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29
발행년 : 2016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법과 정책연구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102598080 
윤리적 인공지능은 가능한가? - 인공지능의 도덕적, 법적 책임 문제 -
= Is it possible to be a moral Artificial Intelligence? - The problem of moral and legal responsibility in A. I. -

                     

  • 저자명

    이상형 ( Sang-hyung Lee )                                              

  • 학술지명

    법과 정책연구                           

  • 권호사항

    Vol.16 No.4 [2016]                                                          

  • 발행처

    한국법정책학회                                   

  • 자료유형

    학술저널

  • 수록면

    283-303(21쪽)

  • 언어

    Korean

  • 발행년도

    2016년

  • 초록 (Abstract)
    • 이 논문의 목적은 인공지능이 윤리적으로 행동하는 것이 가능한가를 고찰하는 것이다. 과학기술의 발전으로 윤리적 대상뿐만 아니라 윤리적 주체의 범위가 인공지능에까지 확대될 때 우리...
  • 이 논문의 목적은 인공지능이 윤리적으로 행동하는 것이 가능한가를 고찰하는 것이다. 과학기술의 발전으로 윤리적 대상뿐만 아니라 윤리적 주체의 범위가 인공지능에까지 확대될 때 우리는 필연적으로 도덕적 인공행위자를 상정하게 된다. 그의 자발적 행위가 인간뿐만 아니라 세계에 영향을 미칠 때 우리는 인공행위자가 도덕적으로 행위하길 기대하기 때문이다. 그렇다면 도덕적 인공행위자가 가능하기 위해 우리는 어떻게 해야 할까? 그의 행동에 얼마만큼의 책임을 부여 해야 할까? 이는 필연적으로 인간의 도덕적 추론에 대한 반성을 이끌게 된다. 인간의 도덕적 추론이 감정에 원천을 갖는다면 도덕적 인공행위자에게 감정능력을 갖게 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그러나 도덕적 인공행위자가 성공한다 할지라도 그에게 곧바로 도덕적, 법적 책임과 권리를 부여할 수 있을까? 우리가 책임져야 할 도덕적 행동이란 감성과 이성의 조화를 통한 자신의 행동을 이해하고, 자신의 행위를 최종적으로 합리적인 방식으로 선택할 수 있는 경우이다. 그러나 이를 위해 두 가지 전제조건이 만족 되어야 한다. 책임은 사회적 관계에 의해 발생하는 것이며, 이는 의사소통의 가능성에 의존한다는 것이다. 책임개념은 사회적 인정에 의해 만들어진다. 따라서 도덕적 인공행위자가 자신의 행위에 대한 책임을 가지기 위해서는 인정투쟁이 필요하다. 책임의 귀속여부는 결국 이런 인정투쟁을 통해 형성된 사회적 산물이라 볼 수 있기 때문이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5

5 과학 기술 사회 의료 데이터 허브 구축을 위한 법제도 개선 방향 / 이규철

발행년 2018 

  • 조회 수 34

5 과학 기술 사회 [제402회 과학기술정책포럼] 미래사회 변화를 선도할 핵심기술 / 이세민

발행년 2016 

  • 조회 수 36

5 과학 기술 사회 인공지능에 대한 주요국의 대응전략 및 한국의 정치발전을 위한 제언 / 박종선

발행년 2017 

  • 조회 수 36

5 과학 기술 사회 Direct-To-Consumer 광고 판매언설에 관한 연구 / 김춘애

발행년 2006 

  • 조회 수 36

5 과학 기술 사회 소비자 맞춤형 삼차원 프린팅 서비스 플랫폼 개발을 위한 탐색 / 이국희

발행년 2017 

  • 조회 수 37

5 과학 기술 사회 의료 데이터 허브 구축을 위한 법제도 개선 방향 - 지정 토론문 / 박미정

발행년 2018 

  • 조회 수 41

5 과학 기술 사회 4차 산업혁명시대 개인정보권의 법리적 재검토 / 정하명

발행년 2017 

  • 조회 수 43

5 과학 기술 사회 인공지능 의료기기 위험관리를 위한 규범론적 접근 - 인공지능 소프트웨어 규범화 논의를 중심으로 / 김재선

발행년 2017 

  • 조회 수 44

5 과학 기술 사회 박근혜-최순실 게이트로 드러난 줄기세포 문제, 그 뿌리를 찾아서 / 최규진

발행년 2017 

  • 조회 수 45

5 과학 기술 사회 부산광역시 e-응급서비스시스템 인프라 구축 / 김형회 외

발행년 2008 

  • 조회 수 45

5 과학 기술 사회 유전자 선별 시대에 분배정의의 실현을 위한 선교적 과제 - 기독교평등공동체 구현을 위한 선교를 중심으로 / 김광연

발행년 2017 

  • 조회 수 47

5 과학 기술 사회 개인정보 침해 관련 정보 제공 서비스 사용 의도 분석 / 김택영 외

발행년 2018 

  • 조회 수 48

5 과학 기술 사회 「개인정보 비식별 조치 가이드라인」 개선 방안 / 김세민

발행년 2017 

  • 조회 수 49

5 과학 기술 사회 나노·소재기술개발사업의 연구자 인식조사 / 김태연

발행년 2016 

  • 조회 수 50

5 과학 기술 사회 특집마당 : 3D 프린팅 기술의 바이오메디컬 응용 / 김완두 외

발행년 2014 

  • 조회 수 51

5 과학 기술 사회 『뉴로맨서』에 나타난 인공지능 윤리의식에 대한 연구 / 추재욱

발행년 2018 

  • 조회 수 52

5 과학 기술 사회 페이스북의 각 기능 이용이 개인 직무 성과에 미치는 영향 / 이승엽

발행년 2016 

  • 조회 수 53

5 과학 기술 사회 ’17년 산업부 로봇 R&D 정책 방향 / 김경훈

발행년 2017 

  • 조회 수 53

5 과학 기술 사회 빅데이터 환경에서 개인정보 제공 의도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 윤승욱

발행년 2018 

  • 조회 수 53

5 과학 기술 사회 창조경제의 신산업 발전전략 모색을 통한 3D 프린팅 산업의 발전방안에 관한 연구 / 박현욱

발행년 2016 

  • 조회 수 5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