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29
발행년 : 2016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마르크스주의 연구(Marxism 21)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102000767 
인공지능에 관한 비판적 스케치
= A Critical Sketch on Artificial Intelligence

                                  

  • 저자명

    이재현(Jaehyun Lee)                                                

  • 학술지명

    마르크스주의 연구(Marxism 21)               

  • 권호사항

    Vol.13 No.3 [2016]                                                           

  • 발행처

    경상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 자료유형

    학술저널

  • 수록면

    12-43(32쪽)

  • 언어

    Korean

  • 발행년도

    2016년                                                                                                                                    

  • 초록 (Abstract)
    • 이 글은 인공지능의 몇 가지 문제들을 비판적으로 스케치한다. 비판의 영역은 크게 세 가지인데, 그것들은 각기 기계 학습과 통계적 학습이론, 인공지능의 윤리적 문제들, 그리고 인공지능...
  • 이 글은 인공지능의 몇 가지 문제들을 비판적으로 스케치한다. 비판의 영역은 크게 세 가지인데, 그것들은 각기 기계 학습과 통계적 학습이론, 인공지능의 윤리적 문제들, 그리고 인공지능을 둘러싼 정치경제학적 문제들이다. 이 글은 현재 성취된 인공지능 기술을 존중하고 감안한다는 취지에서 ‘약한 인공지능’과 ‘사회적으로 신체화된 인지’를 전제하며, 또 부르주아적 방법론적 개인주의에 대해서 비판적 입장을 취한다.
    기계 학습 및 통계적 학습 이론은 그 이론적 전제인 베이지언 확률이 주관주의적이라는 점에서 철학적으로 취약한 토대 위에 서 있다. 또 비즈니스 인텔리전스에 의해서 추동되는 데이터 마이닝은 인구의 상당수를 배제하거나 차별하고 있는 데이터에 의존하고 있다는 점에서 큰 문제를 안고 있다.
    인공지능의 윤리에 있어서는 만약 인공지능 에이전트가 인간과 같거나 그 이상의 지적 능력을 갖춘다면 인간과 같은 윤리적 지위를 지녀야 한다. 그런데, 정작 경계해야 할 것은 군사적으로 이용되는 지능적 에이전트가 아니라 자본가 역할을 할 수도 있는 지능적 에이전트다. 현재의 지배-종속 구조가 타파되지 않은 채 인공지능 기술이 지배하는 사회가 도래하는 것이야말로 윤리적으로 큰 문제다.
    정치경제학적 문제 영역에 있어서 인공지능 기술의 도래에도 불구하고 인간에게 고유한 것으로 남아 있을 가능성이 큰 분야들은 주로 구조화된 데이터나 알고리즘으로 처리되기 힘든 지식과 관련된 노동, 육체적 숙련을 요하는 노동, 감정적 접촉이 중요한 노동이다. 인공지능 기술 등이 마르크스주의에 대해 제기하는 도전적 과제들은 크게 한편으로 가치론, 그리고 다른 한편으로 자본주의의 구조적 위기론으로 나뉠 수 있다.

  • 목차 (Table of Contents)

     1. 머리말

    2. 기계 학습과 통계적 학습 이론

    3. 인공지능의 윤리

    4. 정치경제학적 궁금증

    5. 맺음말

    참고문헌

  •  영문초록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6
309 5 과학 기술 사회 인공지능 : WiseQA를 위한 정답유형 / 허정 2015  107
308 5 과학 기술 사회 IT기술의 발전과 개인정보보호 / 조대진 2017  108
307 5 과학 기술 사회 개인의료정보 재식별에 관한 국제 표준화 동향 - ISO DIS 25237을 중심으로 / 김철중 외 2017  108
306 5 과학 기술 사회 빅데이터의 보호 및 이용을 위한 법제 연구/최종모 2018  108
305 5 과학 기술 사회 통계적 방법을 이용한 바이오 메디컬 데이터의 특징선택과 분류 / 손호선 외 2017  109
304 5 과학 기술 사회 제품안전관리를 위한 나노물질 규제정책 도입평가 연구 / 서정대 2014  110
303 5 과학 기술 사회 인공지능에 의한 차별과 그 책임 논의를 위한 예비적 고찰 / 허유선 2018  112
302 5 과학 기술 사회 미래 국가의 성패, 새로운 과학기술 정책에 달렸다/이명현 외 2016  113
301 5 과학 기술 사회 개인정보 침해사고 대응을 위한 사이버 포렌식 활용 방안에 관한 연구 : 공공기관 중심으로 / 박기배 2015  113
300 5 과학 기술 사회 인간 진화과정의 의미를 통해 살펴본 미래의 기술발전에 대한 고찰 / 이동현 외 2018  113
299 5 과학 기술 사회 우리나라 국가 수혈가이드라인 인지도 및 활용도에 관한 조사 연구 / 김형석 외 2016  113
298 5 과학 기술 사회 만성질환자 자가관리를 위한 국제표준 프로토콜 기반 다중 에이전트 모바일 헬스 어플리케이션 개발 2016  114
297 5 과학 기술 사회 위험소통과 정부신뢰 빅데이터 감정분석을 통한 메르스 사례 분석 / 최미정 외 2017  114
296 5 과학 기술 사회 과학기술 정책, 한국의 미래가 달렸다/박영준 2016  115
295 5 과학 기술 사회 지식재산권 침해에 대한 민사상 구제방법에 관한 소고 / 계승균 2017  115
294 5 과학 기술 사회 한국에서의 본인확인수단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 신영진 2015  115
293 5 과학 기술 사회 인공지능 산업활성화 생태계 조성을 위한 제언 / 이종용, 조병선 2016  116
292 5 과학 기술 사회 4차 산업혁명 핵심, 산업인터넷 / 김병운 2016  116
291 5 과학 기술 사회 바이오정보 활용 서비스 현황 및 GDPR 사례를 통한 바이오정보보호 법제 개선방안 / 정부금 외 2018  116
290 5 과학 기술 사회 의료 이미지 데이터의 비식별화 방안에 관한 연구 2016  1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