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29
발행년 : 2011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철학논집 Vol.24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100048931 

인간-로봇 소통의 인식론적 기초와 윤리 = Epistemological Basis and Ethics of Human-Robot Communication



초록 ( Abstract )

  • 우리는 타인의 현존이 필연적임을 밝혀내기 위해 ‘소통적 영역으로의 환 원’(Reduktion zur kommunikative Sphäre)을 수행함으로써 우리 삶의 실천적인 진 실을 구해내야 한다. 소통 영역으로의 환...
  • 우리는 타인의 현존이 필연적임을 밝혀내기 위해 ‘소통적 영역으로의 환 원’(Reduktion zur kommunikative Sphäre)을 수행함으로써 우리 삶의 실천적인 진 실을 구해내야 한다. 소통 영역으로의 환원을 위한 네 단계의 과정을 찾을 수 있 다. 첫째로, 내가 하나의 사물임을 정확하게 인정해서 받아들이는 과정이다. 둘째로, 나를 그러한 사물로 구축해 내는 이른바 타인의 시선을 나의 존재 조건으로 정확 하게 인정해서 받아들이는 과정이다. 셋째로, 타인의 시선이 발휘되는 곳이 사물로 주어진다는 바로 그 사태를 바탕으로 해서 이윽고 나의 시선이 성립한다는 것을 정확하게 인정해서 받아들이는 것이다. 마지막 넷째로, 나와 타인 간에 시선 교환 이 이루어지면서 서로에게서 사물성을 발견하는 바 사물성의 교환이 이루어진다는 것을 정확하게 인정해서 받아들이는 것이다. 소통은 결국 행동을 주고받는 것, 즉 행동의 교환이다. 행동은 항상 상황 속에서 이루어지며 그 바탕은 몸 전반의 감각 과 운동이다. 그래서 행동의 교환은 곧 감각의 교환이자 운동의 교환이다. 거기에 시선의 교환과 더불어 몸들 간의 사물성의 교환이 매설되어 있음은 말할 것도 없 다. 여기에서 우리는 소통 자체가 또 하나의 행동임을 염두에 두고 있다. 행동을 통한 행동의 교환이 곧 소통인 것이다. 인간과 로봇 사이에 소통이 가능한가 하는 문제는 인간과 로봇의 관계가 소통 상황에 의한 것으로 간주될 수 있는가, 말하자 면 인간과 로봇 사이에 행동의 교환이 성립하는가, 즉 인간과 로봇 사이에 시선과 사물성의 동시적인 교환이 성립하는가 하는 문제로 연결된다. 또 이는 로봇의 동작 에서 상황인 행동이 발휘되는가 하는 문제로 압축된다. 로봇에게 나를 바라보면서 나를 사물로서 느낄 수 있는 시선의 힘을 최대한 강화하고 보장해 줄 때, 나는 로 봇과의 소통을 통해 새로운 방식으로 나를 사물로 느낄 수 있을 것이고, 그에 따라 새로운 방식으로 뭇 사물들과 공명할 수 있을 것이다. 중요한 것은 서로 간에 행동 을 통해 시선과 사물을 상호 동시적이고 등가적으로 교환을 할 수 있도록 해야 한 다는 점이다. 그럴 때 소통의 윤리적인 가치가 제대로 발생하고 작동할 것이기 때 문이다.



    목차 ( Index )

    1. 들어가는 말

    2. 타인·소통·행동·상황

    3. 타인으로서의 로봇

    4. 인간-로봇 간의 윤리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5
    389 5 과학 기술 사회 인공지능 분야의 기술융합맵 생성 및 국가 프로파일 분석/김현우 외 2017  68
    388 5 과학 기술 사회 국제 사이버보안 가이드라인 기반 의료기기 설계방안 / 조수진 외 2017  68
    387 5 과학 기술 사회 스마트 헬스케어 존을 활용한 개인 건강 정보 시스템의 설계 및 구현 / 이재익 외 2018  69
    386 5 과학 기술 사회 인간 정체성에 관한 사회문화적 패러다임의 체현으로서의 사이보그 : 다다 뉴맨에서 동시대의 혼성신체까지 / 최정은 2015  70
    385 5 과학 기술 사회 빅데이터의 안전한 활용을 위한 데이터 샌드박스에 관한 연구 / 김배현, 권영일 2018  70
    384 5 과학 기술 사회 자율주행차 소프트웨어의 결함과 법적 책임에 관한 고찰 2016  71
    383 5 과학 기술 사회 남성돌봄자 증가와 젠더질서의 역동 : 일본남성의 노인돌봄을 둘러싼 담론과 정책의 변화를 중심으로 / 지은숙 2017  71
    382 5 과학 기술 사회 인공지능의 표시에 대한 고찰 / 정진명 2019  71
    381 5 과학 기술 사회 정보화시대의 지능형로봇 연구동향 / 백문홍 외 2008  72
    380 5 과학 기술 사회 4차 산업혁명 시대에 있어 개인정보보호 관련 몇 가지 쟁점에 관한 고찰 / 차상육 2017  72
    379 5 과학 기술 사회 인공지능과 그 영향에 대한 과학적 이해 / 이경전 2017  73
    378 5 과학 기술 사회 중국의 과학기술보안규정과 대한민국 국가연구개발사업 연구보안제도 정책과의 비교 연구 / 강선준 외 2018  73
    377 5 과학 기술 사회 손잡고 따라가는 휴머노이드 로봇 제어기법 / 정유철, 한헌수 2009  74
    376 5 과학 기술 사회 독점금지법상 ‘지적재산권의 부당한 행사에 대한 가이드라인’의 개선방안 / 손진화 2009  75
    375 5 과학 기술 사회 사물인터넷 시대의 개인정보 보호의 과제 - 일본의 2015년 9월 개정 개인정보보호법을 중심으로 / 손영화 2017  75
    374 5 과학 기술 사회 치의학분야 3D 프린팅 기술이 적용된 의료기기의 인·허가전략과 과제/신은미, 양승민 2018  77
    373 5 과학 기술 사회 신체증강 기술과 덕 윤리 / 김광연 2018  77
    372 5 과학 기술 사회 휴머노이드 로봇 캐릭터 개발을 위한 디자인 가이드 라인 / 우명희 2004  78
    371 5 과학 기술 사회 4차 산업혁명을 선도하는 유럽의 인공지능(AI) 특허기술 / 조재신 2018  78
    370 5 과학 기술 사회 생체 인증에서의 프라이버시 보호 기술 /박희진, 이윤호 2018  7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