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29
발행년 : 2015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연세 의료·과학기술과 법(Yonsei Journal of Mediccal and Science Technology Law)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102117446 
개인정보보호의 관점에서 바라본, 『공공데이터의 제공 및 이용 활성화에 관한 법률』의 문제점 및 보완방안
= Problems and Improvements on 『Public Data Provision and Use Activation Act』focused on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 저자명

    임효준 ( Hyo-jun Im )                                             

  • 학술지명

    연세 의료·과학기술과 법(Yonsei Journal of Mediccal and Science Technology Law)                           

  • 권호사항

    Vol.6 No.2 [2015]                                                         

  • 발행처

    연세대학교 법학연구원 의료·과학기술과 법센터                                 

  • 자료유형

    학술저널

  • 수록면

    65-108(44쪽)

  • 언어

    Korean

  • 발행년도

    2015년                                                                                                                                                         

  • 초록 (Abstract)
    • ‘공공데이터의 제공 및 이용활성화에 관한 법률’이 제정되어 2013년 10월부터 시행되어 오고 있다. 이는 공공부문의 빅데이터를 민간에 공개하여 그 활용을 촉진하려는 취지를 가진 것으로...
  • ‘공공데이터의 제공 및 이용활성화에 관한 법률’이 제정되어 2013년 10월부터 시행되어 오고 있다. 이는 공공부문의 빅데이터를 민간에 공개하여 그 활용을 촉진하려는 취지를 가진 것으로서, 국제적 추세에 부합하고 스마트 산업 발전의 계기가 될 수 있는 법률이다. 그러나 현정부의 주요 정책 중 하나로서 급하게 추진된 면이 있기 때문에, 시행 전부터 개인정보보호의 측면이 충분히 고려되지 못하였다는 지적이 꾸준히 제기되어 왔다. 이에 따라, 이 연구에서는 관련된 문제점을 4가지로 나누어 검토해 보고, 이 법률이 원래의 취지대로 잘 운영될 수 있도록 각각의 문제점에 대한 보완방안을 제시해 보았다. 구체적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개인정보 제공과 관련된 기존의 다른 법률들과의 관계가 모호하여, 기존 규정들에 의한 절차를 간과해도 되는 것처럼 해석될 위험이 있다. 따라서 다른 법률에 특별한 규정이 있는 경우, 해당 규정을 준수하여야 한다는 조항을 추가할 필요가 있다. 둘째, 공공기관이 보유하고 있는 모든 공공데이터를 공공데이터 포털에 공개하면 이용자가 별도의 절차 없이 곧바로 이용할 수 있는 방식을 원칙으로 하고 있어, 사전에 개인정보보호와 관련된 법적 문제를 검토하는 데 무리가 있다. 따라서 다른 법률에 의한 비공개대상에 해당할 여지가 있거나, 제3자와 관련되어 있거나, 제공을 위해 다른 법률의 절차를 거쳐야 하는 정보를 포함하고 있는 공공데이터는 일괄공개 대상에서 제외하여 신청 절차를 통한 이용 방식을 거치도록 하여야 한다. 셋째, 이미 제공된 공공데이터가 사후적으로 개인정보를 침해하여 그 제공이 중단되거나 목록에서 제외된 경우, 이미 제공된 공공데이터를 회수하는 조치를 요구하는 조항이 존재하지 않아, 침해가 지속될 위험이 있다. 따라서 일정한 회수조치를 의무화하는 규정이 필요하다. 넷째, 제공된 공공데이터를 활용하는 과정에서 개인정보 침해 문제가 발생한 경우, 공공기관이 면책될 여지는 많은 데 비해 이용자가 면책될 수 있는 요건은 엄격하다. 따라서 공공기관의 면책 여지를 줄이고 이용자의 면책 요건을 완화하여, 공공기관이 공공데이터를 제공하는 시점부터 충분한 숙고를 하도록 할 필요가 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6
329 5 과학 기술 사회 나노기술과 새로운 윤리 모델의 모색 / 이원봉 2015  100
328 5 과학 기술 사회 IoT 환경에서 생체정보를 이용한 안전하고 효율적인 인증방법 설계 / 박상현 2017  100
327 5 과학 기술 사회 자율주행차 현황분석과 한국의 경쟁력 확보 전략/양은지 외 2017  100
326 5 과학 기술 사회 영리병원 도입은 되돌릴 수 없는 법적 약속인가 ― 영리병원 설립 근거 법률의 개정과 한미 FTA 합치성 검토 ― / 정은아 2018  100
325 5 과학 기술 사회 과학기술과 관련된 사회적 쟁점에 대한 논증 프로그램이 예비 생물교사들의 의사결정 유형과 의사소통 능력에 미치는 영향 / 김선영 2018  100
324 5 과학 기술 사회 과학철학에 있어서 AI의 활용 가능성 / 이영의 1990  101
323 5 과학 기술 사회 군내 신원확인용 인체유래물 보관사업 현황 및 개선방안 / 김선 2017  101
322 5 과학 기술 사회 나노폐기물 처리의 새로운 패러다임 / 엄하늬 2012  102
321 5 과학 기술 사회 인공지능 로봇의 형사법이론 체계에 관한 일고 / 이인곤 외 2018  102
320 5 과학 기술 사회 프랑스의 나고야의정서상 접근 및 이익 공유(ABS)에 관한 국내이행 법제 동향 / 김두수 2018  102
319 5 과학 기술 사회 형사사법 분야에서의 로봇 기술 활용에 대한 인문학적 고찰 / 신현주 2017  103
318 5 과학 기술 사회 자율주행자동차 시험운행에 관한 각국 법안의 비교 및 정책적 시사점 2017  103
317 5 과학 기술 사회 미국의 사이버안보법상 개인정보보호에 관한 연구 / 이성엽 2018  103
» 5 과학 기술 사회 개인정보보호의 관점에서 바라본, 『공공데이터의 제공 및 이용 활성화에 관한 법률』의 문제점 및 보완방안 / 임효준 2015  104
315 5 과학 기술 사회 프랑스 출산장려를 위한 가족정책의 젠더적 함의 / 김민정 2018  104
314 5 과학 기술 사회 인공지능이 지식을 가질 수 있는가? : 폐쇄 버전의 쉬운 지식 문제에 대한 한 가지 해결책과 그 해결책이 함축하는 것 / 오희철 2018  104
313 5 과학 기술 사회 과학기술 규제정책의 정책변동과 정책네트워크 역동성 분석 / 김인자 외 2017  104
312 5 과학 기술 사회 빅데이터 시대 생성정보의 처리 체계 - 추론된 정보의 처리에 관한 우리 개인정보보호법의 규율과 개선 방안에 관한 고찰 / 박광배 외 2017  105
311 5 과학 기술 사회 인공지능의 철학적 인간학/엄정식 2017  106
310 5 과학 기술 사회 안전성 증진을 위한 의료기기 개발 과정과 인간공학 가이드라인 연구 / 채승진 외 2017  1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