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29
발행년 : 2017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103290808 


개인의료정보 재식별에 관한 국제 표준화 동향 - ISO DIS 25237을 중심으로



저자김철중,여광수,김순석
학술지명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권호사항Vol.7No.6[2017]

발행처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자료유형학술저널

수록면485-492
언어Korean
발행년도2017
주제어프라이버시 보호, IS DIS 20237,비식별,재식별,개인의료정보
초록최근 정보통신 기술의 발달에 따라 의료 서비스의 질적 향상을 위해 환자의 의료정보를 전자적으

로 처리 또는 관리하는 병원이 증가하고 있다. 전자적으로 의료정보를 처리함에 따라 환자, 의료진

등이 의료정보를 취급, 처리함에 있어 편의성과 효율성이 증대되었다. 하지만 이러한 장점에도 불구

하고 환자 또는 의료진 등의 개인정보가 침해될 수 있는 위협의 여지가 여전히 남아있다. 이에 따라

국제표준화기구(ISO)는 지난 2008년 12월에 의료정보 보호를 위한 기술 명세서(ISO/TS 25237:2008, 의

료정보-가명화)를 발표한 바 있다. 이 기술 명세서에는 개인 의료정보의 2차 이용을 위한 가명화 또는

익명화에 대한 기본 정의, 비식별, 재식별을 위한 최소 요구사항 및 정책, 시나리오 그리고 위험분석

등의 내용을 다루고 있다. 그 이후 현재 이 표준 규격에 대한 개정(안)이 진행 중에 있으며 2017년경

에는 출판될 예정이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최근 개정 중인 ISO DIS 25237와 ISO/TS 25237을 비교

분석하여 그간의 주요 변동사항과 추가된 사항에 대해 고찰해보고 마지막으로 향후 연구 방향을 제

시하고자 한다.
초록Recently, the development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number of hospitals using

electronically process and management of medical information have increased in order to improve the

quality of medical services. As electronic medical information is processed, the convenience and efficiency

of handling and processing of medical information by patients and medical staff has increased. Despite

these advantages, there is still a possibility that personal information such as patient or medical staff may

be infringed Accordingly, ISO published the technical specification ISO/TS 25238 in December 2008. This

technical specification covers basic definitions, non-identification, minimum requirements for re-identification

and policies, scenarios and risk analysis for the secondary use of personal medical information. Since then,

the revision of this standard has been in progress and will be published in 2017. Therefore, in this paper,

we compare the recent revision of ISO DIS 25237 and ISO / TS 25237, and discuss major changes and

additions. Finally, future research directions are presented.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6
129 5 과학 기술 사회 인간 진화과정의 의미를 통해 살펴본 미래의 기술발전에 대한 고찰 / 이동현 외 2018  113
128 5 과학 기술 사회 우리나라 국가 수혈가이드라인 인지도 및 활용도에 관한 조사 연구 / 김형석 외 2016  113
127 5 과학 기술 사회 인공지능에 의한 차별과 그 책임 논의를 위한 예비적 고찰 / 허유선 2018  112
126 5 과학 기술 사회 제품안전관리를 위한 나노물질 규제정책 도입평가 연구 / 서정대 2014  110
125 5 과학 기술 사회 통계적 방법을 이용한 바이오 메디컬 데이터의 특징선택과 분류 / 손호선 외 2017  109
124 5 과학 기술 사회 빅데이터의 보호 및 이용을 위한 법제 연구/최종모 2018  109
123 5 과학 기술 사회 IT기술의 발전과 개인정보보호 / 조대진 2017  108
» 5 과학 기술 사회 개인의료정보 재식별에 관한 국제 표준화 동향 - ISO DIS 25237을 중심으로 / 김철중 외 2017  108
121 5 과학 기술 사회 인공지능 : WiseQA를 위한 정답유형 / 허정 2015  107
120 5 과학 기술 사회 인공지능의 철학적 인간학/엄정식 2017  106
119 5 과학 기술 사회 안전성 증진을 위한 의료기기 개발 과정과 인간공학 가이드라인 연구 / 채승진 외 2017  106
118 5 과학 기술 사회 빅데이터 시대 생성정보의 처리 체계 - 추론된 정보의 처리에 관한 우리 개인정보보호법의 규율과 개선 방안에 관한 고찰 / 박광배 외 2017  105
117 5 과학 기술 사회 개인정보보호의 관점에서 바라본, 『공공데이터의 제공 및 이용 활성화에 관한 법률』의 문제점 및 보완방안 / 임효준 2015  104
116 5 과학 기술 사회 프랑스 출산장려를 위한 가족정책의 젠더적 함의 / 김민정 2018  104
115 5 과학 기술 사회 인공지능이 지식을 가질 수 있는가? : 폐쇄 버전의 쉬운 지식 문제에 대한 한 가지 해결책과 그 해결책이 함축하는 것 / 오희철 2018  104
114 5 과학 기술 사회 과학기술 규제정책의 정책변동과 정책네트워크 역동성 분석 / 김인자 외 2017  104
113 5 과학 기술 사회 형사사법 분야에서의 로봇 기술 활용에 대한 인문학적 고찰 / 신현주 2017  103
112 5 과학 기술 사회 자율주행자동차 시험운행에 관한 각국 법안의 비교 및 정책적 시사점 2017  103
111 5 과학 기술 사회 미국의 사이버안보법상 개인정보보호에 관한 연구 / 이성엽 2018  103
110 5 과학 기술 사회 나노폐기물 처리의 새로운 패러다임 / 엄하늬 2012  1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