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29
발행년 : 2015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한국상품문화디자인학회논문집(Research Bulletin of Package Culture Design)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101805318 
사물인터넷(IoT) 공통 플랫폼 구축에 따른 서비스 기반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service infrastructure associated with the construction of the Internet of Things (IoT) common platform

                                      

  • 저자명

    유홍택 ( Hong Taek Yoo )                                               

  • 학술지명

    한국상품문화디자인학회논문집(Research Bulletin of Package Culture Design)                                     

  • 권호사항

    Vol.43 No.- [2015]                                                          

  • 발행처

    한국상품문화디자인학회                                    

  • 발행처 URL

    http://www.pdik.or.kr/

  • 자료유형

    학술저널

  • 수록면

    165-178(14쪽)

  • 언어

    Korean

  • 발행년도

    2015년

초록 (Abstract)

  • 사물인터넷은 단말기 중심 센싱(RFID) 기술, 유무선 통신 및 네트워크 인프라, IoT 서비스 인터페이스 기술, 보안 기술, 빅 데이터와 서비스 기술이 상호 연동되어 명확한 타깃 고객에게 실질적...
  • 사물인터넷은 단말기 중심 센싱(RFID) 기술, 유무선 통신 및 네트워크 인프라, IoT 서비스 인터페이스 기술, 보안 기술, 빅 데이터와 서비스 기술이 상호 연동되어 명확한 타깃 고객에게 실질적 가치를 제공한다. IoT는 단말기 중심에게 기술개발이 전개되었다. 향후 인간의 역할을 최소화하면서 사물들은 온도, 습도, 열, 가스, 조도, 초음파 센서부터 원격감지, 전자파흡수율(SAR), 레이더, 위치, 모션, 영상센서 등의 정보를 공유하는 서비스를 하게 된다. 웨어러블 센싱 기술은 사람과 사물, 사물 상호간에 통신할 수 있는 통로와 인터페이스 역할을 한다. 센싱은 정보를 수집, 처리, 관리하고 정보가 서비스로 구현되기 위한 최첨단이라 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 서비스에 있어서는 단말기기, 콘텐츠, 플랫폼, 네트워크 방식이 함께 구동되어야 한다. 본 연구는 단말기 중심 IoT 제품 사례를 기반으로 표준기구 위에서 IoT의 공통 서비스 플랫폼으로 개방형생태계를 구성하는 IoT 공통 서비스 플랫폼의 필요성을 제기했다. 따라서 IoT 응용서비스, IoT 디바이스, 센서 및 부품,IoT 플랫폼, IoT 보안 솔루션 분야에서 IoT 표준 연구 분야로 5G, 사물인터넷, U-헬스, 빅 데이터 활용 Health care, 편리하고 안전한 환경을 마련하는 서비스 플랫폼 연구가 필요하다. 향후 IoT는 누구에게나 안전하고 편리한 서비스를 제공할수 있는 오픈 이노베이션 생태계를 위한 인간 중심에서 서비스 환경이 있어야 한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6
409 5 과학 기술 사회 과학기술자의 사회적 책임과 윤리/송성수 2001  854
408 5 과학 기술 사회 4차 산업혁명 시대, 지능정보기술의 사회적 영향과 법적 과제 / 이시직 2017  846
407 5 과학 기술 사회 영화 <그녀>를 통해 본 인공지능과 인간의 공존이 주는 의미 / 김미혜 2016  803
406 5 과학 기술 사회 인공지능(AI)과 사회 변화, 그리고 당신이 바라는 미래 / 박성원 2016  777
405 5 과학 기술 사회 뇌졸중 환자의 엄지손가락 재활운동을 위한 직교형 엄지손가락 재활로봇 개발/김현민 외 2012  758
404 5 과학 기술 사회 인공지능의 위험의 특성과 법적 규제방안 /양종모 2016  721
403 5 과학 기술 사회 인공 지능에서 인공 감정으로/천현득 2017  720
402 5 과학 기술 사회 로봇윤리의 이론적 기초 연구 / 변순용, 송선영, 김현수 2012  690
401 5 과학 기술 사회 최첨단 생명과학기술의 위험과 규범 / 고봉진 2009  630
400 5 과학 기술 사회 인공지능 창작물의 저작권 보호 / 손승우 2017  626
399 5 과학 기술 사회 위험사회와 과학기술윤리 -생명공학을 중심으로 / 김환석 2006  613
398 5 과학 기술 사회 인공지능의 법인격에 관한 연구 : 권리주체를 중심으로 / 송지원 2017  570
397 5 과학 기술 사회 선택에 관여하는 인공지능이 사용자 평가에 미치는 영향 / 하대권 2019  565
396 5 과학 기술 사회 의료 관련 발명의 특허법적 보호와 쟁점 / 김원준 2012  563
395 5 과학 기술 사회 공학윤리 : 윤리이론의 선택의 문제에서 덕윤리/강기호 2015  546
394 5 과학 기술 사회 SF 영화에 등장하는 인공지능 로봇의 분류체계/신선아, 정지훈 2016  532
393 5 과학 기술 사회 인공지능을 악용한 테러가능성과 대응전략/이만종 2017  532
392 5 과학 기술 사회 공학윤리: 문제해결 중심의 접근과 도덕적 추론/이재숭 2013  528
391 5 과학 기술 사회 중앙사고수습본부와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간 지휘·협력체계 개선 방안 연구 : 세월호, 메르스, AI 대응사례를 중심으로 / 황요한 2018  527
390 5 과학 기술 사회 동아시아 생명과학의 발전과 바이오시민권의 형성가능성 / 김기흥 2012  5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