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26
발행년 : 2015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인격주의 생명윤리 Vol.5 No.1 
관련링크 : http://scholar.dkyobobook.co.kr/searchEx...myCd=20166 

Industrialization of Medicine and Medical Professionalism: Bioethical Critiques


가톨릭생명윤리연구소  원문 : http://scholar.dkyobobook.co.kr/searchExtDetail.laf?barcode=4010023927240&vendorGb=01&academyCd=20166



초록 (Abstract)

Health care delivery system has changed into large multi-specialty groups or for-profit organizations primarily operated by financially oriented professional manager. Traditionally, physician had a direct personal relationship with patient, a relationship governed, mediated, and protected by the principle of trust. This relationship has been transformed into physician-patient-government-third party payer relationship since industrialization of medicine took place. Physicians also have changed their practice pattern from primary care to more financially oriented specialized practice in which frequently utilizes high costly latest medical technologies. These erosive for-profit tendencies within the medical profession have weakened trust relationship between physician and patient. The virtues and character of trust and justice of the physician and coordinated efforts among physicians, patients and society as a whole can strengthen the traditional trust relationship and can fulfill medical professionalism in the industrialized medical society.





목차 (Table of Contents)

  • Introduction
  • What is Industrialization of Medicine?

    The resultant change in medical professionalism and vocation

    New role of physicians and bioethical implications

    Can the virtue of Justice resolve the problem?

    Conclusion

    Bibliography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6
    26 6 전문직윤리 강령 위상 의료기관 사회적 책임활동 측정 도구개발 및 타당화 / 조경원 외 2018  65
    25 6 전문직윤리 강령 위상 의료인의 양심적 거부에 관한 고찰 : 인간 생명의 존엄성을 수호하는 의료인의 양심 / 김대균 2017  69
    24 6 전문직윤리 강령 위상 임상시험에서 의사-연구자의 주의의무에 대한 형사법적 고찰 / 김수영 2015  100
    23 6 전문직윤리 강령 위상 인공지능 기반 국방 의료정보 빅데이터 분석체계 기술 개발/심우호 2018  141
    22 6 전문직윤리 강령 위상 ‘윤리’ 개념과 ‘도덕’ 개념의 구분을 통해서 본 번역윤리 / 윤성우 2015  191
    21 6 전문직윤리 강령 위상 건강증진병원 간호사의 건강교육수행 영향요인 / 이진숙 2014  202
    20 6 전문직윤리 강령 위상 의사윤리규약 내용분석 : 히포크라테스 선서와 한국의사윤리 규약을 중심으로 / 권용진 2004  229
    » 6 전문직윤리 강령 위상 Industrialization of Medicine and Medical Professionalism: Bioethical Critiques / Lee Paul Inkook 2015  248
    18 6 전문직윤리 강령 위상 한국 의사의 탈전문화에 관한 연구 / 박호진 2008  274
    17 6 전문직윤리 강령 위상 전문 평가·인증기관의 불법행위책임에 관한 연구 : 과학기술 적합성 평가기관을 중심으로 / 유진호 2017  278
    16 6 전문직윤리 강령 위상 간호사의 감정노동 개념분석 / 김명희, 이상화, 송주연, 유지형, 윤지향 2014  299
    15 6 전문직윤리 강령 위상 [knowledge] 수술의 비밀 마지막 회_외과의사의 탄생_환자의 가슴과 배를 열다 / 권복규 2013  302
    14 6 전문직윤리 강령 위상 종합병원 간호사의 조직시민행동 영향요인 / 임경민 2015  423
    13 6 전문직윤리 강령 위상 일개 대학 간호학생의 성별, 윤리적 가치관 및 생명의료윤리 특성이 생명의료윤리의식에 미치는 영향 / 정계선 2013  494
    12 6 전문직윤리 강령 위상 의료인의 윤리에 관한 연구 / 김재영 2000  732
    11 6 전문직윤리 강령 위상 한국과 일본의 간호사가 경험하는윤리적 딜레마와 대처유형의 비교연구 / 콘도 에미 2012  766
    10 6 전문직윤리 강령 위상 한국 치과의사의 전문직업성과 의료윤리 모형 개발에 관한 연구 / 김이겸 2004  781
    9 6 전문직윤리 강령 위상 임상간호사의 생명의료윤리의식, 직무만족도 및 간호업무수행과의 관계 / 문미영, 전미경, 정애화 2013  841
    8 6 전문직윤리 강령 위상 임상간호사의 윤리적 딜레마와 전문직업성 / 기은희 2008  877
    7 6 전문직윤리 강령 위상 간호사의 생명윤리 체험 / 이경숙 2013  88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