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29
발행년 : 2016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미디어경제와 문화(Journal of media economics & culture)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101877682 
페이스북의 각 기능 이용이 개인 직무 성과에 미치는 영향
= The Influences of Facebook Use on Job Performance : Moderating Effect of Task Characteristics

                                 

  • 저자명

    이승엽(Seung Yeop Lee),이상우(Sang Woo Lee)                                                

  • 학술지명

    미디어경제와 문화(Journal of media economics & culture)                           

  • 권호사항

    Vol.14 No.2 [2016]                                                           

  • 발행처

    SBS문화재단                                

  • 자료유형

    학술저널

  • 수록면

    86-126(41쪽)

  • 언어

    Korean

  • 발행년도

    2016년

초록 (Abstract)

  • 본 연구에서는 직장인들이 직장 내에서 페이스북상의 각 기능을 이용하는 것이 개인의 직무 성과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보았다. 또한 과업의 특성(task characteristics)에 따라 SNS에서...
  • 본 연구에서는 직장인들이 직장 내에서 페이스북상의 각 기능을 이용하는 것이 개인의 직무 성과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보았다. 또한 과업의 특성(task characteristics)에 따라 SNS에서의 각 기능 이용이 개인의 직무 성과에 미치는 영향이 다르게 나타나는지도 분석해 보았다. 연구 결과, 페이스북의 다양한 기능 중 메시지와 페이지를 이용하는 것만이 직무 성과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왔다. 한편, 모호성이 높은 과업을 맡고 있는 직장인의 경우가 모호성이 낮은 과업을 맡고 있는 직장인의 경우보다 페이스북 내의 메시지(Messages) 이용이 직무 성과에 미치는 정(+)적인 영향이 더 큰 것으로 나왔다. 본 연구의 결과는 직원들의 SNS 이용에 대한 정책을 고민하는 기업에게 중요한 시사점을 제공해 줄 수 있다. 예를 들어 직장 내에서 페이스북상의 특정한 기능을 이용하는 것이 업무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면 기업은 그러한 기능을 포함하고 있는 SNS 서비스를 직원들에게 이용하도록 하거나, 자체적으로 그러한 SNS를 직접 개발하여 직원들에게 이용하도록 하는 정책을 생각 해 볼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만약 과업의 특성에 따라 특정 페이스북 기능이 직무 성과에 미치는 영향이 다르게 나타난다면, 기업은 여러 과업들 중 특정 페이스북 기능으로 인해 직무 성과가 증가하는 특성을 가진 과업에 대해서만 직원들에게 해당 페이스북 기능을 이용하도록 하거나 이와 유사한 SNS 서비스를 이용하도록 장려하는 정책을 고려할 수 있을 것이다.

목차 (Table of Contents)

  • 1. 서론
  • 2. 이론적 배경 및 연구문제
  • 3. 연구 방법
  • 4. 연구 결과
  • 5. 결론 및 한계점
  • 참고문헌
  • Abstract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6
149 5 과학 기술 사회 나노기술의 경제적 가치분석 : 이차전지 산업을 중심으로 / 배성훈 2015  120
148 5 과학 기술 사회 로봇기반교육의 물리적 환경이 교사의 로봇활용 능력 및 활용 정도에 미치는 영향 / 이연승 2014  120
147 5 과학 기술 사회 과학기술사회에서의 기본권 보호문제 / 성정엽 2006  120
146 5 과학 기술 사회 4차 산업혁명과 인공지능 / 주강진 외 2017  120
145 5 과학 기술 사회 소셜 빅데이터를 활용한 미래신호 예측 / 송태민 2016  119
144 5 과학 기술 사회 의료 빅데이터 분석, 의료 빅데이터 표준화, 의료 온톨로지, 의료 보안, 상호호완성, CDSS, 정밀의료, 지능형 의료 플랫폼 / 이승룡 외 2018  119
143 5 과학 기술 사회 여성스포츠선수의 인권보호에 대한 국제적 기준과 국내 이행에 따른 문제점 및 개선방안 : 성폭력과 관련하여 / 권형둔 2017  119
142 5 과학 기술 사회 인공지능을 통한 비본질주의적 사유에 대한 의철학적 전망 / 김준혁 2016  118
141 5 과학 기술 사회 인공지능과 로봇 미래방향과 4차산업혁명에 따른 신사업 / 손진호 2016  118
140 5 과학 기술 사회 의료 이미지 데이터의 비식별화 방안에 관한 연구 2016  117
139 5 과학 기술 사회 인공지능 산업활성화 생태계 조성을 위한 제언 / 이종용, 조병선 2016  116
138 5 과학 기술 사회 4차 산업혁명 핵심, 산업인터넷 / 김병운 2016  116
137 5 과학 기술 사회 한국에서의 본인확인수단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 신영진 2015  116
136 5 과학 기술 사회 바이오정보 활용 서비스 현황 및 GDPR 사례를 통한 바이오정보보호 법제 개선방안 / 정부금 외 2018  116
135 5 과학 기술 사회 과학기술 정책, 한국의 미래가 달렸다/박영준 2016  115
134 5 과학 기술 사회 지식재산권 침해에 대한 민사상 구제방법에 관한 소고 / 계승균 2017  115
133 5 과학 기술 사회 만성질환자 자가관리를 위한 국제표준 프로토콜 기반 다중 에이전트 모바일 헬스 어플리케이션 개발 2016  114
132 5 과학 기술 사회 위험소통과 정부신뢰 빅데이터 감정분석을 통한 메르스 사례 분석 / 최미정 외 2017  114
131 5 과학 기술 사회 미래 국가의 성패, 새로운 과학기술 정책에 달렸다/이명현 외 2016  113
130 5 과학 기술 사회 개인정보 침해사고 대응을 위한 사이버 포렌식 활용 방안에 관한 연구 : 공공기관 중심으로 / 박기배 2015  1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