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26
발행년 : 2018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의료커뮤니케이션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105428656 
의학전문직업성의 관점에서 바라본 대한민국 의학드라마 속의 의사상 
= Doctor’s images in the Korean medical drama viewed from the perspective of Medical Professionalism

  • 저자[authors] 강석훈
  • 학술지명[periodical name] 의료커뮤니케이션
  • 권호사항[Volume/Issue] Vol.13No.1[2018]
  • 발행처[publisher] 대한의료커뮤니케이션학회
  • 자료유형[Document Type] 학술저널
  • 수록면[Pagination] 37-42
  • 언어[language] Korean
  • 발행년[Publication Year] 2018
다국어 초록[Multilingual Abstract]
Background: TV dramas can affect the identity of a person or group that the public perceives by presenting virtualized characters and events. The image of a doctor in the medical drama can influence the identity of a contemporary physician group. The authors analyze several medical dramas in Korea from the viewpoint of medical professionalism and try to contribute to the enlightment of the image of the doctor. Method: Among the medical dramas that have been broadcast since medical professions began to appear, 5 dramas were selected for analysis. The author reviewed them by four major areas of medical professionalism: contribution to society, compliance with the four principles of medical ethics, professional autonomy, and recognition from society and scored an upper-middle-lower grade. Results: ‘Contribution to society’ and ‘recognition from society’ were well-founded in all dramas, except ‘Doctor Stranger’. In the case of ‘compliance with the four principles of medical ethics’, ‘Golden Time’ and ‘Romantic doctors Kim’ most frequently violated it. The ‘medical ethics principle’ was frequently infringed on ‘Doctor Strangers’, In the case of ‘Doctors’, the violation of the ethics principle was reduced as the conflict between the drama characters were emphasized. ‘Professional autonomy’ is best demonstrated by stubborn doctors appearing in ‘Golden Time’ and ‘Romantic Doctors Kim’. Conclusion: It is necessary to criticize the doctors image in the current drama from the view point of the medical professionalism and to continue to teach the drama writer about medical professionalism.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5
26 7 의료사회학 임상간호사의 동료 간 갈등극복 경험 / 배주영 2016  2411
25 7 의료사회학 건강과 질병의 사회학 : '건강에 대한 사회적 책임'과 '건강불평등'의 윤리문제를 중심으로 / 맹광호 2015  1319
24 7 의료사회학 의사보조인력(Physician Assistant)의 현황과 의료법적 문제점 / 김현주, 박경기, 허정식 2014  785
23 7 의료사회학 디지털 헬스케어 주요 기술 개발 및 발전 방향에 대한 연구/유선길 2018  603
22 7 의료사회학 푸코의 자기기술 및 통치성 개념이 의료윤리 담론에 주는 몇 가지 함의 / 강명신 2012  513
21 7 의료사회학 개정 의료법 제33조 제8항 본문의 중복개설금지 / 이동진 2017  300
20 7 의료사회학 현행 임상시험종사자 교육제도의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김인순 2018  282
19 7 의료사회학 의사-제약산업체 상호작용과 이해상충 관리 / 강명신, 고윤석 2012  276
18 7 의료사회학 간호대학생의 임상실습, 윤리적 가치관 및 생명의료윤리교육에 따른 간호사 윤리강령인식, 윤리강령 적용정도 및 생명의료윤리의식의 차이 / 정계선 2018  274
17 7 의료사회학 의료인의 “면허된 것 이외의 의료행위”와 규제완화 - 대법원 2016.7.21. 선고, 2013도850 전원합의체 판결을 중심으로 / 정도희 2017  229
16 7 의료사회학 간호대학생의 생명의료윤리 의식과 간호전문직관과의 관계 / 이은하 2016  228
15 7 의료사회학 의사의 법적 의무에 대한 지식도 및 의료법 교육 필요성에 대한 태도 / 김소연 2003  212
» 7 의료사회학 의학전문직업성의 관점에서 바라본 대한민국 의학드라마 속의 의사상 / 강석훈 2018  201
13 7 의료사회학 의과대학 학생들의 생명과 죽음에 대한 은유적 표상 / 유효현 외 2019  169
12 7 의료사회학 의료인에 대한 면허자격정지처분의 요건과 절차 -부당한 경제적 이익 등의 취득금지를 중심으로 / 하명호 2016  150
11 7 의료사회학 한의사의 의과의료기기 사용 규제에 관한 검토 / 김한나 2018  123
10 7 의료사회학 임종돌봄에 대한 교육의 필요성: 2개 대학병원의 인턴을 대상으로 예비 분석 / 김도연 외 2017  119
9 7 의료사회학 한국의 의사상에 기반을 둔 일반역량 및 위임가능 전문직무(Entrustable Professional Activities: EPA) 개발에 관한 연구 / 이선우 2019  111
8 7 의료사회학 의료기술의 평가와 급여 결정 방향 / 박종연 2017  96
7 7 의료사회학 의료전달체계 권고안의 문제점과 개선방향 / 좌훈정 2018  9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