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29
발행년 : 2009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가천법학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100157919 
독점금지법상 ‘지적재산권의 부당한 행사에 대한 가이드라인’의 개선방안

                      

  • 저자명

    손진화,이형원                                          

  • 학술지명

    가천법학                           

  • 권호사항

    Vol.2 No.3 [2009]                                                          

  • 발행처

    가천대학교 법학연구소                                 

  • 자료유형

    학술저널

  • 수록면

    195-226(32쪽)

  • 언어

    Korean

  • 발행년도

    2009년

  • KDC

    360

초록 (Abstract)

  • 독점금지법과 지적재산권은 충돌가능성이 있는 법적 구조이다. 독점금지법은 시장에서 지배적 지위의 남용 및 과도한 경제력집중을 방지하고, 불공정한 공동행위 또는 반경쟁적인 상행위...
  • 독점금지법과 지적재산권은 충돌가능성이 있는 법적 구조이다. 독점금지법은 시장에서 지배적 지위의 남용 및 과도한 경제력집중을 방지하고, 불공정한 공동행위 또는 반경쟁적인 상행위를 규제하는 동시에 자유경쟁의 촉진, 기업의 창조적 활동의 진흥과 소비자의 권리보호를 목적으로 한다. 이에 대하여 지적재산권은 권리자에 대하여 독점권과 기술혁신에 대한 인센티브(Incentive)를 부여함과 동시에 새로운 지식으로부터 발생하는 이익을 제3자가 아무런 대가 없이 이용할 수 없도록 하는 배타적인 권리를 부여한다. 즉, 지적재산권법은 발명자와 창작자에게 경쟁을 제한할 수 있는 독점․ 배타적인 권리를 부여하고, 독점금지법은 자유롭고 공정한 경쟁질서의 확보를 위해 독점을 제한한다는 점에서 충돌할 가능성을 내포한다. 또한 산업의 발전이 고도화되어 감에 따라 지적재산권의 부당한 행사는 더욱 많아지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우리나라의 ‘지적재산권의 부당한 행사에 대한 가이드라인’은 2000년 제정된 이래 한 차례도 개정을 하지 않아 사회적 요구에 부응하지 못하고 있다. 반면 일본은 2007년에 지적재산권 관련 독점 금지법상의 치침을 정비하였고, 미국도 이에 대한 논의를 활발히 하고 있다. 이러한 국내외적 상황에 따라 본 논문에서는 '지적재산권의 부당한 행사에 대한 가이드라인'의 개선방안을 논의해 보고자 한다.
  •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 론
    • Ⅱ. 독점금지법과 지적재산권의 관계 정립 및 가이드라인의 제정
    • 1. 서 설
    • 2. 각국 독점금지법의 약사(略史)
    • 3. 독점금지법과 지적재산권의 관계 및 가이드라인의 제정
    • Ⅲ. 각국의 ‘지적재산권의 부당한 행사 관련 가이드라인’의 주요 내용 및 문제점
    • 1. 미국․일본․한국의 지적재산권 남용 관련 가이드라인 분석
    • 2. 미국․일본․한국의 가이드라인 비교
    • Ⅳ. '지적재산권의 부당한 행사에 대한 가이드라인'의 개선방안
    • 1. 지적재산권의 부당한 행사에 대한 가이드라인 개정의 필요성
    • 2.‘지적재산권의 부당한 행사에 대한 가이드라인’의 개정 방안
    • 3. ‘지적재산권의 부당한 행사에 대한 가이드라인’의 근거조항 신설
    • 4. 지적재산권 관련 법률에의 권리남용금지 조항의 신설
    • Ⅴ. 결 론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6
    249 5 과학 기술 사회 세계 빅데이터 연구의 의미연결망분석 기반 IT정책 연구 / 권신혁 2016  99
    248 5 과학 기술 사회 소셜미디어를 통한 사회자본 형성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 이병혜 2016  98
    247 5 과학 기술 사회 페이스북의 각 기능 이용이 개인 직무 성과에 미치는 영향 / 이승엽 2016  53
    246 5 과학 기술 사회 제4차 산업혁명이 일자리에 미치는 영향 / 안상희 2016  1872
    245 5 과학 기술 사회 4차 산업혁명 핵심, 산업인터넷 / 김병운 2016  116
    244 5 과학 기술 사회 제4차 산업혁명 시대의 국내환경 점검과 정책 방향 / 김윤경 2017  122
    243 5 과학 기술 사회 4차 산업혁명시대의 지적교육 방향 / 김영학 2016  197
    242 5 과학 기술 사회 제4차 산업혁명에 대한 경기도의 대응방향 / 김은경 2016  194
    241 5 과학 기술 사회 휴머노이드 로봇 캐릭터 개발을 위한 디자인 가이드 라인 / 우명희 2004  78
    240 5 과학 기술 사회 위험사회에서의 헌법이론 -헌법질서의 확립과 가이드라인 시대의 서언 / 손형섭 2013  68
    239 5 과학 기술 사회 개인정보 비식별 조치 가이드라인의 법적 문제와 개인정보보호법제 개선방향 / 이순환 2016  333
    » 5 과학 기술 사회 독점금지법상 ‘지적재산권의 부당한 행사에 대한 가이드라인’의 개선방안 / 손진화 2009  75
    237 5 과학 기술 사회 다국적기업에 의한 인권침해와 OECD 다국적기업 가이드라인 / 이상수 2014  220
    236 5 과학 기술 사회 인공지능의 철학적 인간학/엄정식 2017  106
    235 5 과학 기술 사회 개인정보보호의 관점에서 바라본, 『공공데이터의 제공 및 이용 활성화에 관한 법률』의 문제점 및 보완방안 / 임효준 2015  104
    234 5 과학 기술 사회 소셜 빅데이터를 활용한 미래신호 예측 / 송태민 2016  119
    233 5 과학 기술 사회 인간과 교감하는 감성로봇 관련 기술 및 개발 동향 / 김평수 2016  238
    232 5 과학 기술 사회 인공지능과 그 영향에 대한 과학적 이해 / 이경전 2017  73
    231 5 과학 기술 사회 IT기술의 발전과 개인정보보호 / 조대진 2017  108
    230 5 과학 기술 사회 4차 산업혁명시대 개인정보권의 법리적 재검토 / 정하명 2017  4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