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175
발행년 : 2009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憲法學硏究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76501139 
헌법상 유전정보보호와 의사의 고지의무 : 미국의 사례를 중심으로 
= Constitutional protection for genetic information and Doctors' duty to notice : In the center of judicial precedents in America

  • 저자[authors] 허전(Huh  Jun) ,정덕영(Jeong  Duck Young)

  • 학술지명[periodical name] 憲法學硏究

  • 권호사항[Volume/Issue] Vol.15No.2[2009]

  • 발행처[publisher] 한국헌법학회

  • 자료유형[Document Type] 학술저널

  • 수록면[Pagination] 501-529

  • 발행년[Publication Year] 2009

  • KDC[Korean Decimal Classification] 362

  • 주제어[descriptor] 유전정보, 유전정보보호, 의사의 비밀유지의무, 의사의 고지의무, 의료보험의 이전 및 책임에 관한 법률, genetic information, protection of genetic information, doctors' confidentiality obligation, doctors' duty to notice, HIPAA


국문 초록[abstracts]
인간은 부모로부터 유전정보를 계승하여 생명체로 태어나게 된다. 그러므로 가족구성원들은 유전정보를 공유하게 된다. 이러한 유전정보의 가족구성원간의 공유성은 유전자에 근거하는 가족적 연대를 공고히 할 수도 있지만 가족구성원간의 대립을 가져올 수도 있다. 자신에게 유전질환이 있는 것을 숨기고 싶어 하는 환자와 해당 환자의 유전정보를 알아내어 자기의 유전적 위험을 확인하고 싶어 하는 혈족의 이익이 충돌될 가능성이 있다. 이러한 가족구성원간의 대립은 히포크라테스 선서에 의한 비밀유지의 의무에 혼란을 줄 수 있다. 유전질환은 유전적 성질에 의해서 환자뿐만 아니라 혈족도 그러한 유전질환을 가지고 있을 가능성도 있다. 그러므로 유전의료를 담당하는 의사는 헌법상 환자의 프라이버시권을 보호하기 위해 비밀유지의무를 준수해야 하는지, 그렇지 않으면 유전적 위험에 처한 환자의 가족에게 유전정보를 고지해야 하는지에 대해 법적으로 해결하여야 할 문제이다. 환자의 유전정보에 대한 의사의 비밀보호의무가 법적으로 규정되어 있다. 하지만 의사는 환자의 유전질환을 가족에게 고지해야만 하는 예외가 존재한다. 즉, 가족에게 유전질환의 발생 가능성이 높고, 유전질환을 초기에 발견하면 치료가 가능하며, 고지한 경우와 고지하지 않은 경우를 비교형량하여 고지하지 않음으로써 발생하는 손해가 고지에 의해 발생하는 손해보다 더 큰 경우이다. 이러한 예외적인 사항은 미국의 판례에 의해 이미 도출되고 있다. 이 논문에서는 이러한 고지의무에 대해 미국의 판례와 입법례를 중심으로 살펴보려는 바, 이는 향후 우리나라에서도 나타날 수 있는 유전정보의 보호와 의사의 고지의무와의 충돌문제를 해결하는데 시사하는 바가 클 것이다.

다국어 초록[Multilingual Abstract]
We are born with DNA which includes all the information about genetic inheritance. Therefore, family members share the same genetic information. DNA includes all the information about genetic inheritance. Sharing same genetic information may make family-relationship strong, but at the same time it may cause conflict among the family members. Because a patient wants to keep his genetic disease, but his family members want to check family genetic risk. In such a case, a doctor can be confused about confidentiality obligations by Hippocratic oath. There is high possibility that patient's family members have the same genetic disease which the patient has. Hence we should legally solve whether doctors should keep secret to protect the patient's privacy right, or has to notice patient's genetic information to patient's family members who have high risk of genetic disease. In principle, a doctor has confidentiality obligation. So, a doctor has to keep secret about the patient's disease. But there is an exception which a doctor has to notice patient's disease to patient family members. In other words, first there is high risk to occur genetic disease to patient's family members. Second, genetic disease can be cured if detected early. Third, damages caused by not notifying is bigger than damages caused by notifying. These exceptions are found on judicial precedents of America. Why we study the legislations and judicial precedents of America in relation to doctors' duty to notice is that it can give us many suggestions to solve the problems of “Genetic information protection and doctors' duty to notice” which may happen in Korea.

목차[Table of content]
Ⅰ. 들어가며 Ⅱ. 유전정보보호에 관한 헌법적 보장 Ⅲ. 미국에 있어서의 유전정보보호와 의사의 고지의무 Ⅳ. 나오며 참고문헌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8
95 8 환자 의사 관계 자기결정능력 흠결 상태의 환자에 대한 의료행위의 동의에 관한 소고(小考) / 백경희 2015  239
94 8 환자 의사 관계 일본에 있어 의료사고에의 대응과 시사점 - 의료사고조사제도와 무과실보상제도를 중심으로 - / 홍태석 외 2018  229
93 8 환자 의사 관계 비뇨기과의 영역에서 의료책임과 최근동향 / 김기영 외 2016  227
92 8 환자 의사 관계 공동의사결정에서 의사결정 코칭(Decision Coaching)의 함의/이은영 2015  221
91 8 환자 의사 관계 의료적 의사결정에서 자율성 능력 모델의 한계와 그 대안의 필요성 / 송윤진 2016  221
90 8 환자 의사 관계 의료정보의 관리와 비식별화에 관한 법적 과제 / 박민영, 최민경 2016  218
89 8 환자 의사 관계 성년후견제도와 정신보건법상 환자의 동의권에 관한 연구/문상혁 2015  216
88 8 환자 의사 관계 환자의 자기결정권에 관한 연구-의사,환자관계의 유형을 중심으로 / 박태신 2014  210
87 8 환자 의사 관계 의료에서의 사전의사결정(advanced directives)에 대한 도덕적 검토 / 손명세, 유호종 2001  209
86 8 환자 의사 관계 병원감염 사건에서 사실상 증명책임 전환의 필용성 및 그 근거로서 안전배려의무에 관한 검토/유현정 2014  209
85 8 환자 의사 관계 의사는 적응증이 아닌데도 수술을 원하는 환자를 어떻게 대해야 할까?: 닥터링 통합과정의 설명의무 사례를 중심으로/정창록, 김소윤 2015  209
84 8 환자 의사 관계 의대생의 임상 실습에 따른 환자-의사 관계 평가 비교 / 윤희정 2010  205
83 8 환자 의사 관계 의료과오소송에서의 책임제한법리 / 심다은 외 2018  205
82 8 환자 의사 관계 의료 전문직 윤리교육과 합리적인 의료오류보고 체계 마련을 통한 의료분쟁의 예방 -일개 지역응급의료센터 의료오류보고 체계를 통한 민원 분석 / 2008  203
81 8 환자 의사 관계 의료분쟁조정제도 운영상의 문제점 및 개선방안/최장섭 2014  201
80 8 환자 의사 관계 미국의 의료과오소송 제도에 관한 고찰 / 이승현 2018  197
» 8 환자 의사 관계 헌법상 유전정보보호와 의사의 고지의무 : 미국의 사례를 중심으로 / 허전, 정덕영 2009  195
78 8 환자 의사 관계 응급 환자 진료에서 설명 의무와 환자 사생활 보호 의무가 상충될 때의 대처 / 배현아, 이석배, 장혜영 2007  191
77 8 환자 의사 관계 의료사고 피해구제제도에서의 입증책임 연구 / 하신욱 2017  188
76 8 환자 의사 관계 수술로봇을 이용한 의료수술과 형사책임의 귀속 / 최민영 2018  18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