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175
발행년 : 2017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人權과 正義 : 大韓辯護士協會誌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103363711 
개정 의료분쟁조정법 시행에 따른 의료분쟁조정제도에 관한 현황과 과제 

= Present and Future challenges of Medical Dispute Mediation System under the revised Medical Dispute Mediation Act

  • 저자[authors] 신현호,김기영

  • 학술지명[periodical name] 人權과 正義 : 大韓辯護士協會誌

  • 권호사항[Volume/Issue] Vol.-No.467[2017]

  • 발행처[publisher] 대한변호사협회

  • 자료유형[Document Type] 학술저널

  • 수록면[Pagination] 87-107

  • 언어[language] Korean

  • 발행년[Publication Year] 2017


초록[abstracts]
[Under the Medical Dispute Mediation Act taken effect on April 8, 2012 the application for mediation shall be dismissed, if the respondent refuses to follow mediation procedures. Many criticize that the provision undermines operational efficiency of mediation procedures at a significant degree. Procedures regarding medical mediation are conducted by the Korea Medical Dispute Mediation and Arbitration Agency(KMDMAA). After the Act was enacted, it was revised several times and the revised act was taken effect November 30, 2016. The amendments were included; application for deaths and severe disability cases will be processed automatically regardless of the Respondent's denial without being terminated at the pre-commencement stage, such as withdrawal, ex officio, etc.  Based on its findings. the study points out new ways. reviewing the revision to improve the efficiency of mediation system. First, we examined the statistical data and implications of the medical remedies between the Korea Medical Dispute Mediation and Arbitration Agency (KMDMAA) and the Korea Consumer Agency (KCA). Based on the data, the study reviewed where the medical mediation system in Korea and compared the Korean system with other countries. For comparison, we also examined trends of medical mediation of each country. In addition, we discussed about the automatic initiation system and the simplified mediation system, as well as the expert panels and evaluation cases in the mediation system. Lastly, it suggests ways to to facilitate communication and negotiation between the disputing parties.

2012. 4. 8.부터 시행되어 온 의료분쟁조정법에서는 의료분쟁 조정신청이 있는 경우에도 피신청인이 조정절차에 응하지 아니하는 경우에는 조정신청이 각하되도록 하고 있었고, 이러한 점이 의료분쟁 조정제도의 실효성을 크게 떨어트린다는 지적이 있었다. 이후 수차례 그에 대한 개정 시도가 있었고, 그 결과 사망 조정절차 자동개시 조항 등이 포함된 개정 의료분쟁조정법이 2016. 11. 30.부터 시행에 들어갔다. 이러한 개정내용의 결과로 의료중재원에서 이러한 조정절차 자동개시 제도가 도입됨으로써 조정절차 개시율의 증가될 것으로 예상된다.  이에 따라 본 논문에서는 자동개시제도도입, 간이조정제도 등 조정중재제도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는 개정 법률에 대한 검토를 통해 의료중재원의 조정, 중재 제도에 관한 발전 방향을 제시하고 있다. 우선 의료중재원과 한국소비자원의 피해구제의 통계와 이에 대한 시사점을 살펴보고, 이러한 결과가 바람직한 방향인지 검토해 보고 있다. 그다음에는 개정 의료분쟁조정법의 내용에서 특히 자동개시제도와 간이조정제도 등에 대해 검토하고, 이와 아울러 의료분쟁조정법상의 조정제도에 있어서 감정의 역할에서 감정의 내용과 선발에 대한 기준, 감정서에 대한 조정부의 평가사례 등을 검토하고 있다. 마지막으로 법 개정이 의료중재원에 향후 미칠 수 있는 영향 및 발전적 대응 방향을 제시하고 결론을 도출하고 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5
55 8 환자 의사 관계 보건의료법제 하에서 인공지능기술의 의료영역 도입의 의의와 법적 문제 / 배현아 2017  139
54 8 환자 의사 관계 임플란트 시술상 의료과오의 소송상 쟁점에 관하여 / 한태일 2018  135
53 8 환자 의사 관계 마취 관련 의료사고 시 주의의무 - 법원 판결 사례를 중심으로 - / 최규연 2017  311
52 8 환자 의사 관계 의사의 설명의무와 인신사고의 소멸시효에 관한 고찰 / 백경희 2017  175
51 8 환자 의사 관계 미국에서의 의료과오상 손해배상제도의 개혁과 시사점 / 봉영준 2017  129
50 8 환자 의사 관계 의료분쟁조정법상 조정 자동개시 조항에 관한 고찰 / 김석영 외 2018  45
49 8 환자 의사 관계 병원간호사가 지각한 환자안전관리 중요성 인식, 환자안전문화 및 안전수행이 병원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 / 박미연 외 2018  156
48 8 환자 의사 관계 의료기관 인증제에 대한 인식이 요양병원 간호인력의 환자안전관리 활동에 미치는 영향 / 권명숙 외 2018  48
47 8 환자 의사 관계 의료 중과실(重過失)에 대한 법적 고찰 / 백경희 외 2017  131
46 8 환자 의사 관계 일본에서의 의료과오에 대한 형사책임 / 배상균 2017  112
45 8 환자 의사 관계 의료소송상 환자보호를 위한 방안의 검토 : 입증부담의 경감방안 및 적극적 위자료 인정의 필요성을 중심으로 / 한태일 2017  36
44 8 환자 의사 관계 의료과오소송에서 손해배상에 관한 연구 / 조민석 2016  75
43 8 환자 의사 관계 우리나라 의료기기 부작용에 따른 피해구제시스템 도입방안 연구 / 최철호 2017  65
» 8 환자 의사 관계 개정 의료분쟁조정법 시행에 따른 의료분쟁조정제도에 관한 현황과 과제 / 신현호 외 2017  48
41 8 환자 의사 관계 임상시험심사위원회(IRB)의 리베이트 통제 역할에 관한 소고 / 강한철 2013  126
40 8 환자 의사 관계 수술로봇을 이용한 의료수술과 형사책임의 귀속 / 최민영 2018  186
39 8 환자 의사 관계 환자안전에 관한 문헌 연구: 국내연구를 중심으로 / 황지영 외 2018  64
38 8 환자 의사 관계 영국의 개인정보보호 법제와 개인정보 보호기관의 법적 실태에 관한 소고 / 김종호 2015  121
37 8 환자 의사 관계 의사의 환자중심적 커뮤니케이션이 만성질환 환자의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 건강행동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이정선 외 2018  159
36 8 환자 의사 관계 인터넷 건강정보가 의사-환자 관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의사들의 인지도 조사 / 김정은 외 2007  9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