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175
발행년 : 2012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생명윤리 제12권 제2호 
관련링크 : http://www.dbpia.co.kr/Article/1607625 
한국어 초록
  이 논문은 의료소송에서 판례를 통해 확립된 인폼드 컨센트의 유래를 살펴보고, 이 법리가 법적원칙 뿐만 아니라 의료 · 생명윤리의 원리로 발전하는 과정을 검토하고자 한다.
  인폼드 컨센트는 민주주의적 인간관계와 상호소통을 존중하는 측면을 가지고 있음을 전제로 첫째, 인폼드 컨센트가 환자의 자기결정권 존중을 근거로 하고 있음을 확인하고 이 법리를 발전시킨 미국의 상황을 개관한다. 둘째, 인폼드 컨센트의 학설상의 논의를 살펴보고 현대 첨단생명의료에 미치는 변화와 영향을 검토하기로 한다.



영어 초록

  The principle requiring physicians to obtain a patient’s informed consent before undertaking treatment is relatively young, having first appeared in recognizable, relatively robust form only in 1957.
  The doctrine of informed consent in health care shared in the more general expansion of American tort liability that proceeded well into the 1980’s and that now appears to have stabilized. There is a long history of biomedical research conducted on human subjects worldwide. This article overviews principle of law not only legal principle the process which develops with principle of medical treatment life ethics under investigating should have been boiled. Informed consent having the side which respects a democratic human relation and trade name being understood, first, informed consent doing based on own decisive power respect of the patient, situation of the United States which this principle of law confirms at prerequisite and develops is an open pipe grudge. Second, informed consent look at the modern art of the doctrinal debate on the impact of life changes in health care is to review and influence.



목차

【국문초록】
Ⅰ. 머리말
Ⅱ. 전통적 의료행위에서의 인폼드 컨센트
Ⅲ. 첨단 생명의료행위에서의 인폼드 컨센트
Ⅳ. 맺음말 - 법원칙에서 윤리적 이념으로
【Abstract】



키워드

인폼드 컨센트, 의료행위, 의학연구, 연구윤리, 자기결정권, 뉘른베르크 강령, 헬싱키 선언, Informed Consent, Medical Practice, Medical Research, Research Ethics, Self-Determination, Nuremberg Code, Declaration of Helsinki



상세서지

  • 발행기관 : 한국생명윤리학회
  • 자료유형 : 전자저널 논문
  • 등재정보 : KCI 등재후보
  • 작성언어 : 한국어
  • 파일형식 : Image PDF
  • KORMARC
  • URL : http://www.dbpia.co.kr/Article/1607625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6
175 8 환자 의사 관계 개정된 의료분쟁조정법 하위법령에 대한 고찰 / 김필수 2017  35
174 8 환자 의사 관계 의료소송상 환자보호를 위한 방안의 검토 : 입증부담의 경감방안 및 적극적 위자료 인정의 필요성을 중심으로 / 한태일 2017  36
173 8 환자 의사 관계 The Obligation to Provide Information where Valid Consent is Not Needed / Walker, Tom 2017  36
172 8 환자 의사 관계 개정된 의료분쟁조정법 시행 관련 정책적 함의 및 향후과제 / 성용배 2017  38
171 8 환자 의사 관계 한방의료분쟁의 합리적인 해결방안 연구 / 정미영 2008  38
170 8 환자 의사 관계 의료분쟁조정법상 조정 자동개시 조항에 관한 고찰 / 김석영 외 2018  45
169 8 환자 의사 관계 의료과오소송 입증책임 관련 입법의 동향 /조형원 2008  47
168 8 환자 의사 관계 의료기관 인증제에 대한 인식이 요양병원 간호인력의 환자안전관리 활동에 미치는 영향 / 권명숙 외 2018  48
167 8 환자 의사 관계 개정 의료분쟁조정법 시행에 따른 의료분쟁조정제도에 관한 현황과 과제 / 신현호 외 2017  48
166 8 환자 의사 관계 환자의 건강권 및 의료인의 진료권 보호를 위한 의료관계법령 개선 / 이얼 2016  51
165 8 환자 의사 관계 의사-환자 관계성에 관한 상호이해도 분석 / 박진영 외 2015  52
164 8 환자 의사 관계 신진학자 연구논문 : 유방암 환자들의 치료과정에서 환자-의사 관계의 관계적 체험과 의미 탐색: 감정 체험과 인지적 관점을 바탕으로 / 이혜범 2013  52
163 8 환자 의사 관계 의료판례의 동향과 문제 / 백경희 외 2018  54
162 8 환자 의사 관계 정부 지원 환자안전 연구의 타당성 검토 / 이 원 외 2018  54
161 8 환자 의사 관계 의료과오에 있어서 인과관계에 관한 판례의 고찰 /신은주 2012  55
160 8 환자 의사 관계 의료소송과 실질적인 환자의 권리보호에 관한 소고 / 손연우 2016  59
159 8 환자 의사 관계 환자안전에 관한 문헌 연구: 국내연구를 중심으로 / 황지영 외 2018  64
158 8 환자 의사 관계 우리나라 의료기기 부작용에 따른 피해구제시스템 도입방안 연구 / 최철호 2017  65
157 8 환자 의사 관계 의사-환자 관계성 측정척도 개발에 관한 연구 / 박진영 외 2014  71
156 8 환자 의사 관계 의사들의 호스피스 관리에 대한 임상적인 접근 1999  7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