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29
발행년 : 2014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철학논총 
관련링크 : http://www.dbpia.co.kr/Article/NODE02407093 

[DBpia:연구원내 무료 열람 가능]



철학논총 제76집, 2014.4, 573-593 (21 pages)

후쿠시마원전사고와 전문가 윤리

- 공학윤리적 관점에서

Fukushima Nuclear Disaster and Professional Ethics - From the Perspective of Engineering Ethics -
이재숭



  • 발행기관 : 새한철학회
  • 자료유형 : 전자저널 논문
  • 등재정보 : KCI등재
  • 작성언어 : 한국어
  • 파일형식 : TextPDF
  • KORMARC
  • URL : http://www.dbpia.co.kr/Article/NODE02407093



  • 한국어 초록

    본 논문의 목적은 후쿠시마원전사고와 관련해 공학윤리적 관점에서 이 사고를 성찰한 후, 엔지니어들의 공공에 대한 전문가로서의 사회적, 윤리적 책임의식의 결여가 이 사고의 주요한 한 원인이었음을 주장하고자 하는 것이다. 후쿠시마 제1원전은 건설 당시 현실적인 지진 및 쓰나미 설계 기준이 자연재해가 많은 일본의 지리적 특성을 반영하지 못한 공학적으로 부적절한 설계였음이 사고 후 조사에서 드러났다. 또한 안전과 관련한 중요한 의사결정들이 최상의 지식에 근거하지 않았다. 뿐만 아니라 일본 정부와 도쿄전력은 세계 각국의 원전에서 얻어진 사고 및 운전 경험과 중요한 연구 성과들을 반영하지 않은 채 자신들이 원전의 최고 기술을 가지고 있다는 막연한 믿음과 자만에 근거해서 원전을 운영해왔다. 그리고 원전 관리와 운영을 맡고 있는‘원전패거리’라 불리는 일부 원전 관련자들의 부정적인 인적네트워크에 의한 비리들은 이 사고가 단순한 공학적 결함만이 아니라 인간에 의한 비윤리적 행위로 인해 발생한 전형적인 인재라는 점을 보여줄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논문에서는 ABEEK의 KEC2005와 JABEE가 요구하는 공학인증을 위한 학습성과들, 그리고 전문가 윤리헌장들을 후쿠시마원전사고에 적용해 이 사고의 인적 요인을 드러내고, 전문가로서 엔지니어들의 사회적, 윤리적 책임의식의 중요성을 드러낼 것이다. 특히 본 논문에서는 후쿠시마원전사고에 공학윤리 문제해결 기법인 세븐스텝가이드를 적용해서 이 사고에 대한 분석과 비판, 그리고 대안적인 윤리적 행동이 제시된다.

                                             

    목차

    [한글 요약]
    1. 서론
    2. 후쿠시마원전사고의 원인과 특징
    3. KEC 2005와 JABEE 인증기준
    4. 윤리헌장과 전문가의 사회적 책임
    5. 세븐스텝가이드를 적용한 윤리문제의 분석과 해결
    6. 결론; 우리의 원전 상황과 관련한 후쿠시마의 교훈
    참고문헌
    [Abatract]

                                             

    키워드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6
    349 5 과학 기술 사회 4차 산업혁명, 일자리, 과학기술 / 정명애 2016  95
    348 5 과학 기술 사회 왓슨의 진단 조력에 대한 현행법상 형사책임에 관한 소고 / 장연화 2017  95
    347 5 과학 기술 사회 인공지능 기반 교통데이터 처리ㆍ제공을 위한 플랫폼 개발 필요성 / 양충헌 2018  95
    346 5 과학 기술 사회 인공지능 로봇의 특허침해에 따른 책임 / 김용주 2018  95
    345 5 과학 기술 사회 AI시대의 지식재산권 보호전략과 대책 / 김승래 2017  95
    344 5 과학 기술 사회 4차 산업혁명 시대 인공지능 기술과 미래 어린이철학교육의 전망 / 김민수 2019  96
    343 5 과학 기술 사회 국내외 인공 지능 연구 개발 전략 현황 / 한상기 2016  97
    342 5 과학 기술 사회 건전한 인공지능 생태계 형성을 위한 규범적 전략과 법의 역할/윤상필 외 2017  97
    341 5 과학 기술 사회 인증시스템을 위한 얼굴인식 기술 : 서베이 / 황윤철 2015  97
    340 5 과학 기술 사회 젠더 불평등과 불안정 노동 / 윤자영 2018  97
    339 5 과학 기술 사회 자율주행자동차 운행 중의 사고발생과 손해배상책임 / 최현태 2018  97
    338 5 과학 기술 사회 제4차 산업혁명, 지식재산 정책의 변화 / 손수정 2016  98
    337 5 과학 기술 사회 소셜미디어를 통한 사회자본 형성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 이병혜 2016  98
    336 5 과학 기술 사회 4차 산업혁명 시대의 인공지능과 법률전문가의 대응 / 이석현 2017  98
    335 5 과학 기술 사회 재난상황 초기 대응실패에 대한 정책행위자의 비난회피 행태 분석: 메르스 사태를 중심으로 / 박치성 2017  98
    334 5 과학 기술 사회 빅데이터의 개인정보 이용으로 인한 법익침해의 私法적 해석 / 고수윤 2017  98
    333 5 과학 기술 사회 미래를 여는 과학문화와 과학교육/김승환 2016  99
    332 5 과학 기술 사회 세계 빅데이터 연구의 의미연결망분석 기반 IT정책 연구 / 권신혁 2016  99
    331 5 과학 기술 사회 4차 산업혁명 시대의 기술 책임론에 대한 고찰 / 정창록 박정식 외 2017  99
    330 5 과학 기술 사회 지능정보화 시대에 대비한 네트워크 발전전략 연구 / 서병조 ,나성욱 2017  9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