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29
발행년 : 2016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한국지적정보학회지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102752987 
4차 산업혁명시대의 지적교육 방향
= Directions of Cadastral Education in 4th Industry Revolution

                                    

  • 저자명

    김영학(Kim, Young Hag)                                               

  • 학술지명

    한국지적정보학회지                           

  • 권호사항

    Vol.18 No.3 [2016]                                                           

  • 발행처

    한국지적정보학회(Korean Association of Cadastre Information)                                   

  • 발행처 URL

    http://www.kcia99.or.kr/

  • 자료유형

    학술저널

  • 수록면

    35-49(15쪽)

  • 언어

    Korean

  • 발행년도

    2016년

초록 (Abstract)

  • 4차 산업혁명의 대두는 산업 전반의 변화를 예고하고 있고, 기존의 산업 사회체계로는 변화되는 현실에 적절히 대응할 수 있으며, 특히 기존 교육프로그램으로 4차 산업혁명 사회의 변화를 ...
  • 4차 산업혁명의 대두는 산업 전반의 변화를 예고하고 있고, 기존의 산업 사회체계로는 변화되는 현실에 적절히 대응할 수 있으며, 특히 기존 교육프로그램으로 4차 산업혁명 사회의 변화를 따라가기는 대학교육의 역량부족이라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4차 산업혁명에 적응할 수 있는 지적교육의 여건이 되는지를 검토하여 4차 산업혁명시대에 부합하는 지적교육의 방향을 제시하는 것이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연구범위는 4차 산업혁명의 핵심내용인 인공지능과 기술, 최근 학교교육의 이슈인 NCS, 산업 전반에서 추구하는 CQI 등의 개념적 관점에서 지적교육과의 관련성으로 한정하고, 조사방법은 문헌조사 및 인터넷조사를 통하여 1차 및 2차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접근방법은 서술적 접근방법과 체제적 접근방법을 병용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은 관점 및 내용에서 도출하고자 하였다. 첫째, 4차 산업혁명과 지적교육 환경은 4차 산업혁명의 핵심과 지적교육의 환경으로 NCS와 CQI, 선행연구 및 접근 틀 차원에서 검토하였다. 둘째, 산업혁명과 지적교육의 실제 및 한계는 산업혁명 기반 지적교육, NCS 기반 지적교육, CQI 기반 지적교육 차원에서 현 상황을 바라보았다. 셋째, 4차 산업혁명에 따른 지적교육 방향은 위치지능, 현장 지향성, 지속적이고 순환적인 질 관리 차원에서 검토하였다.

목차 (Table of Contents)

  • 요지
  • Abstract
  • 1. 서론
  • 2. 4차 산업혁명과 지적교육 환경
  • 3. 산업혁명과 지적교육의 실제 및 한계
  • 4. 4차 산업혁명시기의 지적교육 방향
  • 5. 결론
  • 참고문헌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6
249 5 과학 기술 사회 로봇저널리즘의 윤리 기준에 대한 제언/조병욱, 박병원 2017  143
248 5 과학 기술 사회 개인정보의 범위에 관한 연구 : GDPR의 비식별조치와 약학정보원 사건의 검토 / 양기진 2018  143
247 5 과학 기술 사회 `인공지능`과 `인간지능` 개념에 대한 철학적 분석 시도 / 김형주 2016  144
246 5 과학 기술 사회 인공지능 시대의 보안 패러다임과 책임구조의 변화 : 규범의 역할과 보안정책의 원칙/윤상필 2018  144
245 5 과학 기술 사회 자율주행자동차 사고발생에 따른 형사책임의 귀속여부 - 레벨4단계를 중심으로 - 2017  146
244 5 과학 기술 사회 4차 산업혁명 시대 위험책임의 역할과 한계-인공지능 로봇에 의해 발생한 손해의 책임귀속을 고려하여 / 서종희 2018  146
243 5 과학 기술 사회 인공지능(AI)법률서비스에 대한 변호사법 제109조 제1호 적용 여부에 관한 고찰 /이병규 2018  146
242 5 과학 기술 사회 과학기술과 과학정책, 그리고 과학정신/엄정식 2016  147
241 5 과학 기술 사회 [신기술 정보] 단순한 작업을 인간처럼 빠르게 배우는 인공지능 알고리즘/한만배 2016  149
240 5 과학 기술 사회 신무기기술의 사용과 국제인도법의 적용 문제 / 이장희 2013  150
239 5 과학 기술 사회 시스템 다이내믹스를 활용한 나노기술의 사회영향평가 / 배성훈 2015  151
238 5 과학 기술 사회 법률상 사이버재물개념과 철학적 근거 / 송문호 2017  151
237 5 과학 기술 사회 인공지능과 계약법 / 이상용 2016  151
236 5 과학 기술 사회 의약품 리베이트의 법인세법상 손금산입 여부 - 대법원 2015. 1. 15. 선고 2012두7608 판결 / 조준현 2017  151
235 5 과학 기술 사회 머신러닝 인공지능과 인간전문직의 협업의 의미와 법적 쟁점 / 설민수 2017  152
234 5 과학 기술 사회 SNS 데이터 분석을 기반으로 인공지능에 대한 인식 변화 비교 분석/윤유동 외 2016  153
233 5 과학 기술 사회 인공지능과 의료자원분배 / 장운혁, 정창록 2017  153
232 5 과학 기술 사회 현대 사회의 과학 기술과 책임의 문제 / 구인희 2003  154
231 5 과학 기술 사회 인공지능 시대에 살아남는 법 / 고인석 2016  155
230 5 과학 기술 사회 빅데이터 시대의 잊힐 권리에 관한 최근의 입법 동향과 법적 과제 / 김나루 2018  15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