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175
발행년 : 2016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생명윤리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102634001 
사회행동과학연구(SBR)의 연구자-연구대상자 관계에서 도덕 판단 원리로서 ‘공감’의 의의 

= Implications of ‘Sympath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Researcher and the Subject of Social Behavioral Research(SBR) : Focusing on the qualitative research

  • 저자[authors] 김진경(Kim Jin-kyong),김택중(Kim Taek-joong)
  • 학술지명[periodical name] 생명윤리
  • 권호사항[Volume/Issue] Vol.17No.2[2016]
  • 발행처[publisher] 한국생명윤리학회
  • 자료유형[Document Type] 학술저널
  • 수록면[Pagination] 1-15
  • 언어[language] Korean
  • 발행년[Publication Year] 2016
  • 주제어[descriptor] 사회행동과학연구(SBR),질적 연구,연구자-연구대상자 관계,공감,상상력,충분한 설명에 의한 동의,social behavioral research,qualitative research,the researcher-subject relationship,sympathy,imaginative power,informed consent

초록[abstracts] 
[사회행동과학연구(Social Behavioral Research, SBR)의 질적 연구는 인간과 사회의 저변에 내재된 질적 특성을 파악하고자 하는 것으로서 인간과 사회적 맥락에 관심을 기울이며 이에 대한 문제 해결을 지향하기 때문에 연구 과정에서 연구자의 주관적 가치를 배제하기 어렵다. 또한 연구자와 연구대상자 간의 상호작용, 연구 과정의 맥락 등을 중요시하는 질적 연구 방법의 특성상 연구 과정이 객관적인 기준을 따르기 어렵다. 이러한 점에서 질적 연구의 경우 연구자가 어떠한 윤리적 의식 및 가치를 가지는가는 연구의 과학적․윤리적 수행과 연구대상자의 안전과 권리 보호를 위한 핵심 요소가 된다. 그리고 연구 과정에서 연구자와 연구대상자가 형성하는 신뢰 관계는 연구를 수행하는 데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SBR의 질적 연구의 특성을 알아봄으로써 연구대상자의 안전과 권리를 보호하는 방안으로서 충분한 설명에 의한 동의가 가지는 한계점을 고찰할 것이다. 그리고 연구자-연구대상자 관계의 도덕 판단 원리로서 “따라 느끼는 것”과 “함께 느끼는 것”으로서‘공감’에 대해 알아봄으로써 질적 연구 과정의 연구자-연구대상자 관계에서 공감이 가지는 도덕적 의의에 대해 논의해 보고자 한다.

As part of social behavioral research(SBR), a qualitative research is to determine qualitative characteristics inherent in human and society. With interest in human and social contexts, the qualitative study aims to provide solutions to problems with those contexts so it may be likely to be affected by personal values that its conductor, or researcher has. The qualitative research may be less likely to be proceeded in accordance with certain objective standards because it tends to put more importance in interactions between the researcher and the subject and contexts of its process. In the qualitative research, therefore, not only the scientific and ethical performance of that research, but also the protection of the subject"s safety and rights are greatly dependent on how much the researcher ethically prepare themselves in terms of consciousness and value. And how much the researcher and the subject trust each other is quite important to the better performance of the qualitative research.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characteristics of qualitative research as part of SBR, determining limitations that obtaining consent by sufficient explanation may have as a way to protect the safety and rights of the subject. The study also tried to examine the very principle of moral judgement in the researcher-subject relationship, that is, ‘sympathy’ that includes “following the other"s feeling” and “sharing a same feeling with the other”, and discussed moral implications that sympathy has in that relationship.]

목차[Table of content]
【국문초록】  Ⅰ. 들어가는 말  Ⅱ. SBR의 질적 연구에서 충분한 설명에 의한 동의  Ⅲ. 도덕 판단 원리로서 ‘공감’  Ⅳ. 연구자-연구대상자 관계에서 공감의 의의  Ⅴ. 맺음말  【Abstract】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6
55 8 환자 의사 관계 의사의 설명의무에 관한 연구 / 심소의 2017  141
54 8 환자 의사 관계 의료 위기 발생 시 위기 요인 및 커뮤니케이션 전략이 공중의 의료기관 신뢰도, 이용의도, 사태 심각성 인식정도에 미치는 영향 / 조윤진 2018  140
53 8 환자 의사 관계 안과 의료소송 판결문 분석을 통한 원인파악과 재발방지에 대한 연구 / 류영주 2017  140
52 8 환자 의사 관계 의료분쟁조정제도의 문제점 및 개선방향 : 절차 및 재원조달을 중심으로 / 김효영 2008  139
51 8 환자 의사 관계 보건의료법제 하에서 인공지능기술의 의료영역 도입의 의의와 법적 문제 / 배현아 2017  139
50 8 환자 의사 관계 분업적 의료행위에 따른 형사책임관계/정웅석 2014  137
49 8 환자 의사 관계 의료분쟁의 실태와 해결에 관한 연구 2017  137
48 8 환자 의사 관계 변화하는 의료 환경 속에서 개인의료, 건강정보 보호의 중요성 / 이상윤 2016  136
47 8 환자 의사 관계 임플란트 시술상 의료과오의 소송상 쟁점에 관하여 / 한태일 2018  135
46 8 환자 의사 관계 커뮤니티케어에서 의사의 역할이 왜 중요한가? / 이건세 2019  134
45 8 환자 의사 관계 의료 중과실(重過失)에 대한 법적 고찰 / 백경희 외 2017  131
» 8 환자 의사 관계 사회행동과학연구(SBR)의 연구자-연구대상자 관계에서 도덕 판단 원리로서 ‘공감’의 의의 / 김진경 외 2016  130
43 8 환자 의사 관계 미국에서의 의료과오상 손해배상제도의 개혁과 시사점 / 봉영준 2017  129
42 8 환자 의사 관계 임상시험심사위원회(IRB)의 리베이트 통제 역할에 관한 소고 / 강한철 2013  126
41 8 환자 의사 관계 '의료적 결정'에 대한 윤리적 정당성의 근거 / 정재우 2015  121
40 8 환자 의사 관계 영국의 개인정보보호 법제와 개인정보 보호기관의 법적 실태에 관한 소고 / 김종호 2015  121
39 8 환자 의사 관계 제소 전 의료분쟁 해결에 관한 연구 : 한국소비자원 의료분쟁 조정을 중심으로 / 김경례 2012  117
38 8 환자 의사 관계 의과대학생을 위한 환자안전 교육의 국제적 동향 및 국내 현황 / 노혜린 2019  115
37 8 환자 의사 관계 의료행위와 환자의 자기결정권에 관한 고찰/김영태 2014  114
36 8 환자 의사 관계 응급의료체계 내에서 진료정보교류의 법제 / 배현아 2016  1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