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29
발행년 : 2017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法學論文集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105034874 
여성스포츠선수의 인권보호에 대한 국제적 기준과 국내 이행에 따른 문제점 및 개선방안 : 성폭력과 관련하여 

= The Domestic Implementation of International Legal Measures of the Obligation to Protect Human Rights in Relation to Sexual Violence

  • 저자[authors] 권형둔(Kwon Hyung Dun)
  • 학술지명[periodical name] 法學論文集
  • 권호사항[Volume/Issue] Vol.41No.3[2017]
  • 발행처[publisher] 중앙대학교 법학연구원
  • 자료유형[Document Type] 학술저널
  • 수록면[Pagination] 267-298
  • 발행년[Publication Year] 2017
  • KDC[Korean Decimal Classification] 360
  • 주제어[descriptor] 스포츠성폭력,스포츠인권가이드라인,학습권보호,체육특기자,지도자자질검증,여성지도자양성,스포츠 그랜드 슬램,Sports sexual violence,Sports Grand Slam,Sports Human Rights Guideline,Elite athletes in sports,The rights to learn,Quality verification of the sports leader,Hiring of athletic coach based on gender equity

초록[abstracts] 
[Korea will be the sixth country in the world to complete the ‘Sports Grand Slam’. But problems related to fairness, which is the basic spirit of sports, are frequently occurring in Korea. Especially, problems related to sports sexual violence are constant. Sexual violence in sports are violations of human rights, regardless of cultural setting, that damage both individual and organisational health. Athletes are silenced by the sexual violence process, because sexual violence in sport stem from power relations and abuses of power. The risk of sexual violence is greater when there is a lack of protection, high perpetrator motivation and high athlete vulnerability. Therefore, based in its role of promoting and protecting the health of athletes, the IOC Medical Commission held a conference on “Sexual Harassment & Abuse in Sport” in October 2006 in Lausanne. It led to concrete measures to resolve sexual violence. Korean government and ‘National Human Rights Commission of Korea’ are also striving to eradicate sexual violence against female athletes. There are already proper legislative measures. The present condition of sexual violence in sports cannot be identified due to the closed-off nature in the field of sports. There have not been any special countermeasures devised against sexual violence in sports. Here is a limitation in the prevention of sexual violence in sports.In this study, I tried to understand the structural peculiarities of sports system and to take fundamental measures. As you can see from this study, domestic law for sexual violence is being implemented to comply with international standards. However, for the prevention of sexual violence in sports, the subordinate regulations must include all details and provide clear criteria. Everyone in sport also shares the responsibility to identify and prevent sexual violence and to develop a new culture in sport. Sport organisations, in particular, should demonstrate strong leadership in identifying and eradicating sexual violence. But now it must eliminate structural and environmental problems that cause sexual violence. It is extremely important that we work with the following to ensure that those matters are resolved. First, the Government and Metropolitan and Provincial Offices of Education need to be talking about the right to learn of student athletes. The right to learn is the most effective solution of sexual violence. And it is necessary for their character building, because all sportsman live as a member of society later. State and local government should fulfil its basic obligations. Second, the current player selection system in university sports should be reformed. The player selection was originally performed to select excellent elite student athletes in sports. Today, we know that there have been a number of problems such as the right to lear, violence and sexual violence and irregularities in the entrance examination. It need to improve plan of admission for student athletes. Third, the qualities of the sports leader must be strengthened because human rights violations against athletes are related to leaders. Fourth, it is necessary for institutional plans for hiring of athletic coach based on gender equity. We can adopt actively the policy of “Affirmative Action” in woman sports team. All sport organisations should develop policies and procedures for the prevention of sexual violence and monitor the implementation of these policies and procedures. Finally, in order to solve the recent problems, the sports organizations, leaders and athletics need to reflect on true sports spirit and overhaul their ethical conscience.]

목차[Table of content] 
Ⅰ. 서론 Ⅱ. 여성 스포츠 선수에 대한 국제적 인권보장의 기준 Ⅲ. 국내에서 여성스포츠 선수인권보호에 대한 법제도와 문제점 Ⅳ. 개선방안 Ⅴ.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5
369 5 과학 기술 사회 인공지능(AI : Artificial Intelligence)시대, 보건의료 미래 전망 / 김형수 외 2017  434
368 5 과학 기술 사회 인공지능과 철인통치 ― 인공지능(AI)을 활용한 플라톤의 ‘이상 국가(Kallipolis)’ 속 ‘... / 송석현 2018  431
367 5 과학 기술 사회 포스트휴먼 시대 인간과 비인간 타자의 관계에 대한 비판적 고찰 : 영화 『그녀』 를 중심으로 /송은주 2018  429
366 5 과학 기술 사회 지구적 생명정치와 위험의 개인화 : OIE의 BSE 위험 관리를 중심으로 / 하대청 2013  423
365 5 과학 기술 사회 4차 산업혁명과 보험상품 개발 / 김석영, 이선주 2016  407
364 5 과학 기술 사회 생명과학연구의 규제에 있어 시민참여와 사회적 합의의 역할에 관한 연구 : 우리나라 이종이식연구를 중심으로 / 모효정 2010  406
363 5 과학 기술 사회 4차 산업혁명과 안전보건 / 권혁면 2016  400
362 5 과학 기술 사회 인공지능(AI) 기반 로봇 의료기기의 활성화 방안 연구 / 오세정 2019  396
361 5 과학 기술 사회 나노바이오 기술을 이용한 표적지향성 유전자치료제 개발 / 윤채옥 2008  389
360 5 과학 기술 사회 인공지능(AI) 시대의 법적 과제 / 손영화 2016  389
359 5 과학 기술 사회 생물학적 접근을 통한 웨어러블 아트의 발전 가능성 연구 / 김계옥 2017  388
358 5 과학 기술 사회 게놈-지놈 논쟁으로 본 생명과학 용어 연구 : 생명과학 용어 표준화 과정에서 생명과학자의 위상변화를 중심으로 / 김민정 2012  387
357 5 과학 기술 사회 인공지능에 관한 저작권법적 쟁점 연구 / 유민지 2017  386
356 5 과학 기술 사회 컴퓨터가 할 수 있는 것'에 관한 지식사회학적 고찰 / 권기석 2000  385
355 5 과학 기술 사회 우리 삶을 바꿀 2045년 미래로봇 /강철구 외 2015  375
354 5 과학 기술 사회 유럽연합과 독일의 개인정보보호법의 비판적 수용을 통한 우리나라의 개인정보보호법의 입법개선을 위한 소고 / 임규철 2018  375
353 5 과학 기술 사회 로봇이 책임과 권한의 주체일 수 있는가/고인석 2012  367
352 5 과학 기술 사회 한국형 원격의료 도입 및 활성화를 위한 빅데이터 활용방안에 관한 연구 / 조한나 2017  365
351 5 과학 기술 사회 생명공학과 관련된 사회적 쟁점에 대한 중학생들의 가치판단 및 의사결정 과정에서 드러난 가치 적용 방식 유형 / 주인애, 이현주 2013  363
350 5 과학 기술 사회 인간과 인공지능 커뮤니케이션 상호작용 : 미디어 심리학 관점에서 인공지능 이용에 관한 논의 / 오예정 2018  36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