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175
발행년 : 2015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한국광고홍보학보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100290152 
의사-환자 관계성에 관한 상호이해도 분석 

= Comparative Analysis of Doctor-patient Perception on Physician-patient Relationship : Coorientation Model Test

  • 저자[authors] 박진영(Park, Jinyoung),최양호(Choi, Yang Ho),김봉철(Kim, Bongchul)
  • 학술지명[periodical name] 한국광고홍보학보
  • 권호사항[Volume/Issue] Vol.17No.1[2015]
  • 발행처[publisher] 한국광고홍보학회
  • 자료유형[Document Type] 학술저널
  • 수록면[Pagination] 30-54
  • 언어[language] Korean
  • 발행년[Publication Year] 2015
  • 주제어[descriptor] 상호지향성 모델,주관적 일치도,객관적 일치도,정확도,의사-환자 관계성,소통성,신뢰성,충실성,공정성,상호교환성,physician-patient relationships,organization-public relations,coorientation model,agreement,congruency,accuracy

초록[abstracts] 
[이 연구에서는 의사-환자 관계성에 대해 의사 자신과 환자들이 어떻게 인식하고 있고, 또한 상대의 인식을 어떻게 추정하고 있는지를 살펴보기 위해 상호지향성 모델을 적용하여 객관적 일치도, 주관적 일치도, 정확도를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의사와 환자 각각 307명, 303명을 대상으로 신뢰성, 충실성, 상호교환성, 소통성, 공정성 등 5가지 의사-환자 관계성 구성요소에 총 19개의 측정문항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분석결과를 종합하면. 의사들은 의사-환자 관계를 비교적 좋게 평가하는 반면, 환자는 보통 수준으로 평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신뢰성과 상호교환성, 소통성, 공정성에서 그 차이가 특히 두드러졌다(객관적 일치도). 상대의 인식에 대한 추정에서는 의사쪽이 환자의 인식을 모든 영역에서 과대평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의사의 환자인식에 대한 과대평가는 특히 상호교환성에서 두드러지고, 소통성과 신뢰성에서도 그 정도가 매우 컸다(주관적 일치도). 정확도의 측면에서도 전반적으로 환자들은 의사-환자 관계에 대한 의사의 인식을 과소추정하고, 의사들은 환자의 인식을 과대추정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physician-patient ralationships(PPR) through surveys of both physicians and patients. Using the co-orientation Model, this study analyzes the differences of cognitions on PPR between 307 physicians and 303 patients, and the degree of their mutual understanding. The study analyzes agreement, congruency, accuracy between physicains and patients.    The coorientation measures indicate that as a whole physicians estimate physician-patient ralationships as "good" while patients estimate physician-patient ralationships "average", and the differences are especially manifest in exchange relationships, communication, and trust(Agreement). Overall physicians overestimate patients" cognitions of PPR, and patients underestimate physicians" cognitions of PPR. The differences are especially manifest in exchange relationships, communication, and trust(Congruency). In accuracy, as a whole patients underestimate physicians" cognitions of PPR, physicians overestimate patients" cognitions of PPR.]

목차[Table of content] 
1. 문제의 제기  2. 이론적 논의 및 연구문제  3. 연구 방법  4. 상호지향성 분석 결과  5. 결론 및 논의  참고문헌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6
175 8 환자 의사 관계 개정된 의료분쟁조정법 하위법령에 대한 고찰 / 김필수 2017  35
174 8 환자 의사 관계 의료소송상 환자보호를 위한 방안의 검토 : 입증부담의 경감방안 및 적극적 위자료 인정의 필요성을 중심으로 / 한태일 2017  36
173 8 환자 의사 관계 The Obligation to Provide Information where Valid Consent is Not Needed / Walker, Tom 2017  36
172 8 환자 의사 관계 개정된 의료분쟁조정법 시행 관련 정책적 함의 및 향후과제 / 성용배 2017  38
171 8 환자 의사 관계 한방의료분쟁의 합리적인 해결방안 연구 / 정미영 2008  38
170 8 환자 의사 관계 의료분쟁조정법상 조정 자동개시 조항에 관한 고찰 / 김석영 외 2018  45
169 8 환자 의사 관계 의료과오소송 입증책임 관련 입법의 동향 /조형원 2008  47
168 8 환자 의사 관계 의료기관 인증제에 대한 인식이 요양병원 간호인력의 환자안전관리 활동에 미치는 영향 / 권명숙 외 2018  48
167 8 환자 의사 관계 개정 의료분쟁조정법 시행에 따른 의료분쟁조정제도에 관한 현황과 과제 / 신현호 외 2017  48
166 8 환자 의사 관계 환자의 건강권 및 의료인의 진료권 보호를 위한 의료관계법령 개선 / 이얼 2016  51
» 8 환자 의사 관계 의사-환자 관계성에 관한 상호이해도 분석 / 박진영 외 2015  52
164 8 환자 의사 관계 신진학자 연구논문 : 유방암 환자들의 치료과정에서 환자-의사 관계의 관계적 체험과 의미 탐색: 감정 체험과 인지적 관점을 바탕으로 / 이혜범 2013  52
163 8 환자 의사 관계 의료판례의 동향과 문제 / 백경희 외 2018  54
162 8 환자 의사 관계 정부 지원 환자안전 연구의 타당성 검토 / 이 원 외 2018  54
161 8 환자 의사 관계 의료과오에 있어서 인과관계에 관한 판례의 고찰 /신은주 2012  55
160 8 환자 의사 관계 의료소송과 실질적인 환자의 권리보호에 관한 소고 / 손연우 2016  59
159 8 환자 의사 관계 우리나라 의료기기 부작용에 따른 피해구제시스템 도입방안 연구 / 최철호 2017  65
158 8 환자 의사 관계 환자안전에 관한 문헌 연구: 국내연구를 중심으로 / 황지영 외 2018  66
157 8 환자 의사 관계 의사-환자 관계성 측정척도 개발에 관한 연구 / 박진영 외 2014  71
156 8 환자 의사 관계 의사들의 호스피스 관리에 대한 임상적인 접근 1999  7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