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29
발행년 : 2015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汎韓哲學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101086692 
왓슨과 인간 돌봄이론
= Watson and Human Caring Theory

                                 

  • 저자명

    남미순(Misoon Nam)                                                           

  • 학술지명

    汎韓哲學             

  • 권호사항

    Vol.78 No.- [2015]                                                        

  • 발행처

    범한철학회                                 

  • 자료유형

    학술저널

  • 수록면

    405-429(25쪽)

  • 언어

    Korean

  • 발행년도

    2015년

초록 (Abstract)

  • ‘돌봄’은 오랜 간호 역사의 전통을 통해 지금까지 이어져 온 윤리적 개념들인 옹호와 책임 및 협동을 포괄하며, 간호윤리학자들에 의해 가장 핵심적인 윤리적 개념으로 사용되고 있다. 특...
  • ‘돌봄’은 오랜 간호 역사의 전통을 통해 지금까지 이어져 온 윤리적 개념들인 옹호와 책임 및 협동을 포괄하며, 간호윤리학자들에 의해 가장 핵심적인 윤리적 개념으로 사용되고 있다. 특히 간호학자 왓슨은 돌봄을 간호의 도덕적 이상으로서 중심 개념으로 설정하고, 의료윤리와는 구별되는 간호윤리의 고유한 개념으로 사용하고 있다. 그녀는 ‘인간 돌봄이론’을 제안함으로써 간호학의 이론적 토대를 마련한다. 왓슨의 돌봄이론은 간호학에 철학적인 기반을 제공했고, 나아가 돌봄을 통해 다양한 간호현상을 이해하는 데 적극적 기여를 한 것으로 평가 받고 있다.
    본 논문의 주된 목적은 왓슨의 인간 돌봄이론에서의 ‘초개인적 돌봄’의 가치체계와 왓슨이 자신의 이론의 철학적 토대로 삼고 있는 레비나스의 얼굴의 윤리를 검토함으로써 그녀의 돌봄이론이 이원론적 사유와 형이상학적 초월이라는 난점을 안고 있음을 드러내는 데 있다. 동시에 필자는 왓슨이 돌봄이론의 가치체계인 ‘카리타스 요소’와 ‘카리타스 과정’을 추적함으로써 간호에서 도덕적 이상으로서 돌봄이 드러내는 한계점을 지적할 것이다. 간호에서 돌봄을 도덕적 이상이라는 관점에서 ‘윤리’라는 이름으로 부르려고 한다면, 어떻게 그것이 ‘보편적인 규범적 강제성’을 가질 수 있는지 되물어볼 필요가 있기 때문이다.

목차 (Table of Contents)

  • 요약문
  • 1. 머리말
  • 2. 레비나스와 돌봄
  • 3. 왓슨과 초개인적 돌봄
  • 4. 돌봄과 카리타스 과정
  • 5. 맺는 말
  • 참고문헌
  • Abstract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5
429 5 과학 기술 사회 의료 데이터 허브 구축을 위한 법제도 개선 방향 / 이규철 2018  34
428 5 과학 기술 사회 [제402회 과학기술정책포럼] 미래사회 변화를 선도할 핵심기술 / 이세민 2016  36
427 5 과학 기술 사회 인공지능에 대한 주요국의 대응전략 및 한국의 정치발전을 위한 제언 / 박종선 2017  36
426 5 과학 기술 사회 Direct-To-Consumer 광고 판매언설에 관한 연구 / 김춘애 2006  36
425 5 과학 기술 사회 소비자 맞춤형 삼차원 프린팅 서비스 플랫폼 개발을 위한 탐색 / 이국희 2017  37
424 5 과학 기술 사회 의료 데이터 허브 구축을 위한 법제도 개선 방향 - 지정 토론문 / 박미정 2018  41
423 5 과학 기술 사회 4차 산업혁명시대 개인정보권의 법리적 재검토 / 정하명 2017  43
422 5 과학 기술 사회 인공지능 의료기기 위험관리를 위한 규범론적 접근 - 인공지능 소프트웨어 규범화 논의를 중심으로 / 김재선 2017  44
421 5 과학 기술 사회 박근혜-최순실 게이트로 드러난 줄기세포 문제, 그 뿌리를 찾아서 / 최규진 2017  45
420 5 과학 기술 사회 부산광역시 e-응급서비스시스템 인프라 구축 / 김형회 외 2008  45
419 5 과학 기술 사회 유전자 선별 시대에 분배정의의 실현을 위한 선교적 과제 - 기독교평등공동체 구현을 위한 선교를 중심으로 / 김광연 2017  47
418 5 과학 기술 사회 개인정보 침해 관련 정보 제공 서비스 사용 의도 분석 / 김택영 외 2018  48
417 5 과학 기술 사회 「개인정보 비식별 조치 가이드라인」 개선 방안 / 김세민 2017  49
416 5 과학 기술 사회 나노·소재기술개발사업의 연구자 인식조사 / 김태연 2016  50
415 5 과학 기술 사회 특집마당 : 3D 프린팅 기술의 바이오메디컬 응용 / 김완두 외 2014  51
414 5 과학 기술 사회 『뉴로맨서』에 나타난 인공지능 윤리의식에 대한 연구 / 추재욱 2018  52
413 5 과학 기술 사회 페이스북의 각 기능 이용이 개인 직무 성과에 미치는 영향 / 이승엽 2016  53
412 5 과학 기술 사회 ’17년 산업부 로봇 R&D 정책 방향 / 김경훈 2017  53
411 5 과학 기술 사회 빅데이터 환경에서 개인정보 제공 의도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 윤승욱 2018  53
410 5 과학 기술 사회 창조경제의 신산업 발전전략 모색을 통한 3D 프린팅 산업의 발전방안에 관한 연구 / 박현욱 2016  5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