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175
발행년 : 2013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한국의료법학회지 제21권 제2호 
관련링크 : http://www.dbpia.co.kr/Article/3385844 
한국어 초록
  모든 국민의 질병을 예방하고 높은 수준의 의료혜택을 위하여 의과대학 혹은 의학전문대학원의 내실있는 교육이 필요하다. 최근 급변하는 의료환경에서 현시대에 알맞은 의학교육을 찾기 위한 노력을 경주하고 있다. 의사국가고시에 이론적인 시험뿐만 아니라 실습시험을 추가로 하여 의료인의 질적 향상을 높이고 있다. 이러한 시점에서 병원내의 임상실습이 안정적이고 확대되어 실시되어야 한다. 그러나 환자의 개인정보 및 실습대상이라는 선입견으로 인해 제대로 된 임상실습을 하지 못하는 경우가 있다. 특히 산부인과와 같이 생식기계통을 진료하는 분야에서 임상실습은 문제가 되고 있다. 의과대학생의 실습에 대한 권리와 환자의 개인정보 및 신체적인 보호가 상반되는 경우가 많다. 본 연구에서는 임상실습과 관련된 법적인 문제와 이와 관련된 판례를 살펴보고 이를 통해 개선방안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의료법에는 지도교수의 감독과 지시에 학생의 임상실습이 가능한 것으로 되어 있고, 국내의 판례에서는 시술을 할 수 있는 범위와 실습을 할 수 있는 병원에 대한 종류에 관하여 정해져 있지만 학생들에 대한 실습에 대한 학습권을 보장하는 판례는 없었으며 이에 대한 규정은 마련되고 있지 않았다. 결론적으로 미래의 유능한 의료진 양성을 위해서 원활할 학생들의 술기가 행하여져야 하며 이에 대한 기준이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환자 개인의 신상정보나 질환 등에 대한 보호가 우선되며 의과대학생 각각의 개인에 대한 의료윤리가 강화되어 보다 나은 의료실습환경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영어 초록

  For prevention of the diseases and health benefits with high quality, the clinical education of school of medicine or medical college is required. The efforts for detection of appropriate medical education dependant on rapidly changing health care environment. A state examination for medical doctor, which includes theoretical test and clinical performance examination, have increased the quality for medical doctor. At this time, clinical training in the hospital for medical students is reliably and expanding. However clinical training was inadequate because of the privacy of patients and prejudices of target for clinical practice. Especially, obstetrics and gynecology, urology which deal with genital and reproductive system, are at issue. This paper is to review the legal issues related to clinical practice and the clinical practise, and to investigate improvement methods. It is possible for students to perform the skill and treatment under supervisor. There have been the ranges and hospitals allowed the clinical training for students but are not rules for guarantee of the right of learning for student. In conclusion, most of the students have provided with standard rules to deal successfully physician in the future. Also, training of medical students with the right to privacy, and physical protection of patients are often conflicting. The protection for personal information of patients and the increasing ethics for medical student will be made and the environment for clinical training will be made.



목차

국문초록
I. 들어가는 말
II. 의학교육에서 윤리적 충돌과 제도적 문제점
III. 임상실습과 관련된 법률과 문제점
IV. 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의과대학, 임상실습, 병원, 의료환경, 개인정보, 환자, 학생, Medical school, Clinical Training, Hospital, Medical Environment, Personal Information, Student



상세서지

  • 발행기관 : 한국의료법학회
  • 자료유형 : 전자저널 논문
  • 등재정보 : KCI 등재
  • 작성언어 : 한국어
  • 파일형식 : Text PDF
  • KORMARC
  • URL : http://www.dbpia.co.kr/Article/3385844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6
155 8 환자 의사 관계 의료과오소송에서 손해배상에 관한 연구 / 조민석 2016  75
154 8 환자 의사 관계 의료기관과 보험회사 종사자의 의료정보보호 인식도 및 실천도 분석 / 이효연 2019  79
153 8 환자 의사 관계 임상시험 실시 기관 내 시험대상자 보호 업무의 개선방안에 대한 연구 / 이소형 2015  80
152 8 환자 의사 관계 자녀의 의료사고에 대한 어머니의 경험 / 주은경 2018  82
151 8 환자 의사 관계 응급의료현장에서 질적 확률표현에 대한 의료인-환자 간의 인식 비교 / 오제혁 외 2014  86
150 8 환자 의사 관계 응급환초록 (Abstract)자 전원에 관한 판례의 태도 / 이재열 2009  94
149 8 환자 의사 관계 의료과오소송에서의 치료비 청구와 ‘책임제한’ 법리의 재검토 / 장재형 2018  96
148 8 환자 의사 관계 분만 의료사고에 대한 보상사업 : 의료사고 피해구제 및 분쟁조정 등에 관한 법률 제46조에 관하여 / 백경희, 안법영 2011  97
147 8 환자 의사 관계 인터넷 건강정보가 의사-환자 관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의사들의 인지도 조사 / 김정은 외 2007  98
146 8 환자 의사 관계 의료과오소송에 있어서 과실의 입증 / 신은주 2016  101
145 8 환자 의사 관계 환자 맞춤형 모바일 의료정보 서비스 시스템 설계 및 구현 2016  104
144 8 환자 의사 관계 의사의 비밀유지의무와 정보의 자기결정권 - 지정토론문 / 주호노 2018  105
143 8 환자 의사 관계 의사의 환자 지향적 커뮤니케이션과 만성질환자의 삶의 질과의 관계: 건강행태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이정선 외 2018  105
142 8 환자 의사 관계 보건의료전공 대학생들의 환자안전에 대한 태도와 수행자신감 / 위성욱 2019  107
141 8 환자 의사 관계 일본에서의 의료과오에 대한 형사책임 / 배상균 2017  112
140 8 환자 의사 관계 응급의료체계 내에서 진료정보교류의 법제 / 배현아 2016  113
139 8 환자 의사 관계 의료행위와 환자의 자기결정권에 관한 고찰/김영태 2014  114
138 8 환자 의사 관계 의과대학생을 위한 환자안전 교육의 국제적 동향 및 국내 현황 / 노혜린 2019  115
137 8 환자 의사 관계 제소 전 의료분쟁 해결에 관한 연구 : 한국소비자원 의료분쟁 조정을 중심으로 / 김경례 2012  117
136 8 환자 의사 관계 '의료적 결정'에 대한 윤리적 정당성의 근거 / 정재우 2015  1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