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29
발행년 : 2000 
구분 : 학위논문 
학술지명 :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T8422612 
컴퓨터가 할 수 있는 것'에 관한 지식사회학적 고찰 : H. Dreyfus와 H. Collins의 인공지능 논쟁을 중심으로 = What computers can do: a view from sociology of knowledge : in the middle of the debate on artificial intelligence between H. Dreyfus and H. Collins

                

  • 저자

    권기석                                       

  • 형태사항

    69p. ; 26cm

  • 일반주기

    참고문헌: p. 67-69

  •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석사)-- 서강대학교 대학원 : 사회학과 2001. 2

  • KDC

    331.09 4

  • 발행국

    서울

  • 언어

    한국어

  • 출판년

    2000

  • 주제어

    컴퓨터, 지식사회, 인공지능, H. Dreyfus, H. Collins


초록 (Abstract)

  • 인간처럼 생각하는 기계, 즉 인공지능을 만들려는 노력은 20세기의 중반부터 현재까지 계속되어왔으나 아직 완전한 성공을 거두지는 못하고 있다. 지식사회학적 관점의 일각에서, 현재의 컴...
  • 인간처럼 생각하는 기계, 즉 인공지능을 만들려는 노력은 20세기의 중반부터 현재까지 계속되어왔으나 아직 완전한 성공을 거두지는 못하고 있다. 지식사회학적 관점의 일각에서, 현재의 컴퓨터 모델이 인간처럼 사고하지 못하는 이유는 그것이 사회적 존재로서의 인간이 갖는 삶의 형식(form of life)을 갖지 못하기 때문이다. 하지만, 오직 삶의 형식을 공유하는 것에 의해 컴퓨터의 성공적 지능 모방이 이루어지는 것은 아니다. 인간의 지식과 행위가 실제로 컴퓨터에 의해 다루어지려면, 그것들은 형식화될 수 있어야 하고 체화될 수 있어야 한다. 즉, 실재(reality)로서의 지식과 행위의 역할이 컴퓨터의 지식 모방에 있어 삶의 형식의 역할 못지 않게 중요하다. 삶의 형식의 차원과 실재의 차원 모두 컴퓨터의 지식 모의에 있어 핵심적인 역할을 차지하며, 이 둘을 분리시켜 사고하는 것은 지식의 본질에 대한 올바른 접근을 가로막는 방법론적 오류를 범하도록 만든다. '컴퓨터가 할 수 있는 것'에 대한 허버트 드레퓌스(Hubert Dreyfus)와 해리 콜린스(Harry Collins)의 주장은 비록 그것들이 인공지능에 대한 적절한 견해들을 상당 부분 제공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각각 실재의 차원과 삶의 형식의 차원을 분리시켜 사고하는 오류를 범하고 있다. 이 글은 이러한 둘의 주장을 모두 비판하고 종합하여 인공지능 연구를 성공으로 이끌 수 있는 지식과 행위에 대한 전제를 제공한다.

목차 (Table of Contents)

  • 목차 = ⅰ
  • ABSTRACT = ⅲ
  • 국문초록 = ⅳ
  • 1. 서론 = 1
  • 2. 인공지능이란 무엇인가 = 4
  • 2.1 인공지능의 정의 = 4
  • 2.2 인공지능 연구의 역사 = 5
  • 3. ‘컴퓨터가 할 수 없는 것’-하버드 드레퓌스의 현상학적 인공지능 비판 = 8
  • 3.1 인공지능에 대한 철학적 접근들 = 8
  • 3.2 드레퓌스의 현상학적 인공지능 비판 = 9
  • 4. ‘컴퓨터가 할 수 있는 것’에 대한 드레퓌스와 콜린스의 논쟁 = 15
  • 4.1 컴퓨터는 ‘무엇을’ 할 수 있는가 = 16
  • 4.1.1 ‘컴퓨터가 할 수 있는 것’에 대한 드레퓌스의 견해 = 16
  • 4.1.2 하나의 인지 세계 대(對) 두 개의 인지 세계 = 18
  • 4.1.3 개념적 세계에서의 협상-오일러 정리의 사례 = 20
  • 4.1.4 콜린스의 ‘열린’ 지식 분류 = 24
  • 4.1.5 콜린스의 경험 연구-TEQ 레이저 실험에서 지식의 변형 = 26
  • 4.1.6 컴퓨터가 할 수 있는 것에 대한 콜린스의 견해 = 28
  • 4.2 컴퓨터는 ‘어떻게’ 할 수 있는가-인간과 컴퓨터의 상호작용 문제 = 30
  • 4.2.1 상호작용 문제에 대한 드레퓌스와 콜린스의 대립 = 30
  • 4.2.2 계산 영역에서의 상호작용 = 32
  • 4.2.3 우선성(priority) 논쟁-삶의 형식 대(對) 영역의 형식화 = 36
  • 4.3 컴퓨터가 ‘할 수 있는 조건’은 무엇인가-체화와 삶의 형식의 문제 = 40
  • 4.3.1 레넛(D.Lenat)의 문제와 드레퓌스의 대답 = 40
  • 4.3.2 드레퓌스의 체화(embodiment)와 콜린스의 삶의 형식(form of life) = 42
  • 4.3.3 체화와 삶의 형식의 분리불가능성 = 45
  • 5. 전문가 시스템(Expert System)에의 적용 = 48
  • 5.1 전문가 시스템 = 48
  • 5.2 드레퓌스의 전문가 시스템 비판 = 50
  • 5.3 전문가 시스템에 대한 콜린스의 견해 = 52
  • 5.4 전문가 시스템에 대한 드레퓌스와 콜린스의 대립 = 54
  • 5.5 전문가 시스템이 할 수 있는 것 = 62
  • 6. 결론 = 64
  • 참고문헌 = 67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8
369 5 과학 기술 사회 미래기술의 이슈에 대한 국제적 비교 / 박순창 2013  81
368 5 과학 기술 사회 바이오템플릿 비트분할 분산 저장기법을 통한 생체인증 시스템 설계 / 홍윤기 2017  81
367 5 과학 기술 사회 모바일 환경에서의 병원정보시스템 설계 및 구현 2011  81
366 5 과학 기술 사회 원격의료환경에서 개인생체정보 보호 및 무결성에 관한 연구 / 김순석, 이재현 2017  81
365 5 과학 기술 사회 개인정보 비식별 조치 가이드라인의 법률적 의미와 쟁점 / 전승재 외 2017  82
364 5 과학 기술 사회 4차 산업혁명 시대, 혁신 다양성으로 접근하기 / 조길수 2017  83
363 5 과학 기술 사회 Nanotechnology, Governance, and Public Deliberation: What Role for the Social Sciences? 2005  84
362 5 과학 기술 사회 과학기술에 대한 공중의 위험특성과 신뢰가 위험인식 및 위험수용에 미치는 영향 - 나노기술을 중심으로 / 김원제 2016  84
361 5 과학 기술 사회 “4차 산업혁명 시대, 인간 뇌의 특별함을 키우다” / 안민경 2016  84
360 5 과학 기술 사회 자율주행 대중교통 공공성 확보를 위한 쟁점과 개선방향 / 김규옥 2019  84
359 5 과학 기술 사회 문화로봇공학(Cultural Robotics) 관점의 백남준 로봇 연구 / 장효진 2017  85
358 5 과학 기술 사회 인공지능시대에서의 의사 역할(법적 측면) / 김재춘 2016  88
357 5 과학 기술 사회 『나를 보내지 마』를 활용한 과학소설의 학제간 교육 사례연구 / 손나경 2018  88
356 5 과학 기술 사회 형식적인 개인정보 사전동의 규제와 이용자의 책임 간의 관계 고찰 / 문정국 외 2015  93
355 5 과학 기술 사회 자율주행차의 발전단계로 본 운전자와 인공지능의 주의의무의 변화와 규범적 판단능력의 사전 프로그래밍 필요성 2016  93
354 5 과학 기술 사회 의료기술평가제도의 국제 비교연구 / 김수경 외 2015  93
353 5 과학 기술 사회 사물인터넷 기반 헬스케어 제품 및 서비스의 분석 및 제안 (1) / 이장미 2015  94
352 5 과학 기술 사회 헌법상 지식재산권 보장과 변리사의 기능강화 방안 / 정극원 2017  94
351 5 과학 기술 사회 모바일 환경에서 생체인식 정보를 이용한 다중서버 사용자 인증 방법에 대한 연구 / 성시원 2016  94
350 5 과학 기술 사회 과학기술의 발전과정에 대한 행정법적 대응 /박용숙 번역 2018  9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