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175
발행년 : 2000 
구분 : 학위논문 
학술지명 : 동아대학교 교육대학원: 국민윤리교육 전공 (석사)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T8424410 

의료 윤리에서의 환자의 권리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Patient's Rights in Medical Ethics


  • 저자 : 송현미
  • 형태사항 : iii, 64p. ; 26cm
  • 일반주기 : 참고문헌: p. 60-62

  • 학위논문사항 : 학위논문(석사)-- 동아대학교 교육대학원: 국민윤리교육 전공 2000. 8
  • KDC : 510.19 4
  • 발행국 : 부산
  • 언어 : 한국어
  • 출판년 : 2000
  • 주제어 : 의료 윤리, 환자의 권리, Patient's Right, Medical Ethics




초록 (Abstract)

생명 과학과 의료 기술의 눈부신 발전은 생명과 죽음의 문제에 대해 새로운 윤리적인 문제를 제기 한다. 인간의 생명을 지키고 건강을 유지·증진시킴을 이념으로 하는 의료계에서 나타나는 의료의 비인간화는 환자에게 많은 영향을 미치고 환자로 하여금 의사들의 역할을 재검토해 줄 것을 요구하게 되었다.
의료 행위의 중심은 환자이며 그는 인간으로서의 존엄성과 자율성을 존중 받아야 할 권리를 지니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의료계는 환자의 자율성의 빠른 회복과 치료가 선행에 근거한다는 온정적 간섭주의 가치관에 입각하여 의료 행위를 행하고 있다. 그러나 의사를 선택하고 정보를 제공받으며 자신의 인생에 대한 결정권이 환자에게 있기 때문에 개인의 권리를 침해하고 자유로운 선택을 부당하게 규제한다면 그것은 도덕적으로 정당화 될 수 없다. 이에 정보와 환자 교육에 입각한 환자의 설명 동의의 중요성이 의료계의 주요 관건이 되고 있고, 이는 개인의 자율성 존중에의 윤리적 문제와 관련된 것이다.
또한 의료인과 환자 사이의 인간 관계에 있어 신뢰의 붕괴는 환자의 권리 운동, 환자 중심 운동을 야기시키고 있고 기존의 환자 권리 장전의 문제점의 제기는 새로운 환자 권리 장전의 재정을 요구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의료계는 환자의 권리를 무시한 의료 행위가 빚어낸 부작용의 해결과 의료계의 발전을 위해서 환자의 권리를 존중하고 이를 현실에서 구체적으로 실천하려는 자세를 가져야한다.
환자의 권리를 존중한다는 것은 의료인이 환자의 인간성과 자율성 존중에 입각한 전 인격적인 의료 행위를 행하는 것이고, 상호 신뢰와 인격 존중의 관계 하에서의 의료 행위는 치료의 효과를 증가시킨다. 이를 위해서는 의료인과 의료계 종사자들을 대상으로 하는 의료 윤리 교육의 강화와 환자 교육이 필요하다하겠다. 또한 국가적 차원에서도 환자 중심의 의료가 국민 전체의 건강 향상과 복지 증진에 영향을 끼침을 인식하고 의료의 사회화와 전 국민의 생활 의료화를 위해 노력해야한다.
결론적으로 환자의 권리 존중은 인간과 생명의 존엄성을 바탕으로 한 윤리적 의료 행위와 윤리적 관계가 요구되는 현실에서 진정한 의료 윤리의 확립에 바탕을 둘 때 가능하며, 치료의 효과가 상승되는 가운데 의료의 질이 개선되는 길임을 인식하는 것이다.
이는 환자와 의료인인 뿐만 아니라 사회 구성원 전체가 의료 윤리의 필요성과 중요성을 인식하고 생명과 인간의 존엄성, 그리고 자율성을 존중하고 지키고 보호하고자 하는 올바른 윤리관의 확립과 의료계의 환자 중심의 발전과 변화, 그리고 환자의 자발적이고 주체적인 자세와 자신의 권리 주장이 뒷받침될 때 환자의 권리는 존중될 수 있고, 존중받을 수 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8
175 8 환자 의사 관계 개정된 의료분쟁조정법 하위법령에 대한 고찰 / 김필수 2017  35
174 8 환자 의사 관계 의료소송상 환자보호를 위한 방안의 검토 : 입증부담의 경감방안 및 적극적 위자료 인정의 필요성을 중심으로 / 한태일 2017  36
173 8 환자 의사 관계 The Obligation to Provide Information where Valid Consent is Not Needed / Walker, Tom 2017  36
172 8 환자 의사 관계 개정된 의료분쟁조정법 시행 관련 정책적 함의 및 향후과제 / 성용배 2017  38
171 8 환자 의사 관계 한방의료분쟁의 합리적인 해결방안 연구 / 정미영 2008  38
170 8 환자 의사 관계 의료분쟁조정법상 조정 자동개시 조항에 관한 고찰 / 김석영 외 2018  45
169 8 환자 의사 관계 의료과오소송 입증책임 관련 입법의 동향 /조형원 2008  47
168 8 환자 의사 관계 의료기관 인증제에 대한 인식이 요양병원 간호인력의 환자안전관리 활동에 미치는 영향 / 권명숙 외 2018  48
167 8 환자 의사 관계 개정 의료분쟁조정법 시행에 따른 의료분쟁조정제도에 관한 현황과 과제 / 신현호 외 2017  48
166 8 환자 의사 관계 환자의 건강권 및 의료인의 진료권 보호를 위한 의료관계법령 개선 / 이얼 2016  51
165 8 환자 의사 관계 의사-환자 관계성에 관한 상호이해도 분석 / 박진영 외 2015  52
164 8 환자 의사 관계 신진학자 연구논문 : 유방암 환자들의 치료과정에서 환자-의사 관계의 관계적 체험과 의미 탐색: 감정 체험과 인지적 관점을 바탕으로 / 이혜범 2013  52
163 8 환자 의사 관계 의료판례의 동향과 문제 / 백경희 외 2018  54
162 8 환자 의사 관계 정부 지원 환자안전 연구의 타당성 검토 / 이 원 외 2018  54
161 8 환자 의사 관계 의료과오에 있어서 인과관계에 관한 판례의 고찰 /신은주 2012  55
160 8 환자 의사 관계 의료소송과 실질적인 환자의 권리보호에 관한 소고 / 손연우 2016  59
159 8 환자 의사 관계 우리나라 의료기기 부작용에 따른 피해구제시스템 도입방안 연구 / 최철호 2017  65
158 8 환자 의사 관계 환자안전에 관한 문헌 연구: 국내연구를 중심으로 / 황지영 외 2018  68
157 8 환자 의사 관계 의사-환자 관계성 측정척도 개발에 관한 연구 / 박진영 외 2014  71
156 8 환자 의사 관계 의사들의 호스피스 관리에 대한 임상적인 접근 1999  7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