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175
발행년 : 2014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법학연구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99966018 
의료계약에 있어서 비밀유지의무위반의 민법상 책임 

= Liability for the Violation of Duty of Confidentiality on Medical Contract in Civil Law

  • 저자[authors] 김세준(Kim, Sejun)
  • 학술지명[periodical name] 법학연구
  • 권호사항[Volume/Issue] Vol.53No.-[2014]
  • 발행처[publisher] 한국법학회
  • 자료유형[Document Type] 학술저널
  • 수록면[Pagination] 61-82
  • 언어[language] Korean
  • 발행년[Publication Year] 2014
  • KDC[Korean Decimal Classification] 360
  • 주제어[descriptor] 의료계약,비밀유지의무,환자의 비밀,보호의무,계약책임,채무불이행,불법행위,Medical Contract,the Duty of Confidentiality,the Secrecy of Patient,the Duty of Protection,Contract Liability,NonPerformance,Tort

초록[abstracts] 
[의료계약으로부터 발생하는 권리의무에는 다양한 것이 있지만, 그 중 환자의 비밀에 관하여 의사 혹은 의료기관이 부담하는 비밀유지의무도 존재한다. 이러한 의무는 형벌법규 및 여러 특별법에서 인정하고 있지만 민사법적으로는 아직 명확하게 규정되어 있지는 않다. 이는 의료계약 자체가 민법상 전형계약으로 다루어지지 않는 것에도 기인한다. 그렇다고 하더라도 의사의 비밀유지의무는 의료계약이라는 사법상 관계에 있어서도 분명 인정되어야 한다. 다만 그 법적 지위에 관해서는 여러 가지로 볼 수 있겠으나, 일반적으로 계약상의 보호의무로서 보는 것이 타당하다고 여겨진다.    그리고 비밀유지의무를 위반한 경우 그 책임의 성질에 관해서는 채무불이행 책임과 불법행위 책임이 모두 인정될 수 있다. 채무불이행 책임으로 보게 되면 보호의무 위반에 따른 불완전이행으로 다루어야 할 것이고, 불법행위 책임으로 보는 경우에는 비밀유지의무를 위반한 것과 위법성과의 관계에 대하여 면밀히 검토하여야 할 것이다. 이 두 가지 책임은 공통적으로 손해배상책임을 인정하게 되고, 효과 면에서는 큰 차이가 없다. 다만 증명책임과 관련하여서는 불법행위 책임보다는 계약책임을 주장하는 것이 환자 측에 상대적으로 더 유리하다는 차이는 있다.    비밀유지의무가 의료계약에서 인정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그 요건과 효과에 관해서는 명확한 기준이 존재하지 않는다. 비밀이라는 것이 상대성을 갖고 있다는 특징 등에 비추어볼 때 최소한의 판단 기준은 법규로 마련되는 것이 타당할 것이며, 이는 의료계약의 입법화와 동시에 논의되어야 하는 문제라고 본다.

There are many rights or duties came from medical contract, and among them the Duty of Confidentiality exist. Doctors or medical institutions have the duty. Criminal law and many special laws have regulations about the duty of confidentiality, but in Civil law there is no obvious and definite rules. This is also came from the reason that the medical contract doesn"t treat as a named contract in Korean Civil Law. Though it certainly should be recognized as one of duties in the relationship of private law like medical contract. But it presents a variety of views on the legal status of that duty. Generally it is meant to be appropriate that the duty is regarded as one of the Duty of Protection in contract.    When doctors or medical institutions are against the duty of confidentiality, two liabilities occurred : Non-Performance Liability and Tort Liability. And both liabilities are accepted. In case of non-performance liability, it should be treated as a imperfective performance from violation of the duty of protection. And in case of tort liability, the relationship of violation and illegality must be examined closely. Compensation for damages appears from both liabilities commonly, and in terms of effect there"s no great difference between them. But on the burden of proof, it is relatively advantageous to the patient that claims a contract liability.    Nevertheless the duty of confidentiality is accepted in medical contract, there is no clear criteria about requirements and effects. It is appropriate that the minimum standards of judgement are arranged as a regulation, because the Secrecy has nature of relativity. And this is discussed in tandem with legalization of medical contract.]

목차[Table of content] 
국문요약 Ⅰ. 서론 Ⅱ. 비밀유지의무의 의의 Ⅲ. 비밀유지의무위반에 대한 책임의 성질 Ⅳ.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8
35 8 환자 의사 관계 의사-환자 관계성에 관한 상호이해도 분석 / 박진영 외 2015  52
34 8 환자 의사 관계 신진학자 연구논문 : 유방암 환자들의 치료과정에서 환자-의사 관계의 관계적 체험과 의미 탐색: 감정 체험과 인지적 관점을 바탕으로 / 이혜범 2013  52
33 8 환자 의사 관계 의사-환자 관계성 측정척도 개발에 관한 연구 / 박진영 외 2014  71
32 8 환자 의사 관계 의료판례의 동향과 문제 / 백경희 외 2018  54
31 8 환자 의사 관계 인공지능을 활용한 의료행위와 환자의 법적 구제수단 - IBM Watson(왓슨)의 이용을 중심으로- / 이현경 2018  166
30 8 환자 의사 관계 한방의료분쟁의 합리적인 해결방안 연구 / 정미영 2008  38
29 8 환자 의사 관계 의료과오소송에 있어서 과실의 입증 / 신은주 2016  102
28 8 환자 의사 관계 의료과오소송 입증책임 관련 입법의 동향 /조형원 2008  47
27 8 환자 의사 관계 일개 종합병원 의료종사자들의 환자안전과 관련된 의료과오보고 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융합요인/강정미, 권정옥 2018  182
26 8 환자 의사 관계 의료과오에 있어서 인과관계에 관한 판례의 고찰 /신은주 2012  55
25 8 환자 의사 관계 미국의 의료과오소송 제도에 관한 고찰 / 이승현 2018  197
24 8 환자 의사 관계 아동 주치의등록제에 대한 정의론적 접근 / 김준혁 2018  186
23 8 환자 의사 관계 환자 자기결정권과 충분한 정보에 근거한 치료거부(informed refusal) : 판례 연구 / 배현아 2017  304
22 8 환자 의사 관계 의료과오소송에서의 책임제한법리 / 심다은 외 2018  205
21 8 환자 의사 관계 의료과오소송에서의 치료비 청구와 ‘책임제한’ 법리의 재검토 / 장재형 2018  96
20 8 환자 의사 관계 일본에 있어 의료사고에의 대응과 시사점 - 의료사고조사제도와 무과실보상제도를 중심으로 - / 홍태석 외 2018  229
19 8 환자 의사 관계 환자의 의사에 반하는 연명의료 중단ㆍ유지와 손해배상 / 이재경 2018  4433
18 8 환자 의사 관계 의료사고 환자들의 외상후 스트레스 장애(PTSD) 실태: 의료진의 설명 및 태도와 사회적 지지의 상호작용 / 김나연 외 2017  340
17 8 환자 의사 관계 자녀의 의료사고에 대한 어머니의 경험 / 주은경 2018  82
» 8 환자 의사 관계 의료계약에 있어서 비밀유지의무위반의 민법상 책임 / 김세준 2014  15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