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29
발행년 : 2014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서울대학교 法學(Seoul Law Journal)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100119787 
논문 : 다국적기업에 의한 인권침해와 OECD 다국적기업 가이드라인
= Article : OECD Guidelines for Multinational Enterprises as an Instrument Addressing Human Rights Abuses Committed by Multinational Enterprises

                                  

  • 저자명

    이상수 ( Sang Soo Lee )                                                    

  • 학술지명

    서울대학교 法學(Seoul Law Journal)             

  • 권호사항

    Vol.55 No.3 [2014]                                                          

  • 발행처

    서울대학교 법학연구소                                  

  • 발행처 URL

    http://lawi.snu.ac.kr/

  • 자료유형

    학술저널

  • 수록면

    221-255(35쪽)

  • 언어

    Korean

  • 발행년도

    2014년

  • 등재정보

    KCI등재

초록 (Abstract)

  • 다국적기업에 의한 인권침해 문제를 해결하는 것이 우리 시대의 중요한 과제로부상했다. 이와 관련하여 가장 관심을 받는 규범 중의 하나가 ‘OECD 다국적기업가이드라인’(이하 ‘가이드라...
  • 다국적기업에 의한 인권침해 문제를 해결하는 것이 우리 시대의 중요한 과제로부상했다. 이와 관련하여 가장 관심을 받는 규범 중의 하나가 ‘OECD 다국적기업가이드라인’(이하 ‘가이드라인’)이다. 본고는 이 점을 염두에 두면서 가이드라인의발전과정을 살펴봄으로써, 현행 가이드라인을 이해하고 그것의 미래를 가늠해 보려는 시도이다. 그리고 근본적으로는 가이드라인이 과연 어떤 의미에서 중요한 기업인권 규범인지, 가이드라인의 효과성을 극대화하기 위해서 무엇이 필요한지에 대해서대답하고자 한다. 최초의 가이드라인인 1976년 가이드라인은 노동권 이외의 기업인권 이슈에 대해서는 침묵했다. 인권규범으로서의 면모가 본격적으로 등장한 것은 2000년 가이드라인에 이르러서였다. 이 가이드라인은 인권에 관한 일반조항을 담았으며 다국적기업이 개도국에서 야기하는 인권침해와 사업관계로 인한 인권침해를 규제대상에 포함시켰고, 국내연락사무소(이하 ‘NCP’)로 하여금 실제 분쟁을 해결하는 ‘구체적 사안’절차를 도입했다. 이로 인해 가이드라인은 본격적인 기업인권 규범으로 거듭날 수있었다. 하지만 동시에 이후의 적용과정에서 여러 문제점들이 노정되기도 했다. 이때 제기된 문제점들은 2011년 개정을 통해서 상당히 해소됐다. 그리고 이때 ‘유엔기업인권 프레임워크’의 내용을 전폭적으로 반영하여 인권에 관한 독립된 장을 만들었다. 이로써 가이드라인은 현재 국제공법질서 내에서 다국적기업에게 인권책임을부과하는 가장 발달한 인권규범이 됐다. 본고는 가이드라인 발전과정에서의 가장 주목할 만한 지점으로 NCP가 다국적기업의 인권침해 여부에 대한 판정기능을 갖게 된 점 그리고 그것이 점점 강화되어온 점을 지적한다. 그리고 이러한 판정기능이야 말로 우리가 가이드라인에 주목하는가장 중요한 측면이라고 주장한다. 따라서 향후에도 가이드라인은 이런 방향으로 진화를 거듭하는 것이 마땅하며, 우리나라에서 전개되고 있는 NCP개혁 논의도 이런방향에서 추진되어야 한다고 본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6
149 5 과학 기술 사회 나노기술의 경제적 가치분석 : 이차전지 산업을 중심으로 / 배성훈 2015  120
148 5 과학 기술 사회 로봇기반교육의 물리적 환경이 교사의 로봇활용 능력 및 활용 정도에 미치는 영향 / 이연승 2014  120
147 5 과학 기술 사회 과학기술사회에서의 기본권 보호문제 / 성정엽 2006  120
146 5 과학 기술 사회 4차 산업혁명과 인공지능 / 주강진 외 2017  120
145 5 과학 기술 사회 소셜 빅데이터를 활용한 미래신호 예측 / 송태민 2016  119
144 5 과학 기술 사회 의료 빅데이터 분석, 의료 빅데이터 표준화, 의료 온톨로지, 의료 보안, 상호호완성, CDSS, 정밀의료, 지능형 의료 플랫폼 / 이승룡 외 2018  119
143 5 과학 기술 사회 여성스포츠선수의 인권보호에 대한 국제적 기준과 국내 이행에 따른 문제점 및 개선방안 : 성폭력과 관련하여 / 권형둔 2017  119
142 5 과학 기술 사회 인공지능을 통한 비본질주의적 사유에 대한 의철학적 전망 / 김준혁 2016  118
141 5 과학 기술 사회 인공지능과 로봇 미래방향과 4차산업혁명에 따른 신사업 / 손진호 2016  118
140 5 과학 기술 사회 의료 이미지 데이터의 비식별화 방안에 관한 연구 2016  117
139 5 과학 기술 사회 인공지능 산업활성화 생태계 조성을 위한 제언 / 이종용, 조병선 2016  116
138 5 과학 기술 사회 4차 산업혁명 핵심, 산업인터넷 / 김병운 2016  116
137 5 과학 기술 사회 바이오정보 활용 서비스 현황 및 GDPR 사례를 통한 바이오정보보호 법제 개선방안 / 정부금 외 2018  116
136 5 과학 기술 사회 과학기술 정책, 한국의 미래가 달렸다/박영준 2016  115
135 5 과학 기술 사회 지식재산권 침해에 대한 민사상 구제방법에 관한 소고 / 계승균 2017  115
134 5 과학 기술 사회 한국에서의 본인확인수단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 신영진 2015  115
133 5 과학 기술 사회 만성질환자 자가관리를 위한 국제표준 프로토콜 기반 다중 에이전트 모바일 헬스 어플리케이션 개발 2016  114
132 5 과학 기술 사회 위험소통과 정부신뢰 빅데이터 감정분석을 통한 메르스 사례 분석 / 최미정 외 2017  114
131 5 과학 기술 사회 미래 국가의 성패, 새로운 과학기술 정책에 달렸다/이명현 외 2016  113
130 5 과학 기술 사회 개인정보 침해사고 대응을 위한 사이버 포렌식 활용 방안에 관한 연구 : 공공기관 중심으로 / 박기배 2015  1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