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175
발행년 : 2018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法學論文集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105338583 
수술로봇을 이용한 의료수술과 형사책임의 귀속 

= Robotic Surgery and Criminal Responsibility

  • 저자[authors] 최민영(Choi, Min-Young)

  • 학술지명[periodical name] 法學論文集

  • 권호사항[Volume/Issue] Vol.42No.1[2018]

  • 발행처[publisher] 중앙대학교 법학연구원

  • 자료유형[Document Type] 학술저널

  • 수록면[Pagination] 245-277

  • 언어[language] Korean

  • 발행년[Publication Year] 2018

  • KDC[Korean Decimal Classification] 360

  • 주제어[descriptor] 수술로봇,의료사고,형사책임,객관적 주의의무,설명의무 surgical robot,medical malpractice,criminal responsibility,objective duty of care,duty of explanation


초록[abstracts] 
[본 논문은 수술로봇을 이용한 의료수술에서 의료사고가 발생하였을 경우, 수술로봇의 도입이 형사책임 귀속의 문제를 어떻게 변화시킬 수 있는지 논의하는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논문에서는 수술로봇의 개념과 작동방식에 대해 간략히 살피고, 수술로봇의 형사상 지위를 기초로 형사책임 귀속의 문제를 논한다. 우선, 수술로봇은 독자적인 판단을 할 수 있는 자율성이 없기 때문에 형사상행위능력, 책임능력, 형벌능력이 인정될 수 없다. 따라서 수술로봇으로 인한 의 료사고에서 형사책임은 로봇에게 귀속되지 않는다. 즉, 이 경우 형사책임은 종전처럼 집도의와 수술팀, 의료기관, 로봇 제조업자 및 판매업자에게 귀속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와 관련하여 형사책임 귀속에 관한 논의를 하는 이유는 수술로봇이 기존의 단순한 의료기기와는 다른 질적인 차이를 보이고 있기 때문이다. 이로 인해 기존에 고려되던 형사책임의 내용에서 몇 가지 논의되어야 할 쟁점들이 발생한다. 이와 관련하여 우선, 기존의 의료사고와 마찬가지로 업무상과실치사상죄와 상해죄의 죄책이 논의될 수 있다. 하지만, 기존 논의와는 달리, 의사의 과실인정에 있어 객관적 주의의무의 기준과 범위를 어떻게 인정해야 하 는지, 그리고 설명의무의 범위와 내용을 어떻게 설정해야 하는지가 문제될 수있다. 논문에서는 이 문제를 몇 가지 가상사례들을 통하여 개별적으로 논의한다. 끝으로, 수술로봇 기계의 오작동과 유지·관리의무와 관련하여 의료기관의 법인책임, 제조업자 및 판매업자의 제조물 책임을 의료기기법 중심으로 논의하고, 수술로봇 시스템에 내장될 수 있는 의료정보의 저장·보관·폐기와 관련하여 업무상 비밀누설죄의 죄책에 대하여 간략히 논의한다.

The paper examined legal issues surrounding robotic surgery, expecially, medical malpractice where surgical robot was used and discussed what changes could be brought by robotic surgery in criminal responsibility. To raise questions regarding robotic surgery and present suggestions, the paper briefly touched on the basic notion of surgical robots and operation method. Then it dealt with criminal responsibility where a malpractice is caused by robotic surgery based on legal status of surgical robots. First, as surgical robots are not capable of making their own independent decision, important criminal elements, such as capacity to act, legal responsibility, or capacity to take penalties, are not recognized for them. For this reason, it is true that even if robots are used in surgery and caused malpractice, there is no way to leave the robots in question to hold criminally liable for any malpractice. Under the current legal institutions, where robotic surgery is unfortunately led to malpractice, operating surgeon, the surgery team, the medical institution where the surgery was carried out, manufacturer or seller of the robot should assume all criminal liability like other malpractice cases where traditional methods of surgery were used. Against this backdrop, the main reason of exploring attribution of criminal responsibility of robotic surgery is that characteristics of surgical robots are far different from those of conventional and traditional medical appliances. Those differences of surgical robots from other types of medical devices raise certain questions regarding criminal liabilities. When it comes to malpractices caused by surgical robots, a crime of professional negligence resulting in injury or in death, or injury could be charged like other malpractice. However, far departure from the previous discussion on the topic, main problems of acknowledging criminal liability of surgeons is to how establish standards and draw boundaries and scope of objective duty of care. In addition, it could be a problem of establishing scope and context of duty of explanation. The paper discussed legal issues and challenges regarding using robots in surgery with hypothetical examples one by one. Lastly, it dealt with liabilities of medical institutions for not only malfunction but maintenance of surgical robots as well as issues regarding production liability of manufacturers or sellers of surgical robots in the boundaries of medial appliance act. It examined violation of duty of confidentiality with regard to storage, maintenance, and discard of medical information stored in systems of surgical robots.]

목차[Table of content] 
Ⅰ. 들어가며 Ⅱ. 수술로봇의 개념과 작동방식 1. 수술로봇의 개념과 분류 2. 수술로봇의 구성과 작동방식 Ⅲ. 수술로봇의 형사상 지위 1. 수술로봇의 행위능력과 책임능력 존재 유무 2. 수술로봇의 형벌능력 존재 유무 3. 의료사고 관련 형사책임에서 로봇수술의 유의미성 Ⅳ. 수술로봇 관련 의료사고에서 형사책임의 귀속 1. 형사책임 귀속의 주체 2. 형사책임의 내용 Ⅴ. 나가며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6
135 8 환자 의사 관계 의사-환자 관계성 측정척도 개발에 관한 연구 / 박진영 외 2014  71
134 8 환자 의사 관계 신진학자 연구논문 : 유방암 환자들의 치료과정에서 환자-의사 관계의 관계적 체험과 의미 탐색: 감정 체험과 인지적 관점을 바탕으로 / 이혜범 2013  52
133 8 환자 의사 관계 의사-환자 관계성에 관한 상호이해도 분석 / 박진영 외 2015  52
132 8 환자 의사 관계 인터넷 건강정보가 의사-환자 관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의사들의 인지도 조사 / 김정은 외 2007  98
131 8 환자 의사 관계 환자의 모를 권리와 의사의 배려의무 / 석희태 2016  582
130 8 환자 의사 관계 개정된 의료사고 피해구제 및 의료분쟁 조정 등에 관한 법률 시행에 따른 의사의 진료행태 변화에 관한 연구 / 강유평 2017  169
129 8 환자 의사 관계 의사의 환자중심적 커뮤니케이션이 만성질환 환자의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 건강행동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이정선 외 2018  159
128 8 환자 의사 관계 영국의 개인정보보호 법제와 개인정보 보호기관의 법적 실태에 관한 소고 / 김종호 2015  121
127 8 환자 의사 관계 의료 위기 발생 시 위기 요인 및 커뮤니케이션 전략이 공중의 의료기관 신뢰도, 이용의도, 사태 심각성 인식정도에 미치는 영향 / 조윤진 2018  140
126 8 환자 의사 관계 의료사고의 형사법적 책임에 관한 연구 : 수직적 분업에서 의사의 주의의무를 중심으로 / 이지연 2018  312
125 8 환자 의사 관계 의료사고 사건수사의 개선방향 : 부검의 중요성과 법의학자의 역할 / 장준혁 2018  434
124 8 환자 의사 관계 환자안전에 관한 문헌 연구: 국내연구를 중심으로 / 황지영 외 2018  64
» 8 환자 의사 관계 수술로봇을 이용한 의료수술과 형사책임의 귀속 / 최민영 2018  187
122 8 환자 의사 관계 의사의 설명의무에 관한 연구 / 심소의 2017  141
121 8 환자 의사 관계 의료사고 피해 유가족의 경험에 대한 질적사례연구 : 의료소송을 진행하는 참여자를 중심으로 / 표지희 2018  296
120 8 환자 의사 관계 임상시험심사위원회(IRB)의 리베이트 통제 역할에 관한 소고 / 강한철 2013  126
119 8 환자 의사 관계 개정 의료분쟁조정법 시행에 따른 의료분쟁조정제도에 관한 현황과 과제 / 신현호 외 2017  48
118 8 환자 의사 관계 우리나라 의료기기 부작용에 따른 피해구제시스템 도입방안 연구 / 최철호 2017  65
117 8 환자 의사 관계 의료과오소송에서 손해배상에 관한 연구 / 조민석 2016  75
116 8 환자 의사 관계 의료소송상 환자보호를 위한 방안의 검토 : 입증부담의 경감방안 및 적극적 위자료 인정의 필요성을 중심으로 / 한태일 2017  3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