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29
발행년 : 2016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디지털융복합연구(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102041085 
빅데이터와 인공지능을 활용한 직업설계 지원 플랫폼 모형에 관한 융합 연구

                          

  • 저자명

    노규성, 이주연                                              

  • 학술지명

    디지털융복합연구(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 권호사항

    Vol.14 No.7 [2016]                                                           

  • 발행처

    한국디지털정책학회                                    

  • 발행처 URL

    http://www.policy.or.kr

  • 자료유형

    학술저널

  • 수록면

    167-174(8쪽)

  • 언어

    Korean

  • 발행년도

    2016년                                                 

  • 초록 (Abstract)
    • 학교는 좋은 직장에 들어가기 위한 취업 준비의 장으로 전락하고, 학생들은 남들보다 많은 스팩(자격, 인증, 어학실력 등)을 쌓고 취업재수를 하는 기현상이 일상화되기에 이르렀다. 그러다 ...
  • 학교는 좋은 직장에 들어가기 위한 취업 준비의 장으로 전락하고, 학생들은 남들보다 많은 스팩(자격, 인증, 어학실력 등)을 쌓고 취업재수를 하는 기현상이 일상화되기에 이르렀다. 그러다 직업을 갖게 되면, 다행히 평생동안 한 직장을 다닌 경우도 있다. 그러나 많은 경우 적성과 맞지 않는 직장을 참고 다닌 사람도 있고, 참지 못하고 여러 직장을 떠도는 사람도 있다. 이와같이 직업에 불만족하는 원인 중의 하나는 직업과 적성이 맞지 않은 것이다. 물론 그간 많은 조직에서 적성검사를 실시하면서 진로설계 지도를 해왔다. 그러나 적절한 직업을 찾아주는 데에는 한계가 있었다. 이에 본 연구는 보다 합리적이고 과학적인 대안으로서 플랫폼 모형을 제시했다. 본 모형은 빅데이터와 인공 지능을 활용하여 개인의 특성을 보다 잘 파악한 다음 다양한 직업 중 그 특성에 부합하는 직업을 선별적으로 제안 하고 멘토의 컨설팅 및 현장 경험을 기반으로 적절한 직업대안을 선택하고 설계해나가도록 하는 9개 모듈(하위시스 템)로 구성되어 있다.
  •                                                                              
  • 목차 (Table of Contents)

    요약

    Abstract

    1. 서론

    2. 이론적 배경

    2.1 직업과 직업선택

    2.2 플랫폼과 빅데이터·인공지능의 활용

    2.3 개선과제와 시사점

    3. 빅데이터와 인공지능 기반 직업설계지원 플랫폼 모형

    3.1 직업설계 지원 플랫폼 모형 개요

    3.2 직업설계 지원 플랫폼의 구성요소

    3.3 플랫폼을 활용한 직업설계 프로세스

    4. 결론

  • REFERENCES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6
309 5 과학 기술 사회 인공지능 시대의 인식론과 과학철학: 『뇌처럼 현명하게: 신경철학연구』 / 김효은 2016  291
308 5 과학 기술 사회 인공지능(AI) 창작물의 저작권자는 누구인가? / 이상미 2016  263
307 5 과학 기술 사회 인공지능시대에서의 의사 역할(윤리적 측면) / 고인석 2016  163
306 5 과학 기술 사회 국내외 인공 지능 연구 개발 전략 현황 / 한상기 2016  97
305 5 과학 기술 사회 트랜스휴먼 및 포스트휴먼 그리고 안드로이드(로봇)에 대한 형법상 범죄주체의 인정여부 / 송승현 2016  471
304 5 과학 기술 사회 인공지능시대에서의 의사 역할(법적 측면) / 김재춘 2016  88
303 5 과학 기술 사회 AI(인공지능)에 대한 신학적 담론의 형성 및 방향 모색 / 김동환 2016  224
302 5 과학 기술 사회 4차산업혁명, 인공지능 시대의 교육 / 김진형 2016  2040
301 5 과학 기술 사회 인공지능(AI)과 사회 변화, 그리고 당신이 바라는 미래 / 박성원 2016  777
300 5 과학 기술 사회 인공지능 이후의 삶: 노동하지 않아도 행복한가? / 현남숙 2016  252
299 5 과학 기술 사회 영화 <그녀>를 통해 본 인공지능과 인간의 공존이 주는 의미 / 김미혜 2016  805
298 5 과학 기술 사회 인공지능 저작권 문제와 각국의 대응 / 이승선 2016  270
297 5 과학 기술 사회 인공지능 동향분석과 국가차원 정책제언 / 김병운 2016  273
296 5 과학 기술 사회 로봇과 인공지능의 현황 및 전망 / 한재권 2016  518
295 5 과학 기술 사회 영화 속 인공지능의 현상학적 인간성 -영화 "트랜센던스"와 "그녀"를 중심으로 / 박상현 2016  317
294 5 과학 기술 사회 의료영역에서의 인공지능 역할 / 정지훈 2016  124
293 5 과학 기술 사회 AI(인공지능)과 IOT(사물인터넷)을 통한 Smart health Care Service 산업 활성화 방안 / 설민신 2016  1856
292 5 과학 기술 사회 인공지능 오픈소스 현황과 시사점 / 이은옥 2016  173
291 5 과학 기술 사회 인공지능 및 딥러닝 국방감시체계 적용방안 검토 / 안정철, 권혁진 2016  170
» 5 과학 기술 사회 빅데이터와 인공지능을 활용한 직업설계 지원 플랫폼 모형에 관한 융합 연구 / 노규성, 이주연 2016  19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