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29
발행년 : 2009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가천법학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100157919 
독점금지법상 ‘지적재산권의 부당한 행사에 대한 가이드라인’의 개선방안

                      

  • 저자명

    손진화,이형원                                          

  • 학술지명

    가천법학                           

  • 권호사항

    Vol.2 No.3 [2009]                                                          

  • 발행처

    가천대학교 법학연구소                                 

  • 자료유형

    학술저널

  • 수록면

    195-226(32쪽)

  • 언어

    Korean

  • 발행년도

    2009년

  • KDC

    360

초록 (Abstract)

  • 독점금지법과 지적재산권은 충돌가능성이 있는 법적 구조이다. 독점금지법은 시장에서 지배적 지위의 남용 및 과도한 경제력집중을 방지하고, 불공정한 공동행위 또는 반경쟁적인 상행위...
  • 독점금지법과 지적재산권은 충돌가능성이 있는 법적 구조이다. 독점금지법은 시장에서 지배적 지위의 남용 및 과도한 경제력집중을 방지하고, 불공정한 공동행위 또는 반경쟁적인 상행위를 규제하는 동시에 자유경쟁의 촉진, 기업의 창조적 활동의 진흥과 소비자의 권리보호를 목적으로 한다. 이에 대하여 지적재산권은 권리자에 대하여 독점권과 기술혁신에 대한 인센티브(Incentive)를 부여함과 동시에 새로운 지식으로부터 발생하는 이익을 제3자가 아무런 대가 없이 이용할 수 없도록 하는 배타적인 권리를 부여한다. 즉, 지적재산권법은 발명자와 창작자에게 경쟁을 제한할 수 있는 독점․ 배타적인 권리를 부여하고, 독점금지법은 자유롭고 공정한 경쟁질서의 확보를 위해 독점을 제한한다는 점에서 충돌할 가능성을 내포한다. 또한 산업의 발전이 고도화되어 감에 따라 지적재산권의 부당한 행사는 더욱 많아지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우리나라의 ‘지적재산권의 부당한 행사에 대한 가이드라인’은 2000년 제정된 이래 한 차례도 개정을 하지 않아 사회적 요구에 부응하지 못하고 있다. 반면 일본은 2007년에 지적재산권 관련 독점 금지법상의 치침을 정비하였고, 미국도 이에 대한 논의를 활발히 하고 있다. 이러한 국내외적 상황에 따라 본 논문에서는 '지적재산권의 부당한 행사에 대한 가이드라인'의 개선방안을 논의해 보고자 한다.
  •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 론
    • Ⅱ. 독점금지법과 지적재산권의 관계 정립 및 가이드라인의 제정
    • 1. 서 설
    • 2. 각국 독점금지법의 약사(略史)
    • 3. 독점금지법과 지적재산권의 관계 및 가이드라인의 제정
    • Ⅲ. 각국의 ‘지적재산권의 부당한 행사 관련 가이드라인’의 주요 내용 및 문제점
    • 1. 미국․일본․한국의 지적재산권 남용 관련 가이드라인 분석
    • 2. 미국․일본․한국의 가이드라인 비교
    • Ⅳ. '지적재산권의 부당한 행사에 대한 가이드라인'의 개선방안
    • 1. 지적재산권의 부당한 행사에 대한 가이드라인 개정의 필요성
    • 2.‘지적재산권의 부당한 행사에 대한 가이드라인’의 개정 방안
    • 3. ‘지적재산권의 부당한 행사에 대한 가이드라인’의 근거조항 신설
    • 4. 지적재산권 관련 법률에의 권리남용금지 조항의 신설
    • Ⅴ. 결 론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6
    69 5 과학 기술 사회 과학기술에 대한 공중의 위험특성과 신뢰가 위험인식 및 위험수용에 미치는 영향 - 나노기술을 중심으로 / 김원제 2016  84
    68 5 과학 기술 사회 “4차 산업혁명 시대, 인간 뇌의 특별함을 키우다” / 안민경 2016  84
    67 5 과학 기술 사회 4차 산업혁명 시대, 혁신 다양성으로 접근하기 / 조길수 2017  83
    66 5 과학 기술 사회 개인정보 비식별 조치 가이드라인의 법률적 의미와 쟁점 / 전승재 외 2017  82
    65 5 과학 기술 사회 자율주행 대중교통 공공성 확보를 위한 쟁점과 개선방향 / 김규옥 2019  82
    64 5 과학 기술 사회 미래기술의 이슈에 대한 국제적 비교 / 박순창 2013  81
    63 5 과학 기술 사회 모바일 환경에서의 병원정보시스템 설계 및 구현 2011  81
    62 5 과학 기술 사회 원격의료환경에서 개인생체정보 보호 및 무결성에 관한 연구 / 김순석, 이재현 2017  81
    61 5 과학 기술 사회 바이오템플릿 비트분할 분산 저장기법을 통한 생체인증 시스템 설계 / 홍윤기 2017  80
    60 5 과학 기술 사회 생체 인증에서의 프라이버시 보호 기술 /박희진, 이윤호 2018  79
    59 5 과학 기술 사회 휴머노이드 로봇 캐릭터 개발을 위한 디자인 가이드 라인 / 우명희 2004  78
    58 5 과학 기술 사회 4차 산업혁명을 선도하는 유럽의 인공지능(AI) 특허기술 / 조재신 2018  78
    57 5 과학 기술 사회 치의학분야 3D 프린팅 기술이 적용된 의료기기의 인·허가전략과 과제/신은미, 양승민 2018  77
    56 5 과학 기술 사회 신체증강 기술과 덕 윤리 / 김광연 2018  77
    » 5 과학 기술 사회 독점금지법상 ‘지적재산권의 부당한 행사에 대한 가이드라인’의 개선방안 / 손진화 2009  75
    54 5 과학 기술 사회 사물인터넷 시대의 개인정보 보호의 과제 - 일본의 2015년 9월 개정 개인정보보호법을 중심으로 / 손영화 2017  75
    53 5 과학 기술 사회 손잡고 따라가는 휴머노이드 로봇 제어기법 / 정유철, 한헌수 2009  74
    52 5 과학 기술 사회 인공지능과 그 영향에 대한 과학적 이해 / 이경전 2017  73
    51 5 과학 기술 사회 중국의 과학기술보안규정과 대한민국 국가연구개발사업 연구보안제도 정책과의 비교 연구 / 강선준 외 2018  73
    50 5 과학 기술 사회 정보화시대의 지능형로봇 연구동향 / 백문홍 외 2008  7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