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175
발행년 : 2011 
구분 : 학위논문 
학술지명 : 한양대학교 대학원 : 법학과 민법전공 (석사)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T12507905 

의사의 설명의무위반에 대한 민사책임 = Doctors' civil liability for violation of the obligatory explanation


  • 저자 : 이태섭
  • 형태사항 : x, 139 p. ; 26 cm.
  • 일반주기 :

    國文抄錄: p. ix-x
    Abstract: p. 138-139
    설명적 각주 수록
    지도교수: 이덕환
    參考文獻: p. 128-137
    서지적 각주 수록

  • 학위논문사항 : 학위논문(석사)-- 한양대학교 대학원 : 법학과 민법전공 2011. 8
  • 발행국 : 서울
  • 언어 : 한국어
  • 출판년 : 2011
  • 주제어 : 법학



초록 ( Abstract )

  • 미국⋅독일 등에서 일찍이 문제되고 있던 의사의 설명의무가 우리나라에 도입되어 의료과오의 새로운 유형으로 자리매김하게 되었으며 최근에는 설명의무위반을 원인으로 하는 소송이 ...
  • 미국⋅독일 등에서 일찍이 문제되고 있던 의사의 설명의무가 우리나라에 도입되어 의료과오의 새로운 유형으로 자리매김하게 되었으며 최근에는 설명의무위반을 원인으로 하는 소송이 많이 제기되고 있다. 그리하여 자연히 의사의 설명의무위반에 대한 손해배상책임문제를 다룬 판례가 많이 나오게 되었으며, 학계에서도 이 문제에 관한 논의가 활발하게 이루어져 왔다.
    주지하는 바와 같이 의료행위는 환자의 신체침습을 통하여 이루어지므로 의사의 과실에 의하여 환자가 사망하거나 상해를 당하는 위험을 내포하고 있다. 따라서 의사는 환자의 자기결정권을 존중하여 진료에 앞서 환자에게 진료에 따른 위험 등에 관하여 충분히 설명하여 환자의 동의를 받아야 하는 이른바 설명의무를 부담한다. 이러한 의사의 설명의무는 의료계약상의 독립적인 부수의무로서, 만약 의사가 이 의무를 위반하면 계약상의 채무불이행책임과 더불어 신체침해를 구성요건으로 하는 불법행위책임을 지게 된다. 그런데 우리나라 학설과 판례에서 가장 논란의 초점이 되고 있는 것은 손해배상의 범위에 관한 문제이다. 물론 통설과 판례에서는 의사의 설명의무위반에 대한 재산적⋅정신적 손해 모두를 인정하고 있다. 그러나 그 인정근거에 대하여는 학설상의 견해가 대립하고 있으며, 특히 대법원 판례에서는 설명의무위반과 발생한 악결과사이에 상당인과관계가 있어야 하고, 또한 설명의무위반의 정도가 진료상의 과실의 전제가 되는 주의의무위반의 그것과 동일할 것을 요구함으로서 실질적으로 재산적 손해배상은 인정되지 않고 있다. 이러한 학설과 판례에서의 견해의 난립은 의사의 설명의무법리를 오해한데서 비롯된 것이다. 의사가 설명의무를 위반하면 환자의 자기결정권이라는 보호법익이 침해되고, 그 결과 환자의 신체적 완전성이라는 보호법익도 침해되는 것이다. 즉 이 경우에는 환자의 보호법익이 이중으로 침해되는 것이다. 따라서 자기결정권이라는 인격권의 침해나, 또는 신체적 완전성 침해로 인한 정신적 고통에 대한 위자료, 뿐만 아니라 신체적 완전성의 침해로 인하여 발생하는 재산적 손해도 함께 배상되어야 한다. 그리고 신체적 완전성이 침해되지 않고 자기결정권만이 침해된 경우에는 의료계약상의 설명수령자인 환자만이 위자료 청구권을 가지게 된다. 그러나 환자의 신체적 완전성이 침해되어 환자가 사망하는 경우에는 제752조에 의하여, 그리고 상해를 당한 경우에는 제752조의 확대적용에 의하여 환자 뿐만 아니라 그 가족들도 위자료청구권을 가진다고 할 것이다. 한편 의사의 설명의무위반에 대한 입증책임은 어디까지 설명의무를 부담하고 있는 의사 자신이 필요한 설명을 다하였다는 사실을 입증하여야 한다. 이 경우에는 의사에게 입증책임이 전환되어 있는 것이다.
    앞으로는 우리나라에서도 미국⋅독일 등에서와 같이 의료과오소송에서 의사의 설명의무위반을 이유로 소송이 증가할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이러한 의료과오소송에서 피해자의 합리적인 구제를 위한 의사의 설명의무법리의 확립이 시급히 요청된다 할 것이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8
    135 8 환자 의사 관계 간호사의 의료과오 책임에 관한 연구/장미희 2014  425
    134 8 환자 의사 관계 의학 전문직업성의 덕 윤리적 접근 / 최숙희 2013  422
    133 8 환자 의사 관계 환자의 자율성에 관한 연구 - Beauchamp과 Childress의 관점에 대한 비판적 검토 / 홍소연 2005  419
    132 8 환자 의사 관계 배려윤리에 근거한 환자-의사관계의 윤리 / 유수정 2009  416
    131 8 환자 의사 관계 의사의 비밀유지의무와 정보의 자기결정권 / 김형선 2018  413
    130 8 환자 의사 관계 개인의료정보보호법 제정의 필요성과 입법방향 / 이한주 2014  394
    » 8 환자 의사 관계 의사의 설명의무위반에 대한 민사책임 / 이태섭 2011  381
    128 8 환자 의사 관계 의료정보의 보호와 관리방안 / 최중명, 오인환, 오창모 2012  378
    127 8 환자 의사 관계 수술환자의 권리보호에 대한 형사법적 쟁점 - 환자의 자기결정권을 중심으로 -/유재근 2015  378
    126 8 환자 의사 관계 환자의 승낙과 치료중단에 따른 의사의 형사책임 / 장승일 2006  363
    125 8 환자 의사 관계 의료소송에서 과실과 인과관계의 증명 : 병원감염 판결을 중심으로/유현정 2014  354
    124 8 환자 의사 관계 응급진료에서 치료거부와 원칙으로서의 자율성 / 김아진 2015  344
    123 8 환자 의사 관계 의료과오소송에서 증인인 담당의사의 신문 등에 관한 연구 -환자 측 소송대리인의 입장에서- / 박태신 2015  340
    122 8 환자 의사 관계 의료사고 환자들의 외상후 스트레스 장애(PTSD) 실태: 의료진의 설명 및 태도와 사회적 지지의 상호작용 / 김나연 외 2017  340
    121 8 환자 의사 관계 양방의료행위와 한방의료행위의 의의 및 중첩 양상에 관한 판례의 태도에 대한 고찰 / 백경희, 장연화 2014  338
    120 8 환자 의사 관계 의료사고 재발 방지를 위한 의료소송 판결문의 원인분석 방법의 활용 / 이원, 김소윤, 이미진 2014  329
    119 8 환자 의사 관계 한국소비자원 의료분쟁 조정제도의 개선방안/전병남 2015  325
    118 8 환자 의사 관계 의료소송실무상 감정의 현황 및 개선방향 : 한 의료소송전문 법률사무소의 최근 10년간 사례를 중심으로 / 진수현 2008  322
    117 8 환자 의사 관계 의료판례를 이용한 의료사고에 대한 원인분석 및 맵개발에 대한 연구 / 김선녀 2018  321
    116 8 환자 의사 관계 의사의 비밀유지의무의 근거와 한계- 독일 항공기 저먼윙즈(Germanwings) 참사에 관한 최근의 논의에 대하여/군나 두트게, 장영민, 손미숙 2015  3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