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175
발행년 : 2010 
구분 : 학위논문 
학술지명 : 연세대학교 보건대학원 : 보건정보관리학과 (석사)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T12191195 

보건의료분야 정보보호 및 정보화촉진체계 구축에 관한 연구




초록 ( Abstract )

  • 의료기관의 정보시스템 구축 확산, 의료법 개정을 통한 원격의료 규제 완화 추진, u-Healthcare 활성화 등은 의료서비스의 질적 향상 및 편의성 등을 제공할 것이다. 그러나, 동시에 이러한 정보...
  • 의료기관의 정보시스템 구축 확산, 의료법 개정을 통한 원격의료 규제 완화 추진, u-Healthcare 활성화 등은 의료서비스의 질적 향상 및 편의성 등을 제공할 것이다. 그러나, 동시에 이러한 정보화로 인한 역기능도 함께 고려되어야 하며, 그 중에서도 전산화되는 국민의 건강정보 보호에 관한 제도적 보완이 우선시되어야 할 것이다. 그간 보건의료분야의 정보보호에 관한 많은 연구와 법률 제정이 추진되어 왔으나, 각계의 이해대립으로 관련 법안제정은 원활히 진행되지 못했으며, 또한, 의료법의 전자의무기록, 전자처방전, 원격의료 관련조항은 그 신설목적과는 달리, 의료현장에서는 오히려 정보화를 저해하는 요소로 인식되고 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보건의료분야 정보보호 및 정보화촉진에 관한 그간의 연구 및 법률 제정 추진 과정을 살펴보고 주요 쟁점사항을 도출하는 한편, 각 쟁점사항에 대한 찬반입장, 현재 시점에서의 진행상황 등을 반영하여 보건의료분야의 정보보호와 정보화촉진에 관한 제도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논문 제 2장에서는 건강정보에 대한 개념과 법제도를 살펴보고, 그간의 정책연구 및 법률 제정 추진과정에서의 논의사항 등을 통하여 주요 쟁점을 도출하였다. 제3장에서는 보건의료분야 정보화촉진에 관한 사항으로 의료법의 전자의무기록, 전자처방전, 원격의료 조항을 살펴보고, 주요 쟁점으로 전자의무기록의 위탁관리 및 원격의료 규제완화에 관한 사항을 도출하였다. 제4장에서는 앞서 도출한 주요쟁점사항 중 건강정보보호법안 제정의 필요성, 건강정보의 수집?이용?제공, 전자의무기록의 위탁관리에 관한 현황 및 문제점을 분석하여 그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제5장에서는 건강정보보호와 정보화촉진에 관한 주요 쟁점사항들에 대하여, 그 개선방안을 정리함으로써 본 논문을 마무리하였다. 국민의 건강정보를 안전하게 보호하기 위한 별도의 법률 제정은 필요하나, 법률의 실효성 확보를 위하여 의료계와 국민의 충분한 의견수렴을 통한 내용적인 보완이 우선 검토되어야 할 것이며, 또한, 보건의료분야의 정보화촉진을 위한 실질적인 제도마련을 위한 세부적인 논의와 법령 개정이 필요할 것이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6
    75 8 환자 의사 관계 아동 주치의등록제에 대한 정의론적 접근 / 김준혁 2018  186
    74 8 환자 의사 관계 일 요양병원 노인환자의 품위 있는 죽음태도와 사전의료의향서 작성 의향 2017  183
    73 8 환자 의사 관계 의료행위 동의권자의 결정 ; 성년후견제 시행에 대비하여 / 현소혜 2012  182
    72 8 환자 의사 관계 의사윤리지침의 유용성, 한계, 구속성 / 유호종 2003  181
    71 8 환자 의사 관계 일개 종합병원 의료종사자들의 환자안전과 관련된 의료과오보고 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융합요인/강정미, 권정옥 2018  181
    70 8 환자 의사 관계 의사에게 치료상의 과오를 설명할 의무가 있는가?/김민중 2014  176
    69 8 환자 의사 관계 의사의 설명의무와 인신사고의 소멸시효에 관한 고찰 / 백경희 2017  175
    68 8 환자 의사 관계 오스트리아 환자사전의사표시법(PatVG) / 이석배 2007  173
    67 8 환자 의사 관계 선택진료제를 위반한 의료행위의 민사책임에 관한 고찰/백경희 외 2014  173
    66 8 환자 의사 관계 보건의료정보 보호에 관한 법제 연구 / 이진영 2009  169
    65 8 환자 의사 관계 개정된 의료사고 피해구제 및 의료분쟁 조정 등에 관한 법률 시행에 따른 의사의 진료행태 변화에 관한 연구 / 강유평 2017  169
    64 8 환자 의사 관계 의료기기의 결함으로 인한 손해배상책임과 미국 연방법 우선 적용 이론에 관하여/김장한 2014  167
    63 8 환자 의사 관계 의료기관 종사자들의 정보보안정책준수의도에 미치는 영향 / 김유록 2019  167
    62 8 환자 의사 관계 인공지능을 활용한 의료행위와 환자의 법적 구제수단 - IBM Watson(왓슨)의 이용을 중심으로- / 이현경 2018  162
    » 8 환자 의사 관계 보건의료분야 정보보호 및 정보화촉진체계 구축에 관한 연구 / 이은자 2010  161
    60 8 환자 의사 관계 의사의 환자중심적 커뮤니케이션이 만성질환 환자의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 건강행동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이정선 외 2018  159
    59 8 환자 의사 관계 의료계약에 있어서 비밀유지의무위반의 민법상 책임 / 김세준 2014  158
    58 8 환자 의사 관계 병원간호사가 지각한 환자안전관리 중요성 인식, 환자안전문화 및 안전수행이 병원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 / 박미연 외 2018  156
    57 8 환자 의사 관계 중국의 의료분쟁 조정제도 : 의료분쟁 조정제도 / 조도환 2005  155
    56 8 환자 의사 관계 급성 충수염과 관련된 의료 소송 : 판례 중심의 의료법학적 접근 / 배현아, 노현, 장혜영, 정구영 2007  15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