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175
발행년 : 2017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의료법학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104241530 
마취 관련 의료사고 시 주의의무 - 법원 판결 사례를 중심으로 -

  • 저자[authors] 최규연

  • 학술지명[periodical name] 의료법학

  • 권호사항[Volume/Issue] Vol.18No.1[2017]

  • 발행처[publisher] 대한의료법학회

  • 자료유형[Document Type] 학술저널

  • 수록면[Pagination] 61-99

  • 언어[language] Korean

  • 발행년[Publication Year] 2017

  • 주제어[descriptor] 마취, 의료사고, 마취상 주의의무, 프로포폴, 수면마취, Anesthesia, Medical accident, Duty of care as to anesthesia, Propofol, Monitored Anesthesia Care


초록[abstracts] 
[마취는 수술 등 의료행위 시 많은 경우 필요불가결하게 동반될 수밖에 없고 마취 자체가 가진 특성 때문에 그로 인한 의료사고가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다. 마취와 관련된 의료사고가 의사의 과실로 인한 것인지를 판단하기 위해서는 마취의 전 단계를 통하여 의사 등 의료진에게 어떠한 주의의무가 요구되는지를 알아야 한다. 이 글에서는 이러한 주의의무의 기준 등을 알아보기 위하여 마취 관련된 의료사고로 판결이 선고된 1990년대부터 현재까지의 대법원 판결들과 최근의 하급심 판결사례들, 프로포폴이 사용된 사례들을 분석해보았다. 분석 결과 과거 흡입마취로 문제가 된 사례가 많았던 반면 최근에는 주로 정맥마취제나 국소마취제의 사용으로 문제가 된 사례가 많은 것을 알 수 있었고, 특히 마취제 중 프로포폴이 관련된 사고가 2007년경 이후부터 상당히 많이 발생하여 법적 분쟁이 이루어졌음을 알 수 있었다. 그런데 대법원 판례들은 대부분 과거 흡입마취로 마취한 사례여서, 흡입마취의 경우 마취 시 의료진의 주의의무의 정도와 내용에 관해 어느 정도 기준이 제시되고 있었으나, 그 외의 경우에는 그러한 기준이 제시되었다고 보기에는 미흡해 보였다. 프로포폴의 사용과 관련한 마취사고가 끊이지 않고 있는 현실 등에 비추어 볼 때 우선 의료현장에서 각각의 마취제의 사용에 관한 임상지침 등을 세우고 이를 지켜나가는 것이 중요하겠지만, 의료현실이나 의료 관행에 하나의 나침반 역할을 할 수 있도록 법원에서도 우리의 현실에 맞는 적절한 주의의무의 기준을 제시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하겠다.]

목차[Table of content] 
I. 서론   II. 마취(anesthesia)의 종류    1. 전신마취(general anesthesia)    2. 부위마치(regional anesthesia)   III. 마취 관련 일반적 주의의무    1. 마취 시술 전    2. 마취 시술 시    3. 마취 이후 (수술 시 및 수술 이후)   IV. 수면마취, 특히 프로포폴(Propofol) 관련    1. 의의    2. 프로포폴의 특징 등    3. 프로포폴과 관련된 의료사고 판결례 등 분석    4. 프로포폴 사용 시 주의의무 등   V. 결론   참고문헌   국문초록   ABSTRACT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5
115 8 환자 의사 관계 일본에서의 의료과오에 대한 형사책임 / 배상균 2017  112
114 8 환자 의사 관계 의료 중과실(重過失)에 대한 법적 고찰 / 백경희 외 2017  131
113 8 환자 의사 관계 의료기관 인증제에 대한 인식이 요양병원 간호인력의 환자안전관리 활동에 미치는 영향 / 권명숙 외 2018  48
112 8 환자 의사 관계 병원간호사가 지각한 환자안전관리 중요성 인식, 환자안전문화 및 안전수행이 병원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 / 박미연 외 2018  156
111 8 환자 의사 관계 의료분쟁조정법상 조정 자동개시 조항에 관한 고찰 / 김석영 외 2018  45
110 8 환자 의사 관계 미국에서의 의료과오상 손해배상제도의 개혁과 시사점 / 봉영준 2017  128
109 8 환자 의사 관계 의사의 설명의무와 인신사고의 소멸시효에 관한 고찰 / 백경희 2017  175
» 8 환자 의사 관계 마취 관련 의료사고 시 주의의무 - 법원 판결 사례를 중심으로 - / 최규연 2017  311
107 8 환자 의사 관계 보건의료법제 하에서 인공지능기술의 의료영역 도입의 의의와 법적 문제 / 배현아 2017  139
106 8 환자 의사 관계 의료소송에서 과실과 인과관계의 증명 : 병원감염 판결을 중심으로/유현정 2014  350
105 8 환자 의사 관계 응급의료현장에서 질적 확률표현에 대한 의료인-환자 간의 인식 비교 / 오제혁 외 2014  85
104 8 환자 의사 관계 의료사고 피해구제제도에서의 입증책임 연구 / 하신욱 2017  188
103 8 환자 의사 관계 개정된 의료분쟁조정법 시행 관련 정책적 함의 및 향후과제 / 성용배 2017  38
102 8 환자 의사 관계 개정된 의료분쟁조정법 하위법령에 대한 고찰 / 김필수 2017  35
101 8 환자 의사 관계 의사들의 호스피스 관리에 대한 임상적인 접근 1999  74
100 8 환자 의사 관계 환자 맞춤형 모바일 의료정보 서비스 시스템 설계 및 구현 2016  103
99 8 환자 의사 관계 의료분쟁의 실태와 해결에 관한 연구 2017  137
98 8 환자 의사 관계 일 요양병원 노인환자의 품위 있는 죽음태도와 사전의료의향서 작성 의향 2017  183
97 8 환자 의사 관계 의료소송과 실질적인 환자의 권리보호에 관한 소고 / 손연우 2016  59
96 8 환자 의사 관계 의료적 의사결정에서 자율성 능력 모델의 한계와 그 대안의 필요성 / 송윤진 2016  2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