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29
발행년 : 2018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105601462 
의료 빅데이터를 활용한 강원도 사망 원인 및 특성 분석 

= Analysis of Mortality Cause and Properties using Medical Big Data in Gangwon

  • 저자[authors] 정대현(Dae-hyun Jeong),권오영(O-young Kwon),구영덕(Young-duk Koo)
  • 학술지명[periodical name]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권호사항[Volume/Issue] Vol.18No.9[2018]
  • 발행처[publisher] 한국콘텐츠학회
  • 자료유형[Document Type] 학술저널
  • 수록면[Pagination] 149-155
  • 언어[language] Korean
  • 발행년[Publication Year] 2018
  • 주제어[descriptor] 의료 빅데이터,사망률,상관분석,Medical Big Data,Mortality Rate,Correlation Analysis

초록[abstracts]
[의료정보의 급속한 발달로 인하여 막대한 의료 빅데이터 정보가 축적되고 있다. 이러한 의료 빅데이터는 고령화와 의료비의 가파른 상승을 해결하는데 중요한 자료로 활용될 가능성이 큰 분야이다. 특히 한국의 경우 전 국민대상 주민등록번호와 전산화된 이용 자료들을 기반으로 빅데이터를 활용할 수 있는 의료 인프라 측면에서는 다른 국가에 비해 우위를 점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국민건강보험공단 빅데이터 자료와 통계청 사망자 데이터를 활용하여 강원도의 사망자 분석 및 사망률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기 위해 상관분석을 수행한 후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분석 결과, 강원도 사망률과 관계된 주요 변수로는 자기지역병원 인프라 이용률, 소득수준, 고령화 및 인구 밀도 등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소득격차에 따른 불평등과 지역 의료 인프라 부족 등은 지역의 사망률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어, 지역 병원 인프라 개선 및 소득 수준 향상을 위한 지역별 맞춤형 정책지원이 필요하다. 본 연구의 결과는 의료 빅데이터를 활용하여 강원도민 사망자를 분석하고, 다양한 사회 지표와 상관분석을 통해 그 원인을 파악해 보았다는 점에서 연구의 의의가 있다.

Due to the rapid development of medical information, vast amounts of medical data are accumulating, and such medical data is highly likely to be used as an important data for solving the aging population and the rapid rise in medical cost. Especially in Korea, there are resident registration numbers and computerized usage data for all citizens, so it can be superior to other countries in terms of medical infrastructure that can utilize big data.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factors affecting the mortality and death rate of Gangwon using the Big Data and the National Statistical Office data centered on Kangwon province. As a result of analysis, major variables related to the mortality rate of Gangwon were hospital infrastructure utilization rate, income level, aging population and population density. Therefore, inequalities due to income disparities and insufficient local medical infrastructures were affecting the local mortality rate, and policy support was needed to improve the local hospital infrastructure and income level.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meaningful in that medical big data were used to analyze the deaths of people in Gangwon, and the causes of the deaths were analyzed through various social indicators and correlation analysis.]

목차[Table of content] 요약  Abstract  Ⅰ. 서론  Ⅱ. 방법론  Ⅲ. 분석결과  Ⅳ. 결론  참고문헌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6
389 5 과학 기술 사회 사물인터넷(IoT) 공통 플랫폼 구축에 따른 서비스 기반에 관한 연구 / 유홍택 2015  524
388 5 과학 기술 사회 나노기술과 나노아트의 융합 연구 / 오규운 2016  521
387 5 과학 기술 사회 국내외 인공지능형 로봇 개발 및 시장 현황 연구- 인공지능형 로봇청소기 사례를 중심으로/남미경 2010  520
386 5 과학 기술 사회 로봇과 인공지능의 현황 및 전망 / 한재권 2016  518
385 5 과학 기술 사회 [브레인 영화관_엑스 마키나(Ex Machina)] 2045년, AI(인공지능)는 인간의 지능을 넘어선다/강만금 2015  509
384 5 과학 기술 사회 인공지능 왓슨 기술과 보건의료의 적용 / 이강윤, 김준혁 2016  503
383 5 과학 기술 사회 의료기기 재활로봇 (로봇보조정형용운동장치) 국내 허가ㆍ심사 가이드라인 개발/배영우 외 2018  494
382 5 과학 기술 사회 인공지능에 의한 판사의 대체 가능성 고찰 / 양종모 2018  479
381 5 과학 기술 사회 과학 기술이 인간을 진화시키고, 대체할 수 있을 것인가 / 김남욱 2018  479
380 5 과학 기술 사회 인간, 동물, 로봇 그리고 바이오필리아(biophilia)의 법 -에리히 프롬(Erich Fromm)의 사상을 중심으로 / 민윤영 2017  475
379 5 과학 기술 사회 감염병 대응 영향 요인 분석 : 사스(2003)와 메르스(2015)를 중심으로 / 이규명 2018  472
378 5 과학 기술 사회 트랜스휴먼 및 포스트휴먼 그리고 안드로이드(로봇)에 대한 형법상 범죄주체의 인정여부 / 송승현 2016  471
377 5 과학 기술 사회 ‘약한’ 인공지능과 ‘강한’ 인공지능의 구별의 문제 / 김진석 2017  469
376 5 과학 기술 사회 공학윤리와 전문직 교육- 미시적 접근에서 거시적 접근으로/손화철, 송성수 2007  465
375 5 과학 기술 사회 人工知能(로봇)의 법적 쟁점에 대한 試論的 考察 / 김윤명 2016  457
374 5 과학 기술 사회 체계적인 로봇윤리의 정립을 위한 로봇 존재론, 특히 로봇의 분류에 관하여 / 고인석 2012  455
373 5 과학 기술 사회 생체모방 로봇의 최신 동향/박종원, 이진이, 김수현 2012  455
372 5 과학 기술 사회 인공지능 로봇에 의한 행정과 국가배상책임제도에 관한 연구/ 이지헌 2018  454
371 5 과학 기술 사회 나노기술이 던지는 새로운 철학적 문제들에 대한 고찰 / 이중원 2016  449
370 5 과학 기술 사회 인공지능(AI)의 법인격 주체 가능성의 이론적 기틀에 대한 기초 연구 / 한희원 2018  44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