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26
발행년 : 2008 
구분 : 학위논문 
학술지명 : 한양대학교 행정대학원 : 간호행정 전공 (석사)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T11403015 

임상간호사의 윤리적 딜레마와 전문직업성 = Clinical Nurses‘ Ethical Dilemma and Professionalism


  • 저자 : 기은희
  • 형태사항 : v, 69 p. : 삽도 ; 26 cm.
  • 일반주기 :

    지도교수: 임난영
    국문요약: p. i-ii.
    Abstract: p. 66-68.
    부록: 1.설문지, 2.한국간호사 윤리강령.
    참고문헌 : p.50-55.

  • 학위논문사항 : 학위논문(석사)-- 한양대학교 행정대학원 : 간호행정 전공 2008. 8
  • 발행국 : 서울
  • 언어 : 한국어
  • 출판년 : 2008
  • 주제어 : 의료행정



초록 ( Abstract )

  • 본 연구는 임상 간호사의 윤리적 딜레마와 전문직업성에 대한 인식정도를 파악하여, 간호사들의 윤리적 딜레마에 대한 중재, 전문직업성 향상을 통한 질적인 간호를 제공할 수 있는 환경을 ...
  • 본 연구는 임상 간호사의 윤리적 딜레마와 전문직업성에 대한 인식정도를 파악하여, 간호사들의 윤리적 딜레마에 대한 중재, 전문직업성 향상을 통한 질적인 간호를 제공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는데 기여하고자 한다.
    2008년 4월24일부터 4월 29일 사이에 서울시에 위치한 S 대학병원에서 편의표집한 121명의 간호사를 대상으로 설문지를 배포하여 자료수집 하였고 SPSS/PC WIN 12.0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대상자의 윤리적 딜레마는 총점 4점 중 평균 2.15점으로 나타났으며, 하부영역에서 간호사와 전문직 업무(2.28점), 간호사와 협동자(2.15점), 간호사와 대상자와의 관계(2.05점), 생명존중 및 인간의 권리 존중(2.00점)순으로 딜레마 정도가 심한 것으로 나타났다.
    대상자의 전문직업성은 총점 5점 중 평균 3.42점으로 나타났으며, 하부영역별로 공공봉사심(3.61점), 전문조직에의 준거성(3.52점), 자율성(3.50점), 자기통제에 대한 믿음(3.47점), 소명의식(3.04점)순으로 나타났다.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과 윤리 관련 특성에 따른 윤리적 딜레마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과 전문직업성과의 관계는 최종학력과 근무부서에 있어서 그룹 간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사후검증 결과, 최종 학력은 대학원 재학 이상 그룹이 4년제 졸업 그룹에 비해 높은 전문 직업성을 갖고 있었으며, 근무부서에서는 내과계병동, 외과계병동과 중환자실 근무자가 수술실 근무자에 비해 높은 전문 직업성을 갖고 있었다. 특히 수술실 근무자는 자율성에서 다른 부서에 비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 결과에서는 간호사들의 윤리적 딜레마는 기존의 연구보다 평균평점은 낮았으나 윤리적 딜레마의 하부영역에서는 여전히 비슷한 문제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간호사들이 임상에서 활용할 수 있는 실질적 사례별 교육과 윤리강령에 대한 교육도 연계되어야 할 것이며, 항상 환자가 모든 판단의 중심에 있어야 함을 간호사와 협동자 모두가 함께 공유할 때 서로에 대한 배려로 환자를 중심으로 간호와 치료가 이루어져 환자의 만족도도 향상 될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적정 수준의 인력확보와 개인의 업무수준을 향상 시킬 수 있는 교육이 필요함을 시사하고 있다. 전문직업성에 있어서 간호사들의 전문인으로의 성장에 반해 소명의식은 쇠퇴해가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그러므로 간호사들이 임상에서 일에 대한 만족감과 자부심을 가질 수 있도록 격려할 수 있는 업무환경과 경제적 보상에 대해서도 고려해야 할 것이다. 그리고 수술실 간호사들의 전문직업성이 다른 부서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아 수술실의 업무 특성을 고려한 전문직으로서 자율성을 강화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목차 ( Index )

    국문요약 = ⅰ

    표목차 = ⅴ

    Ⅰ. 서론 = 1

    1. 연구의 필요성 = 1

    2. 연구 목적 = 4

    3. 용어의 정의 = 5

    Ⅱ. 문헌고찰 = 7

    1. 윤리적 딜레마 = 7

    2. 전문직업성 = 13

    Ⅲ. 연구방법 = 19

    1. 연구설계 = 19

    2. 연구대상 = 19

    3. 연구도구 = 19

    4. 자료수집 기간 및 절차 = 20

    5. 자료 분석 방법 = 20

    Ⅳ. 연구 결과 = 22

    1.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및 윤리 관련 특성 = 22

    2. 대상자의 윤리적 딜레마 = 25

    3. 대상자의 전문직업성 = 27

    4. 일반적 특성과 윤리 관련 특성에 따른 윤리적 딜레마의 차이 = 31

    5. 일반적 특성에 따른 전문 직업성의 차이 = 34

    6. 대상자의 윤리적 딜레마와 전문직업성 = 37

    Ⅴ. 논의 = 38

    1. 대상자의 윤리 관련 특성 = 38

    2. 대상자의 윤리적 딜레마 = 39

    3. 대상자의 전문직업성 = 42

    4. 대상자의 윤리적 딜레마와 전문직업성 = 45

    Ⅵ. 결론 및 제언 = 46

    참고문헌 = 50

    부록1 설문지 = 56

    부록2 = 63

    ABSTRACT = 66

    감사의 글 = 69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6
    26 6 전문직윤리 강령 위상 윤리적 딜레마 사례에 대한 간호사의 의사결정 분석 / 김현경 2002  6166
    25 6 전문직윤리 강령 위상 간호사의 윤리적 딜레마 상황에서의 도덕적 의사결정에 대한 연구 / 심옥주 2002  4299
    24 6 전문직윤리 강령 위상 심초음파실 간호사의 윤리적 딜레마에 관한 연구 / 박정욱 2010  3523
    23 6 전문직윤리 강령 위상 간호사의 법적 책임의 한계와 법 제도적 개선방안 / 심보혜 2018  2458
    22 6 전문직윤리 강령 위상 간호사 윤리에 관한 연구 / 유인철 2001  1225
    21 6 전문직윤리 강령 위상 간호장교의 의료 윤리적 가치관 / 최귀녀 2004  893
    20 6 전문직윤리 강령 위상 간호사의 생명윤리 체험 / 이경숙 2013  881
    » 6 전문직윤리 강령 위상 임상간호사의 윤리적 딜레마와 전문직업성 / 기은희 2008  877
    18 6 전문직윤리 강령 위상 임상간호사의 생명의료윤리의식, 직무만족도 및 간호업무수행과의 관계 / 문미영, 전미경, 정애화 2013  841
    17 6 전문직윤리 강령 위상 한국 치과의사의 전문직업성과 의료윤리 모형 개발에 관한 연구 / 김이겸 2004  781
    16 6 전문직윤리 강령 위상 한국과 일본의 간호사가 경험하는윤리적 딜레마와 대처유형의 비교연구 / 콘도 에미 2012  766
    15 6 전문직윤리 강령 위상 의료인의 윤리에 관한 연구 / 김재영 2000  732
    14 6 전문직윤리 강령 위상 일개 대학 간호학생의 성별, 윤리적 가치관 및 생명의료윤리 특성이 생명의료윤리의식에 미치는 영향 / 정계선 2013  494
    13 6 전문직윤리 강령 위상 종합병원 간호사의 조직시민행동 영향요인 / 임경민 2015  423
    12 6 전문직윤리 강령 위상 [knowledge] 수술의 비밀 마지막 회_외과의사의 탄생_환자의 가슴과 배를 열다 / 권복규 2013  302
    11 6 전문직윤리 강령 위상 간호사의 감정노동 개념분석 / 김명희, 이상화, 송주연, 유지형, 윤지향 2014  299
    10 6 전문직윤리 강령 위상 전문 평가·인증기관의 불법행위책임에 관한 연구 : 과학기술 적합성 평가기관을 중심으로 / 유진호 2017  278
    9 6 전문직윤리 강령 위상 한국 의사의 탈전문화에 관한 연구 / 박호진 2008  274
    8 6 전문직윤리 강령 위상 Industrialization of Medicine and Medical Professionalism: Bioethical Critiques / Lee Paul Inkook 2015  248
    7 6 전문직윤리 강령 위상 의사윤리규약 내용분석 : 히포크라테스 선서와 한국의사윤리 규약을 중심으로 / 권용진 2004  2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