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175
발행년 : 2013 
구분 : 학위논문 
학술지명 : 연세대학교 보건대학원 : 국제보건전공 (석사)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T13283883 

정형외과 의료소송 판결문 분석을 통한 경향 파악과 원인 분석


  • 기타서명 : A study on the causes of the medical accidents from analyses of rulings on medical malpractice lawsuits in orthopedics

  • 저자 : 이원
  • 형태사항 : iv, 102 p. : 삽화 ; 26 cm
  • 일반주기 : 지도교수: 김소윤

  • 학위논문사항 : 학위논문(석사) -- 연세대학교 보건대학원 : 국제보건전공 2013.8
  • 발행국 : 서울
  • 언어 : 한국어
  • 출판년 : 2013
  • 주제어 : 의료소송, 원인분석, 정형외과, 의료판례, 재발방지



초록 ( Abstract )

  • 전국민 의료보험의 실시와 함께 의료서비스 이용의 증가와 전반적인 의학기술의 발전 등으로 양질의 의료서비스가 제공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1980년 중반부터 본격적으로 제기되기 시작...
  • 전국민 의료보험의 실시와 함께 의료서비스 이용의 증가와 전반적인 의학기술의 발전 등으로 양질의 의료서비스가 제공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1980년 중반부터 본격적으로 제기되기 시작한 의료분쟁은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의료분쟁은 사회적 부작용의 급격한 증가로 이어져 피해 당사자인 환자와 가족 뿐만 아니라 의료제공자에게도 부정적인 영향을 미쳐 궁극적으로 국민의 건강을 위협하는 요소로 대두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의료소송 중 높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고 특히 평균 수명의 연장과 만성퇴행성 관절질환의 증가로 의료 수요 및 분쟁의 증가가 예상되는 정형외과를 대상으로 연구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정형외과 관련 의료소송 판결문의 분석을 통하여 현황과 사고의 원인이 된 과정을 파악하고 향후 검토사항을 제시하고자 함이다. 본 연구를 위해 소송 시작이 2005년부터 2010년인 정형외과 판결문 343건을 SAS 9.2를 사용하여 계량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이 중 4건에 대한 질적 분석을 실시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사건이 발생한 시점에서 소송이 종결된 시점까지의 평균 소요기간은 4.23년이 걸렸다. 2. 의료소송으로 이어진 의료사고의 주요 원인이 속해 있는 과정은 수술이 159건(46.4%)으로 가장 많았다. 진단 및 검사가 85건(24.8%)으로 다음을 차지했고, 치료처치가 32건(9.3%), 투약 및 주사가 27건(7.9%)을 차지했다. 3. 사고의 원인이 된 주요 과정이 수술인 경우 수술의 종류를 살펴본 결과, 척추 수술이 78건(49.1%)으로 가장 많았고, 인공관절 수술 18건(11.3%), 골절 수술 17건(10.7%)순이었다. 4. 사고의 결과는 장애가 140건(40.8%)으로 가장 많았고 후유증(합병증)이 92건(26.8%)으로 다음을 차지했다. 그 다음으로는 사망 62건(18.1%), (재)수술 32건(9.3%), 지속적 통증 11건(3.2%), 치료기간 연장 5건(1.5%)이었다. 5. 판결문에 제시된 의무위반을 분석한 결과, 위반 없음이 121건(35.3%), 주의의무 위반 107건(31.2%), 기타 합의권고결정이나 조정 등이 80건(23.3%)이었다. 6. 병원 내원시 원인이 된 부위는 척추가 134건(39.1%)으로 가장 많았다. 견관절, 상완, 주관절, 수부, 전완 등 상지에 관련된 사건이 53건(15.5%), 골반과 고관절, 대퇴부 관련이 44건(12.8%), 슬관절 41건(12%), 슬관절 아래 하지와 족관절 41건(12%), 복합적인 부위가 21건(6.1%)이었다. 7. 최종심 판결의 결과, 원고일부승이 139건(40.5%)이었고 원고패(기각)이 118건(34.4%), 합의권고결정이나 조정 등이 81건(23.6%)을 차지했다. 8. 감염이 발생한 사건은 90건으로 26.24%였다. 질적 분석 결과, 판결문에서 파악가능한 원인 중 인적인 기여요인은 환자의 증상에 민감하게 대처하지 않은 것이었다. 환자가 이상 증상 호소시 즉각적으로 추가 검사나 진단을 실시하였더라면 악결과로 이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었고 위해의 정도가 낮아질 수 있었다. 시스템상의 기여요인으로는 병원 체제의 경직화로 인해 의료진간의 의사소통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는 것과 타과와의 협진 지연 등 진료 체계의 미흡한 점 등이 있었다. 질적 분석을 통한 사건별 재발방지를 위한 사항은 다음과 같다. 수술 후 이상증상이 나타날 시 즉각 추가 검사를 통해 원인 규명을 해야 하며, 의료인간의 인수인계 과정에서 내용이 누락되지 않도록 인수인계 서식을 사용하도록 한다. 수술 전 환자 확인시 여러 단계의 확인 작업을 거치도록 하고, 수술 후 환자의 통증 사정, 활력징후 측정, 호흡기능 사정, 수술 부위 관찰, 합병증 관찰 등 수술 후 환자관리 지침을 개발하고 제대로 시행되는지 평가·환류한다. 의료인에게 응급조치 교육을 집중적으로 실시하고 주기적인 평가 시행과 재교육 등을 제공하며, 고위험군 환자는 타과와의 원활한 협진을 통해 수술 전·후 체계적인 관리를 받을 수 있도록 한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볼 때, 추후 연구를 통해 다양한 사례를 대상으로 의료사고에 대한 근본 원인 분석이 이루어져, 예방이 가능한 사고는 재발방지 대책을 수립하고 시스템이나 체제의 보완을 통해 보다 안전한 진료환경을 만들어나가려는 노력이 계속되어야 할 것이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8
    35 8 환자 의사 관계 일본에서의 의료과오에 대한 형사책임 / 배상균 2017  112
    34 8 환자 의사 관계 의사의 환자 지향적 커뮤니케이션과 만성질환자의 삶의 질과의 관계: 건강행태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이정선 외 2018  107
    33 8 환자 의사 관계 보건의료전공 대학생들의 환자안전에 대한 태도와 수행자신감 / 위성욱 2019  107
    32 8 환자 의사 관계 의사의 비밀유지의무와 정보의 자기결정권 - 지정토론문 / 주호노 2018  105
    31 8 환자 의사 관계 환자 맞춤형 모바일 의료정보 서비스 시스템 설계 및 구현 2016  104
    30 8 환자 의사 관계 의료과오소송에 있어서 과실의 입증 / 신은주 2016  102
    29 8 환자 의사 관계 인터넷 건강정보가 의사-환자 관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의사들의 인지도 조사 / 김정은 외 2007  98
    28 8 환자 의사 관계 분만 의료사고에 대한 보상사업 : 의료사고 피해구제 및 분쟁조정 등에 관한 법률 제46조에 관하여 / 백경희, 안법영 2011  97
    27 8 환자 의사 관계 의료과오소송에서의 치료비 청구와 ‘책임제한’ 법리의 재검토 / 장재형 2018  96
    26 8 환자 의사 관계 응급환초록 (Abstract)자 전원에 관한 판례의 태도 / 이재열 2009  94
    25 8 환자 의사 관계 응급의료현장에서 질적 확률표현에 대한 의료인-환자 간의 인식 비교 / 오제혁 외 2014  87
    24 8 환자 의사 관계 자녀의 의료사고에 대한 어머니의 경험 / 주은경 2018  82
    23 8 환자 의사 관계 임상시험 실시 기관 내 시험대상자 보호 업무의 개선방안에 대한 연구 / 이소형 2015  80
    22 8 환자 의사 관계 의료기관과 보험회사 종사자의 의료정보보호 인식도 및 실천도 분석 / 이효연 2019  79
    21 8 환자 의사 관계 의료과오소송에서 손해배상에 관한 연구 / 조민석 2016  75
    20 8 환자 의사 관계 의사들의 호스피스 관리에 대한 임상적인 접근 1999  74
    19 8 환자 의사 관계 의사-환자 관계성 측정척도 개발에 관한 연구 / 박진영 외 2014  71
    18 8 환자 의사 관계 환자안전에 관한 문헌 연구: 국내연구를 중심으로 / 황지영 외 2018  68
    17 8 환자 의사 관계 우리나라 의료기기 부작용에 따른 피해구제시스템 도입방안 연구 / 최철호 2017  65
    16 8 환자 의사 관계 의료소송과 실질적인 환자의 권리보호에 관한 소고 / 손연우 2016  5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