsibility of Doctor according to the Discontinuance of Treatment

  • 저자 : 장승일
  • 형태사항 : v, 93 p. ; 26 cm.
  • 일반주기 :

    지도교수:안동준
    참고문헌: p.86-89

  • 학위논문사항 : 학위논문(석사)-- 전남대학교 대학원 : 법학과 2006. 2
  • DDC : 340 20
  • 발행국 : 광주
  • 언어 : 한국어
  • 출판년 : 2006



초록 (Abstract)

오늘날 의료수준이 인접학문과 더불어 비약적으로 발전해 가고 있음에 비추어 의료행위의 범위도 넓어지고 형법의 개입가능성도 그 만큼 높아가고 있다. 특히 환자의 권리의식이 강조되면서 의료행위에 있어 환자의 승낙이 매우 중요한 요소로 자리잡고 있다. 더구나 환자가 승낙능력이 없는 경우 대리승낙의 유효성을 인정할 수 있을 것인지 대리승낙에 의해 의사의 치료계속의무가 어떠한 영향을 받는지가 문제되고 있다. 더욱이 최근 소위 “보라매병원사건”에서 의사에게 살인죄의 책임을 물음으로써 의료행위에 대한 형법의 개입이 구체화되고 있다. 따라서 본 논문은 의료행위에 대한 형사법적 고찰을 바탕으로 치료계속에 대한 의사의 책임의 한계를 살피려고 한다.
의료행위의 법적 성격에 대해서는 치료의 목적을 가지고 의료준칙에 맞게 환자의 승낙을 받아서 행해지는 의사의 행위는 일시적이고 부분적인 생리적 기능훼손을 가져온다 하더라도 상해죄의 구성요건에 해당하지 않는다고 보아야 한다. 범죄의 불법은 결과와 함께 행위반가치도 함께 고려하여야 하기 때문이다.
과거에 의사는 고도의 전문적 지식을 바탕으로 환자보다 우월한 지위에 서서 전단적으로 행하는 경우가 많았으나 이제는 환자의 권리의식이 강화되면서 환자의 자기결정권이 의료행위에 있어 매우 중요한 요소로 자리잡고 있다. 이와 더불어 환자가 자기결정권을 제대로 행사하여 유효한 승낙이 되기 위해서는 의사의 충분한 설명의무가 전제되어야 한다. 의사의 설명의무는 대체로 민사법 영역에서 논의되고 있으나 형법에서도 의사의 과실에 대한 입증책임을 경감하는데 있어 매우 중요한 사실이 되어지고 있다.
환자는 자기의 생명과 신체에 대한 결정권을 갖는데 이러한 자기결정권행사로서의 환자의 승낙이 유효하려면 의사의 충분한 설명을 전제로 승낙능력을 가진 환자에 의해 자유롭게 이루어져야 한다. 환자가 승낙능력이 없는 무의식 상태에 빠지게 되면 환자의 생전의사표시를 근거로 그 의사를 추정해야 할 것이며 이러한 자료도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는 환자의 가족등이 치료계속이나 치료중단여부를 결정할 수밖에 없을 것이다. 문제는 치료중단이 사망과 직결되는 경우이다. 환자가 생존가능성이 없는 경우의 치료중단에 대한 요구를 받아들일 것인가는 안락사 또는 존엄사의 인정여부와 연결된다. 이때에는 환자의 추정적 동의나 환자가족 등의 동의가 있고 객관적으로도 환자가 불가역적인 죽음의 과정에 들어선 경우 환자에 대한 치료가 인간의 존엄에 반하는 상태의 유지에만 그 목적이 있는 경우라면 제한적인 조건하에서 이를 인정하는 것이 타당하다. 그러나 이러한 때에도 환자가족 등의 대리권 행사가 환자를 위한 대리권이 아니라 대리인을 위한 대리권이 되지 않도록 해야 할 것이다.
환자의 생존가능성이 높은 경우에 대리인이 경제사정 등을 이유로 퇴원을 요구하고 그로 인한 치료중단으로 환자가 사망한 경우 환자가족의 치료중단에 대한 대리 승낙은 그 효력이 없다고 보아야 한다. 이 경우 퇴원을 허가하는 행위가 의료계의 관행이라고 주장하더라도 이러한 관행은 법률상 허용할 수 없는 것이고 퇴원후 환자가 사망할 것을 인식하고 퇴원조치를 취한 의사에게 살인의 고의는 부정할 수 없을 것이다. 그러나 의사에게 퇴원요구를 거부할 법적 · 제도적 장치도 마련되어 있지 않은 상황에서 퇴원후 환자가 사망할 것이라는 사실을 인식하였다는 이유로 의사에게 형사책임을 가하는 것은 의료계의 현실을 외면한 조치라 생각된다. 의료 영역에 대한 형법의 개입은 규범적으로 많은 혼돈을 야기할 우려가 크다. 의료영역에 대한 형법의 적용은 최후수단성과 보충성의 원칙에 입각하여 최대한 개입을 자제한 뒤에 의료계의 현실을 최대한 이해한 후에 법적용을 해야 할 것이다. 그러기 위해서는 법학 뿐아니라 의학적 측면에 대한 상호이해가 필수적이며 사회전반에 걸친 합의, 윤리학적 측면에 대한 연구등이 선행되어야 할 것이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8
175 8 환자 의사 관계 개정된 의료분쟁조정법 하위법령에 대한 고찰 / 김필수 2017  35
174 8 환자 의사 관계 의료소송상 환자보호를 위한 방안의 검토 : 입증부담의 경감방안 및 적극적 위자료 인정의 필요성을 중심으로 / 한태일 2017  36
173 8 환자 의사 관계 The Obligation to Provide Information where Valid Consent is Not Needed / Walker, Tom 2017  36
172 8 환자 의사 관계 개정된 의료분쟁조정법 시행 관련 정책적 함의 및 향후과제 / 성용배 2017  38
171 8 환자 의사 관계 한방의료분쟁의 합리적인 해결방안 연구 / 정미영 2008  38
170 8 환자 의사 관계 의료분쟁조정법상 조정 자동개시 조항에 관한 고찰 / 김석영 외 2018  45
169 8 환자 의사 관계 의료과오소송 입증책임 관련 입법의 동향 /조형원 2008  47
168 8 환자 의사 관계 의료기관 인증제에 대한 인식이 요양병원 간호인력의 환자안전관리 활동에 미치는 영향 / 권명숙 외 2018  48
167 8 환자 의사 관계 개정 의료분쟁조정법 시행에 따른 의료분쟁조정제도에 관한 현황과 과제 / 신현호 외 2017  48
166 8 환자 의사 관계 환자의 건강권 및 의료인의 진료권 보호를 위한 의료관계법령 개선 / 이얼 2016  51
165 8 환자 의사 관계 의사-환자 관계성에 관한 상호이해도 분석 / 박진영 외 2015  52
164 8 환자 의사 관계 신진학자 연구논문 : 유방암 환자들의 치료과정에서 환자-의사 관계의 관계적 체험과 의미 탐색: 감정 체험과 인지적 관점을 바탕으로 / 이혜범 2013  52
163 8 환자 의사 관계 의료판례의 동향과 문제 / 백경희 외 2018  54
162 8 환자 의사 관계 정부 지원 환자안전 연구의 타당성 검토 / 이 원 외 2018  54
161 8 환자 의사 관계 의료과오에 있어서 인과관계에 관한 판례의 고찰 /신은주 2012  55
160 8 환자 의사 관계 의료소송과 실질적인 환자의 권리보호에 관한 소고 / 손연우 2016  59
159 8 환자 의사 관계 우리나라 의료기기 부작용에 따른 피해구제시스템 도입방안 연구 / 최철호 2017  65
158 8 환자 의사 관계 환자안전에 관한 문헌 연구: 국내연구를 중심으로 / 황지영 외 2018  68
157 8 환자 의사 관계 의사-환자 관계성 측정척도 개발에 관한 연구 / 박진영 외 2014  71
156 8 환자 의사 관계 의사들의 호스피스 관리에 대한 임상적인 접근 1999  7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