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29
발행년 : 2016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법철학연구(Korean journal of legal philosophy)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102687165 
로봇 형법(Strafrecht fur Roboter)?
= The Criminal Law for the Robot?

                                   

  • 저자명

    김영환 ( Young Whan Kim )                                              

  • 학술지명

    법철학연구(Korean journal of legal philosophy)                           

  • 권호사항

    Vol.19 No.3 [2016]                                                         

  • 발행처

    한국법철학회                                

  • 자료유형

    학술저널

  • 수록면

    143-168(26쪽)

  • 언어

    Korean

  • 발행년도

    2016년                                                                                     

  • 초록 (Abstract)
    • 이 논문의 목적은 로봇에 대한 형법(소위 “로봇 형법”)아라는 구상(Konzept)이 얼마나 설득력이 있는가를 다음의 네 가지 논거를 중심으로 비판적으로 검토하는 데에 있다. 첫째, 비록 역사...
  • 이 논문의 목적은 로봇에 대한 형법(소위 “로봇 형법”)아라는 구상(Konzept)이 얼마나 설득력이 있는가를 다음의 네 가지 논거를 중심으로 비판적으로 검토하는 데에 있다. 첫째, 비록 역사적으로 동물에 대한 형벌집행이 있었다고는 하지만 로봇에 대해 형벌을 적용할 수 있다는 주장은 그대로 받아들이기가 힘들 뿐만 아니라, 형법의 적용범위에 관한 오늘날의 관념에 더 이상 부합하지 않으며, 이에 대한 법적 근거가 없다는 것이다. 또한 동물윤리학의 로봇 형법에의 이전은 가능하지 않은데, 왜냐하면 로봇은 최소한 아직까지 감응능력이 없기 때문이라는 것이다. 둘째, 자율적으로 행동하는 로봇의 형법적 책임이라는 생각은 매력적이며 형벌이라는 사회제도의 구조를 심도 있게 분석하는 계기를 제공하지만 그러한 생각은 잘못된 길에 들어선 것이다. 이는 로봇의 “처벌”이 로봇을 잘못 평가한 결과이기 때문만은 아니다. 오히려 지능이 있기는 하지만 도덕에 따를 능력이 없어 규범적인 의미에서 “옳거나” “그르게” 행동하지 못하는 기계에 대해 형벌 제도를 적용한다면 이 제도는 진지함을 잃게 될 것이기 때문이다. 셋째, 인간과 마찬가지로 로봇에 대해서도 법적 제재가 가능하다는 주장은 전혀 설득력이 없는데, 왜냐하면 로봇에 대해 제안된 형사제재인 재프그램화는 법적 근거가 없을 뿐만 아니라 그것의 변형된 형태들은 오늘날의 형법에서는 인정될 수 없는 형사제재의 종류이기 때문이다. 넷째, 인간의 책임을 기계에 이전시키는 것은 아직까지는 성급한 결론이며 그러므로 로봇 형법이 처벌의 공백을 메꾼다는 발상도 별로 근거가 없다는 것이다. 결론적으로 이 논문은 로봇 형법이라는 구상 자체가 좀 더 세련되게 만들어질 필요가 있음을 강조하는데, 왜냐하면 형법상 책임개념은 인간의 도덕적 인격과 밀접하게 연관되어 발전되어 왔기 때문에 로봇 형법은 필히 책임개념의 혼돈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농후하기 때문이다.

  • 초록 (Abstract)
    • In der vorliegenden Studie geht es hauptsachlich darum, ob und inwieweit das Konzept vom sog. Strafrecht fur Roboter zu legitimieren ist. Hier wird diese Frage unter vier verschdieneden Aspekten untersucht. 1) Zur These, dass das Strafrecht fur Robote...
  • In der vorliegenden Studie geht es hauptsachlich darum, ob und inwieweit das Konzept vom sog. Strafrecht fur Roboter zu legitimieren ist. Hier wird diese Frage unter vier verschdieneden Aspekten untersucht. 1) Zur These, dass das Strafrecht fur Roboter durchaus denkmoglich ist, weil die Strafrechtsordnung bis zur Aufklarung die Strafe gegen Tiere kennt, wird zunachst hervorgehoben, dass diese historischen Reminiszenzen von geringer Durchschlagskraft sind. Daran wird auch kritisiert, dass die “Bestrafung“ von Tieren oder sogar von leblosen Gegenstanden nicht mehr der heutigen Vorstellung von dem moglichen Anwendungsbereich des Strafrechts entspricht. Dagegen wird letztlich Bedenken erhoben, dass autonomen Robotern kein moralisches Status zugeschrieben werden sollte, weil es ihnen vor allem an der Empfindungsfahigkeit fehlt. 2) Gegen die Ansicht, dass autonomene Roboter nicht nur handlungs-, sondern auch schuldfahig ist, weil die Herstellung strafrechtlicher Begriffe allein von ihrer Zweckmassigkeit abhangt, wird ins Feld gefuhrt, dass auch Robotetern das Handungsfahigkeit zuerkannt werden kann, wenn der rechtliche Begriff keiner beschreibenden, sondern normativ-zuschreiben Art ist. Dennoch gilt dies nicht im Bereich der Schuld. Denn wenn die Strafe mit dem personlichen Vorwurf eng verbunde ist, kann sie nicht gegen Roboter verhangt werden. Daher sollte die Strafe gegen intelligente Maschine verzicht werden. Sonst steht bei der Bestrafung von Roberten die Wurde und Ernsthaftigkeit der Strafe auf dem Spiel. 3) Zum Gedanken, dass nicht nur Menschen, sondern auch Robertoren bestraft werden kann, lasst sich sagen, dass die als die Strafe vorgeschagene Umprogrammierung nicht in der gesetzlichen Strafe verankert ist. Daneben sei auch erwahnnt, dass sich diese Art der Korperstrafe im modernen Strafrecht verfaasungsrechtlich nicht legitimieren lasst. 4) Zum Vorschlag des Strafrechts fur Roboter zur Erschließung der Straflucke ist zu behaupten, dass er strafrechtsdogmatisch insofern unplausibel ist, als strafrechtliche Zuschreibungsmaßstabe weit reichen, um verschiedne Gefahrquellen zu uberwachen und zu sichern. Falls dies nicht dazu taugt, dann muss die Gesellschaft dies Problem ubernehmen. Insoweit ist keine Lucke auffindbar.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6
189 5 과학 기술 사회 인공지능과 계약법 / 이상용 2016  149
188 5 과학 기술 사회 과학기술과 과학정책, 그리고 과학정신/엄정식 2016  147
187 5 과학 기술 사회 자율주행자동차 사고발생에 따른 형사책임의 귀속여부 - 레벨4단계를 중심으로 - 2017  146
186 5 과학 기술 사회 4차 산업혁명 시대 위험책임의 역할과 한계-인공지능 로봇에 의해 발생한 손해의 책임귀속을 고려하여 / 서종희 2018  146
185 5 과학 기술 사회 인공지능(AI)법률서비스에 대한 변호사법 제109조 제1호 적용 여부에 관한 고찰 /이병규 2018  146
184 5 과학 기술 사회 `인공지능`과 `인간지능` 개념에 대한 철학적 분석 시도 / 김형주 2016  144
183 5 과학 기술 사회 인공지능 시대의 보안 패러다임과 책임구조의 변화 : 규범의 역할과 보안정책의 원칙/윤상필 2018  144
182 5 과학 기술 사회 온라인분쟁해결절차에서의 인공지능의 활용과 법적 함의 / 주강원 2016  143
181 5 과학 기술 사회 로봇저널리즘의 윤리 기준에 대한 제언/조병욱, 박병원 2017  143
180 5 과학 기술 사회 개인정보의 범위에 관한 연구 : GDPR의 비식별조치와 약학정보원 사건의 검토 / 양기진 2018  143
179 5 과학 기술 사회 바이오메트릭 데이터 활용 서비스에서 바이오정보 보호에 관한 연구 / 정부금 2019  142
178 5 과학 기술 사회 인공지능 로봇의 형사책임 ―논의방향의 설정에 관한 몇 가지 발전적 제언 / 안성조 2017  140
177 5 과학 기술 사회 국내 의료 3D프린팅 산업의 활성화 전략 연구(산업/기술/시장 분석을 기반으로)/김규영 2017  140
176 5 과학 기술 사회 인공지능 상용화에 따른 성경적 관점의 윤리 가이드라인에 관한 연구 / 이완형 2018  140
175 5 과학 기술 사회 한국 생명공학 정책의제형성과정에 대한 연구 / 김훈기 2002  139
174 5 과학 기술 사회 세상속으로: 해외동향 : 미국: IBM 왓슨(Watson)을 통해 살펴본 인공 지능 기술과 빅 데이터의 접목과 활용 가능성 / 윤창근 2012  139
173 5 과학 기술 사회 「규제 샌드박스(Regulatory Sandbox)」 정책 동향 및 시사점 / 최해옥 2017  138
172 5 과학 기술 사회 탄소나노소재기술 연구동향에 대한 사회연결망 분석 / 배성훈 2016  136
171 5 과학 기술 사회 보건의료산업 리베이트관행의 경쟁법적 쟁점과 과제 / 이봉의 2009  136
170 5 과학 기술 사회 인공지능형 로봇시스템의 공공성에 관한 연구 / 강문혜, 송선영 2019  13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