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29
발행년 : 2016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디지털융복합연구(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102041085 
빅데이터와 인공지능을 활용한 직업설계 지원 플랫폼 모형에 관한 융합 연구

                          

  • 저자명

    노규성, 이주연                                              

  • 학술지명

    디지털융복합연구(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 권호사항

    Vol.14 No.7 [2016]                                                           

  • 발행처

    한국디지털정책학회                                    

  • 발행처 URL

    http://www.policy.or.kr

  • 자료유형

    학술저널

  • 수록면

    167-174(8쪽)

  • 언어

    Korean

  • 발행년도

    2016년                                                 

  • 초록 (Abstract)
    • 학교는 좋은 직장에 들어가기 위한 취업 준비의 장으로 전락하고, 학생들은 남들보다 많은 스팩(자격, 인증, 어학실력 등)을 쌓고 취업재수를 하는 기현상이 일상화되기에 이르렀다. 그러다 ...
  • 학교는 좋은 직장에 들어가기 위한 취업 준비의 장으로 전락하고, 학생들은 남들보다 많은 스팩(자격, 인증, 어학실력 등)을 쌓고 취업재수를 하는 기현상이 일상화되기에 이르렀다. 그러다 직업을 갖게 되면, 다행히 평생동안 한 직장을 다닌 경우도 있다. 그러나 많은 경우 적성과 맞지 않는 직장을 참고 다닌 사람도 있고, 참지 못하고 여러 직장을 떠도는 사람도 있다. 이와같이 직업에 불만족하는 원인 중의 하나는 직업과 적성이 맞지 않은 것이다. 물론 그간 많은 조직에서 적성검사를 실시하면서 진로설계 지도를 해왔다. 그러나 적절한 직업을 찾아주는 데에는 한계가 있었다. 이에 본 연구는 보다 합리적이고 과학적인 대안으로서 플랫폼 모형을 제시했다. 본 모형은 빅데이터와 인공 지능을 활용하여 개인의 특성을 보다 잘 파악한 다음 다양한 직업 중 그 특성에 부합하는 직업을 선별적으로 제안 하고 멘토의 컨설팅 및 현장 경험을 기반으로 적절한 직업대안을 선택하고 설계해나가도록 하는 9개 모듈(하위시스 템)로 구성되어 있다.
  •                                                                              
  • 목차 (Table of Contents)

    요약

    Abstract

    1. 서론

    2. 이론적 배경

    2.1 직업과 직업선택

    2.2 플랫폼과 빅데이터·인공지능의 활용

    2.3 개선과제와 시사점

    3. 빅데이터와 인공지능 기반 직업설계지원 플랫폼 모형

    3.1 직업설계 지원 플랫폼 모형 개요

    3.2 직업설계 지원 플랫폼의 구성요소

    3.3 플랫폼을 활용한 직업설계 프로세스

    4. 결론

  • REFERENCES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6
309 5 과학 기술 사회 인공지능 : WiseQA를 위한 정답유형 / 허정 2015  107
308 5 과학 기술 사회 IT기술의 발전과 개인정보보호 / 조대진 2017  108
307 5 과학 기술 사회 개인의료정보 재식별에 관한 국제 표준화 동향 - ISO DIS 25237을 중심으로 / 김철중 외 2017  108
306 5 과학 기술 사회 빅데이터의 보호 및 이용을 위한 법제 연구/최종모 2018  108
305 5 과학 기술 사회 통계적 방법을 이용한 바이오 메디컬 데이터의 특징선택과 분류 / 손호선 외 2017  109
304 5 과학 기술 사회 제품안전관리를 위한 나노물질 규제정책 도입평가 연구 / 서정대 2014  110
303 5 과학 기술 사회 인공지능에 의한 차별과 그 책임 논의를 위한 예비적 고찰 / 허유선 2018  112
302 5 과학 기술 사회 미래 국가의 성패, 새로운 과학기술 정책에 달렸다/이명현 외 2016  113
301 5 과학 기술 사회 개인정보 침해사고 대응을 위한 사이버 포렌식 활용 방안에 관한 연구 : 공공기관 중심으로 / 박기배 2015  113
300 5 과학 기술 사회 인간 진화과정의 의미를 통해 살펴본 미래의 기술발전에 대한 고찰 / 이동현 외 2018  113
299 5 과학 기술 사회 우리나라 국가 수혈가이드라인 인지도 및 활용도에 관한 조사 연구 / 김형석 외 2016  113
298 5 과학 기술 사회 만성질환자 자가관리를 위한 국제표준 프로토콜 기반 다중 에이전트 모바일 헬스 어플리케이션 개발 2016  114
297 5 과학 기술 사회 위험소통과 정부신뢰 빅데이터 감정분석을 통한 메르스 사례 분석 / 최미정 외 2017  114
296 5 과학 기술 사회 과학기술 정책, 한국의 미래가 달렸다/박영준 2016  115
295 5 과학 기술 사회 지식재산권 침해에 대한 민사상 구제방법에 관한 소고 / 계승균 2017  115
294 5 과학 기술 사회 한국에서의 본인확인수단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 신영진 2015  115
293 5 과학 기술 사회 인공지능 산업활성화 생태계 조성을 위한 제언 / 이종용, 조병선 2016  116
292 5 과학 기술 사회 4차 산업혁명 핵심, 산업인터넷 / 김병운 2016  116
291 5 과학 기술 사회 바이오정보 활용 서비스 현황 및 GDPR 사례를 통한 바이오정보보호 법제 개선방안 / 정부금 외 2018  116
290 5 과학 기술 사회 의료 이미지 데이터의 비식별화 방안에 관한 연구 2016  1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