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29
발행년 : 2016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홍익법학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102132553 



인공지능을 가진 로봇의 법적 취급 : 자율주행자동차 사고의 법적 인식과 책임을 중심으로
= How to Treat A Robot with Artificial Intelligence


  • 저자명   이중기 ( Choong Kee  , Lee ) 

  •  학술지명  홍익법학(The Law Reasearch institutute of Hongik Univ.)

  •  권호사항  Vol.17 No.3 [2016] 

  •  발행처  홍익대학교 법학연구소(The Law Research Institute) 

  •  자료유형  학술저널

  •  수록면  1-27(27쪽)

  •  언어  Korean

  •  발행년도  2016년

  •  주제어
    인공지능  , 자율주행자동차  , 권리능력  , 로봇의 권리능력  , 인공지능의 권리능력  , artificial intelligence  , autonomous vehicle  , legal capacity  , legal personality 


  • 초록

  • “자율성”을 갖는 물건의 등장은 법제도가 전제한 “인간본위”의 “개념적 틀” 예를 들어, 인간존엄성에 근거한 권리주체로서의 인간의 개념과 권리객체로서의 물건의 개념이라는 주종적 이분법에 대한 근본적 의문을 제기한다. 로봇은 ‘자율성’을 갖더라도 권리주체인 인간의 지배대상으로 계속 머물 수밖에 없는가? 영화 트랜스포머 시리즈에 등장하는 옵티머스 프라임과 같은 완전한 자율성을 갖는 새로운 외계 종족(기계족) 은 물건으로 취급해야 하고, 인간과 같이 존엄한 존재로 취급하는 것은 허용될 수 없는가? 만약 인공지능이 진화하여 옵티머스 프라임과 같은 완전한 자율성을 갖는 로봇이 등장하더라도 인간은 이러한 로봇을 계속 물건으로 취급해야 하는가? 이러한 질문에 대한 대답은 그렇지 않다는 것이다. 사법제도는 과학이 아니라 인간의 필요성에 의해 그 개념이 고안되었고, 지능정보사회의 등장으로 인한 지능형 로봇은 기존의 법개념으로는 해결할 수 없는 어려움을 야기한다. 개인이 재산을 소유하는 연결점으로서 개인의 권리능력을 인정하였듯이, 필요한 경우 사람의 단체 혹은 출연재산에 대하여 재산을 소유하는 연결점으로서 권리주체성을 인정할 수 있다. 이것이 법인 개념이다. 마찬가지로, 법인의 권리주체성을 정책적인 필요성에 기해 인정하였듯이, 인공지능 혹은 인공지능이 장착된 지능형 로봇에 대해서도 책임재산을 소유하게 할 정책적 필요성이 인정되는 경우 제한적으로 “책임의 목적”상 책임재산을 소유할 수 있는 권리주체성을 인정할 수 있다. 권리주체성이 인간에서 법인으로 확대되었듯이, 지능정보사회가 요구하는 경우 이제 법인에서 전자인간(electronic person)으로 확대될 가능성이 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5
229 5 과학 기술 사회 왓슨을 중심으로 본 의료 인공지능의 유용성 및 검증의 필요성 / 최상태 2018  182
228 5 과학 기술 사회 로봇규제를 위한 법적 개념과 문제 / 김기영 2016  181
227 5 과학 기술 사회 소셜네트워서비스에서의 구성원의 다양성, 연결강도, 사회적 자본이 개인의 창의성 발현에 미치는 영향 / 강윤정 2016  177
226 5 과학 기술 사회 공학윤리 교육의 필요성/김경천 2001  176
225 5 과학 기술 사회 역분화 줄기세포의 최신 연구와 2015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 분석을 통한 교육학적 고찰 / 최자민 2018  176
224 5 과학 기술 사회 인공지능 오픈소스 현황과 시사점 / 이은옥 2016  173
223 5 과학 기술 사회 자율주행자동차 시대 개인정보 보호의 공법적 과제 2016  173
222 5 과학 기술 사회 비정형 헬스케어 데이터 표준화 / 신수용 2018  173
221 5 과학 기술 사회 생명공학분야의 연구데이터 공유 사례에 관한 연구 / 박미영 외 2018  173
220 5 과학 기술 사회 인공지능의 형사책임 / 이창민 2018  172
219 5 과학 기술 사회 공학윤리에서의 논증 이해와 그 적용/김진형 2010  171
218 5 과학 기술 사회 인공지능을 활용한 정책결정의 유형과 쟁점에 관한 시론 / 윤상오 외 2018  171
217 5 과학 기술 사회 사물인터넷 활성화를 위한 입법과제 및 개선방안 연구 / 김진영 2018  171
216 5 과학 기술 사회 인공지능 시대의 윤리와 법적 과제 / 김종호 2018  171
215 5 과학 기술 사회 인공지능 및 딥러닝 국방감시체계 적용방안 검토 / 안정철, 권혁진 2016  169
214 5 과학 기술 사회 남자대학생의 젠더의식이 성희롱 인식과 성희롱 행동에 미치는 영향 / 2018  169
213 5 과학 기술 사회 인공지능기술의 발전과 법적 대응방향 /박종보, 김휘홍 2017  169
212 5 과학 기술 사회 특허 네트워크를 통한 생체인증 특허 분석 연구 / 김준호 2017  166
211 5 과학 기술 사회 지능형정보화 시대의 테러유형과 대응방안: 인공지능에 기반한 테러중점/이만종 2017  166
210 5 과학 기술 사회 임상연구 논문의 질 평가를 위한 도구들 / 신철민 외 2011  16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