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29
발행년 : 2017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인문콘텐츠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103054901 

문화로봇공학(Cultural Robotics) 관점의 백남준 로봇 연구
= Nam June Paik Robot Study of Cultural Robotics Perspective

                                      

  • 저자명

    장효진(Chang, Hyo-Jin),김영재(Kim, Young-Jae)                                             

  • 학술지명

    인문콘텐츠                           

  • 권호사항

    Vol.- No.44 [2017]                                                          

  • 발행처

    인문콘텐츠학회(Korea Humanities Content Society)                                

  • 발행처 URL

    http://www.humancontent.or.kr

  • 자료유형

    학술저널

  • 수록면

    233-256(24쪽)

  • 언어

    Korean

  • 발행년도

    2017년

  • 초록 (Abstract)
    • 이 연구는 문화로봇공학(Cultural Robotics)관점에서 인간이 로봇과 함께 하는 문화, 즉 로봇문화의 구체적인 모습을 백남준의 예술로봇을 통해 조망하고자 한다. 많은 로봇 들 중 백남준의 예술 ...
  • 이 연구는 문화로봇공학(Cultural Robotics)관점에서 인간이 로봇과 함께 하는 문화, 즉 로봇문화의 구체적인 모습을 백남준의 예술로봇을 통해 조망하고자 한다. 많은 로봇 들 중 백남준의 예술 로봇 작품을 대상으로 삼은 이유는 1)문화로봇공학의 이론과 그 수행이 예술의 절차적 실천에 고도로 위탁된 물리적이고 사회적 존재인 로봇의 학제 간 연구 환경에 있기 때문이며, 2)백남준은 인간과 기계의 소통을 다룬 사이버네틱스에 영향을 받은 예술가로서 미래 로봇의 모델이 될 수 있는 다양한 로봇 작품을 남겼기 때문이다.
    백남준의 예술은 플럭서스 운동을 통해 불예측성, 상호작용성을 작품의 필요조건으로 삼고, 사이버네틱스를 방법론으로 하여 인간과 기술의 소통을 실험하였다. 그 결과 백남준의 문화로봇을 분류할 수 있었는데, 그 형태와 소통방식에 의해 ‘매개체로서의 로봇과 인간’, ‘확장된 인간과 인간’, ‘맥락화된 로봇과 인간’의 세 가지로 나타났다.
    백남준의 문화로봇은 그 자체가 문화적 존재이면서 사람, 다른 로봇들의 매개체로서도 존재하고, 인간의 통제력과 기계의 자율성, 인공생명에 대한 윤리적 물음에까지 다다르게 한다. 또한 인간의 신체를 기계장치로 확장시키면서 정서적이고 감성적인 소통의 매커니즘을 확보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마지막으로 이러한 기계와 인간의 경계 넘음의 역사가 누적되었을 때 새로운 문화적 맥락으로 로봇들만의 네트워크가 만들어질 가능성을 확인시키기도 하였다.
    이러한 문화로봇들의 사례를 충분히 검토하고 각각의 특성에 대해 좀 더 깊이 있게 접근한다면 앞으로 만들어 나갈 문화로봇에게 기대할 것과 경계할 것을 나누는데 디딤돌로서 의미가 있을 것이라고 본다.
  • 초록 (Abstract)
    • This study aims to look at the concrete aspects of robot culture from the perspective of Cultural Robotics through Paik’s art robots. Nam June Paik’s artistic robots are aimed at: 1) the theory and practice of cultural robotics are in an interdisc...
  • This study aims to look at the concrete aspects of robot culture from the perspective of Cultural Robotics through Paik’s art robots. Nam June Paik’s artistic robots are aimed at: 1) the theory and practice of cultural robotics are in an interdisciplinary research environment with the existence of physical and social beings highly entrusted to the procedural practice of art; and 2) This is because he left various robot works as an artist influenced by cybernetics dealing with human-machine communication.
    Nam June Paik ‘s art uses Fluxus movement as a necessary condition for the work of unpredictability and interactivity, and experiments the communication between human and technology by using cybernetics as a method. As a result, Nam June Paik ‘s cultural robots appear as ‘robot as a medium and human’, ‘extended human and human’, and ‘contextualized robot and human’.
    Nam June Paik’s cultural robot is a cultural subject, a medium, and has ethical questions about artificial life. In addition, the mechanism of emotional communication is secured by expanding the human body into mechanical devices. Finally, when the history of the crossing of machines and humans is accumulated, it confirms the possibility of creating a network of robots only in the context of a new culture.
    If you thoroughly examine the cases of these cultural robots and approach each characteristic more deeply, it will be meaningful as a stepping stone to know what to expect and care for culture robots.
  •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초록
  • I. 여는 글
  • II. 문화로봇공학(Cultural Robotics)과 로봇문화
  • III. 백남준과 사이버네틱스(Cybernetics)
  • IV. 백남준 문화로봇, 문화적 존재들
  • V. 닫는 글
  • 참고문헌
  • ABSTRACT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5
69 5 과학 기술 사회 “4차 산업혁명 시대, 인간 뇌의 특별함을 키우다” / 안민경 2016  84
68 5 과학 기술 사회 『나를 보내지 마』를 활용한 과학소설의 학제간 교육 사례연구 / 손나경 2018  84
67 5 과학 기술 사회 4차 산업혁명 시대, 혁신 다양성으로 접근하기 / 조길수 2017  83
66 5 과학 기술 사회 자율주행 대중교통 공공성 확보를 위한 쟁점과 개선방향 / 김규옥 2019  82
65 5 과학 기술 사회 미래기술의 이슈에 대한 국제적 비교 / 박순창 2013  81
64 5 과학 기술 사회 원격의료환경에서 개인생체정보 보호 및 무결성에 관한 연구 / 김순석, 이재현 2017  81
63 5 과학 기술 사회 개인정보 비식별 조치 가이드라인의 법률적 의미와 쟁점 / 전승재 외 2017  81
62 5 과학 기술 사회 바이오템플릿 비트분할 분산 저장기법을 통한 생체인증 시스템 설계 / 홍윤기 2017  80
61 5 과학 기술 사회 모바일 환경에서의 병원정보시스템 설계 및 구현 2011  79
60 5 과학 기술 사회 생체 인증에서의 프라이버시 보호 기술 /박희진, 이윤호 2018  79
59 5 과학 기술 사회 휴머노이드 로봇 캐릭터 개발을 위한 디자인 가이드 라인 / 우명희 2004  78
58 5 과학 기술 사회 4차 산업혁명을 선도하는 유럽의 인공지능(AI) 특허기술 / 조재신 2018  78
57 5 과학 기술 사회 치의학분야 3D 프린팅 기술이 적용된 의료기기의 인·허가전략과 과제/신은미, 양승민 2018  77
56 5 과학 기술 사회 신체증강 기술과 덕 윤리 / 김광연 2018  77
55 5 과학 기술 사회 독점금지법상 ‘지적재산권의 부당한 행사에 대한 가이드라인’의 개선방안 / 손진화 2009  75
54 5 과학 기술 사회 사물인터넷 시대의 개인정보 보호의 과제 - 일본의 2015년 9월 개정 개인정보보호법을 중심으로 / 손영화 2017  75
53 5 과학 기술 사회 손잡고 따라가는 휴머노이드 로봇 제어기법 / 정유철, 한헌수 2009  74
52 5 과학 기술 사회 인공지능과 그 영향에 대한 과학적 이해 / 이경전 2017  73
51 5 과학 기술 사회 중국의 과학기술보안규정과 대한민국 국가연구개발사업 연구보안제도 정책과의 비교 연구 / 강선준 외 2018  73
50 5 과학 기술 사회 정보화시대의 지능형로봇 연구동향 / 백문홍 외 2008  7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