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29
발행년 : 2016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정책연구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102752725 
제4차 산업혁명에 대한 경기도의 대응방향
=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and Its Implications for Gyeonggi-Do

                              

  • 저자명

    김은경,문영민                                               

  • 학술지명

    정책연구                           

  • 권호사항

    Vol.- No.- [2016]                                                         

  • 발행처

    경기연구원                                   

  • 자료유형

    학술저널

  • 수록면

    1-88(88쪽)

  • 언어

    Korean

  • 발행년도

    2016년

초록 (Abstract)

  • 제4차 산업혁명은 인공지능, 머신러닝, 로봇, 사물인터넷, 3D 프린팅, 바이오 등이 주도하는 기술혁명으로 불린다. 기존의 산업혁명들은 인간의 노동력을 기계화하고 자동화를 했던 반면 제4...
  • 제4차 산업혁명은 인공지능, 머신러닝, 로봇, 사물인터넷, 3D 프린팅, 바이오 등이 주도하는 기술혁명으로 불린다. 기존의 산업혁명들은 인간의 노동력을 기계화하고 자동화를 했던 반면 제4차 산업혁명은 인간의 두뇌 자체를 대체하는 혁명적인 변화를 초래할 것으로 예측된다. 미국, 일본, 독일 등 선진국들은 제조업 혁신을 위해 제조업에 ICT를 적용하고, 센서 · 빅데이터 · 로봇 등에 기반한 스마트팩토리를 추진하고 있다. 인터넷이나 모바일에 기반한 개인 맞춤형 제품이나 서비스도 증가되고 플랫폼 기반 비즈니스도 확산되고 있다. 제4차 산업혁명은 ICT의 급격한 발전과 함께 거의 모든 산업에서 확산되고 있다.
    본 연구는 제4차 산업혁명과 관련된 논의들을 정리하고 경기도의 정책방향을 모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제4차 산업혁명의 배경, 특징 및 파급효과를 검토하고 제4차 산업혁명과 관련된 한국, 미국, 독일, 일본의 주요 정책을 정리 · 비교한다. 또한 제4차 산업혁명의 대표산업인 인공지능과 사물인터넷의 현황 및 전망을 살펴본다. 제4차 산업혁명에 대한 경기도의 대응방향이 결론으로서 제시된다.

목차 (Table of Contents)

  • [표지]
  • [연구요약]
  • [차례]
  • 표 · 그림 차례
  • [제1장 연구의 배경 및 목적]
  • 제1절 연구배경
  • 제2절 연구목적
  • [제2장 제4차 산업혁명 개요]
  • 제1절 제4차 산업혁명의 배경
  • 제2절 제4차 산업혁명의 특징
  • 제3절 제4차 산업혁명의 파급효과
  • [제3장 사례분석]
  • 제1절 인공지능
  • 제2절 사물인터넷
  • [제4장 국가별 비교]
  • 제1절 한국
  • 제2절 미국
  • 제3절 독일
  • 제4절 일본
  • 제5절 소결
  • [제5장 경기도 정책방향]
  • 제1절 경기도 현황
  • 제2절 경기도 정책방향
  • [제6장 결론 및 정책제안]
  • [참고문헌]
  • [Abstract]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6
269 5 과학 기술 사회 인공지능과 제4차 산업혁명의 함의 / 원동규, 이상필 2016  322
268 5 과학 기술 사회 4차 산업혁명 시대, 가족의 의미 / 송재찬 2016  311
267 5 과학 기술 사회 4차 산업혁명과 직업변화 / 김미혜 2016  260
266 5 과학 기술 사회 4차 산업혁명, 일자리, 과학기술 / 정명애 2016  95
265 5 과학 기술 사회 “4차 산업혁명 시대, 인간 뇌의 특별함을 키우다” / 안민경 2016  84
264 5 과학 기술 사회 4차 산업혁명과 안전보건 / 권혁면 2016  400
263 5 과학 기술 사회 제4차 산업혁명, 지식재산 정책의 변화 / 손수정 2016  98
262 5 과학 기술 사회 4차 산업혁명을 준비하는 스마트기술과 표준화 전략 / 이상동 2016  63
261 5 과학 기술 사회 창조경제의 신산업 발전전략 모색을 통한 3D 프린팅 산업의 발전방안에 관한 연구 / 박현욱 2016  54
260 5 과학 기술 사회 4차 산업혁명과 유전자 알고리즘 / 유성민 2016  333
259 5 과학 기술 사회 소셜네트워서비스에서의 구성원의 다양성, 연결강도, 사회적 자본이 개인의 창의성 발현에 미치는 영향 / 강윤정 2016  177
258 5 과학 기술 사회 세계 빅데이터 연구의 의미연결망분석 기반 IT정책 연구 / 권신혁 2016  99
257 5 과학 기술 사회 소셜미디어를 통한 사회자본 형성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 이병혜 2016  98
256 5 과학 기술 사회 페이스북의 각 기능 이용이 개인 직무 성과에 미치는 영향 / 이승엽 2016  53
255 5 과학 기술 사회 제4차 산업혁명이 일자리에 미치는 영향 / 안상희 2016  1872
254 5 과학 기술 사회 4차 산업혁명 핵심, 산업인터넷 / 김병운 2016  116
253 5 과학 기술 사회 4차 산업혁명시대의 지적교육 방향 / 김영학 2016  197
» 5 과학 기술 사회 제4차 산업혁명에 대한 경기도의 대응방향 / 김은경 2016  194
251 5 과학 기술 사회 개인정보 비식별 조치 가이드라인의 법적 문제와 개인정보보호법제 개선방향 / 이순환 2016  333
250 5 과학 기술 사회 소셜 빅데이터를 활용한 미래신호 예측 / 송태민 2016  1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