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29
발행년 : 2018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관련링크 : http://www.dbpia.co.kr/Article/NODE07483197 
영화의 시사고발 재현, 정치 및 사회문화적 맥락의미 

= Investigative Reporting, Representation and Their Political, Sociocultural and Contextual Meaning in Film 〈The Whistleblower〉

  • 저자[authors] 강혜수(Hye-Soo Kang)
  • 학술지명[periodical name]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 권호사항[Volume/Issue] Vol.12No.4[2018]
  • 발행처[publisher]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
  • 자료유형[Document Type] 학술저널
  • 수록면[Pagination] 89-103
  • 언어[language] Korean
  • 발행년[Publication Year] 2018
  • 주제어[descriptor] Film 〈The whistleblower〉,Investigative reporting,Representation,Hwang Woo Suk,PD Journalism,영화 〈제보자〉,시사고발,재현,황우석,PD저널리즘

초록[abstracts] 
[본 연구는 영화를 통한 시사고발의 재현이 가지는 정치 및 사회문화적 맥락의미를 고찰하고자 하였다. ‘2005년 황우석 박사의 줄기세포 논문조작사건’을 모티프로 재현한 영화 〈제보자〉에서 재현소재가 어떻게 재현되는지 분석하고자 통합체(주요사안을 중심으로 서사구조 파악), 계열체(등장인물간의 갈등, 대립관계 파악), 행위주 모델의 기호학적 분석을 통해 맥락의미와 이데올로기를 파악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첫째, 〈제보자〉는 기득권층의 권력유착 관계에서 사회의 윤리도덕, 정의구현이 붕괴되고 있는 모습이 재현되고 있고, 이에 대한 저항과 순응의 대립된 태도가 나타났다. 둘째, 〈제보자〉는 기득권층 권력유착 관계, 저널리즘의 공정성 논란, 과학의 상업성, 사회전반의 결과지상주의 등 한국사회의 정치 및 사회문화적 가치에 대한 회의적 관점을 함의하고 있다. 반면 사회 내의 도덕성, 윤리성, 진실성, 정직성, 양심은 강조되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셋째, 사회에 대한 저항 이데올로기가 나타나며, 맥락의미에서는 지배 이데올로기, 즉, 기득권층 권력유착 관계, 저널리즘의 공정성 논란, 과학의 상업성, 결과 지상주의 등에 대한 성찰적 관점을 내포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This study was to find out political, sociocultural and contextual meaning of investigative reporting representation through film. For this purpose, in film of 〈The whistleblower〉 was motifed from ‘Dr. Hwang Woo Suk’s Stem Cell Fabrication Scandal(2005)’ was to analyze representation of investigative reporting. 〈The whistleblower〉 were analyzed by semiotic analytic methods such as syntagmatic analysis method(grasp the entire narrative structure), paradigmatic analysis method(grasp the conflict or confrontation between the characters) and actantial models. Through this analysis, this study try to figure out contextual meaning and ideologies which these work connote. firstly, 〈The whistleblower〉 represents the collapse of ethics and justice in society through the adhesion power of vested authority, and it shows the opposing attitude of resistance and conformity. Secondly, 〈The whistleblower〉 implies a skeptical viewpoint on the political and sociocultural values of Korean society, especially, the adhesion power of vested authority, the controversy of journalism’s fairness, the commerciality of science, and consequentialism. On the other hand, 〈The whistleblower〉 emphasizes morality, ethics, truthfulness, integrity and conscience in society. Thirdly, 〈The whistleblower〉 shows a social resistance ideology, it is identified that the contextual meaning implies a reflective perspective of the dominant ideology of the adhesion power of vested authority, the controversy of journalism’s fairness, the commerciality of science, and consequentialism.]

목차[Table of content] ABSTRACT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결론  References  요약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5
369 5 과학 기술 사회 인공지능(AI : Artificial Intelligence)시대, 보건의료 미래 전망 / 김형수 외 2017  434
368 5 과학 기술 사회 인공지능과 철인통치 ― 인공지능(AI)을 활용한 플라톤의 ‘이상 국가(Kallipolis)’ 속 ‘... / 송석현 2018  431
367 5 과학 기술 사회 포스트휴먼 시대 인간과 비인간 타자의 관계에 대한 비판적 고찰 : 영화 『그녀』 를 중심으로 /송은주 2018  429
366 5 과학 기술 사회 지구적 생명정치와 위험의 개인화 : OIE의 BSE 위험 관리를 중심으로 / 하대청 2013  423
365 5 과학 기술 사회 4차 산업혁명과 보험상품 개발 / 김석영, 이선주 2016  407
364 5 과학 기술 사회 생명과학연구의 규제에 있어 시민참여와 사회적 합의의 역할에 관한 연구 : 우리나라 이종이식연구를 중심으로 / 모효정 2010  406
363 5 과학 기술 사회 4차 산업혁명과 안전보건 / 권혁면 2016  400
362 5 과학 기술 사회 인공지능(AI) 기반 로봇 의료기기의 활성화 방안 연구 / 오세정 2019  396
361 5 과학 기술 사회 나노바이오 기술을 이용한 표적지향성 유전자치료제 개발 / 윤채옥 2008  389
360 5 과학 기술 사회 인공지능(AI) 시대의 법적 과제 / 손영화 2016  389
359 5 과학 기술 사회 생물학적 접근을 통한 웨어러블 아트의 발전 가능성 연구 / 김계옥 2017  388
358 5 과학 기술 사회 게놈-지놈 논쟁으로 본 생명과학 용어 연구 : 생명과학 용어 표준화 과정에서 생명과학자의 위상변화를 중심으로 / 김민정 2012  387
357 5 과학 기술 사회 인공지능에 관한 저작권법적 쟁점 연구 / 유민지 2017  386
356 5 과학 기술 사회 컴퓨터가 할 수 있는 것'에 관한 지식사회학적 고찰 / 권기석 2000  385
355 5 과학 기술 사회 우리 삶을 바꿀 2045년 미래로봇 /강철구 외 2015  375
354 5 과학 기술 사회 유럽연합과 독일의 개인정보보호법의 비판적 수용을 통한 우리나라의 개인정보보호법의 입법개선을 위한 소고 / 임규철 2018  375
353 5 과학 기술 사회 로봇이 책임과 권한의 주체일 수 있는가/고인석 2012  367
352 5 과학 기술 사회 한국형 원격의료 도입 및 활성화를 위한 빅데이터 활용방안에 관한 연구 / 조한나 2017  365
351 5 과학 기술 사회 생명공학과 관련된 사회적 쟁점에 대한 중학생들의 가치판단 및 의사결정 과정에서 드러난 가치 적용 방식 유형 / 주인애, 이현주 2013  363
350 5 과학 기술 사회 인간과 인공지능 커뮤니케이션 상호작용 : 미디어 심리학 관점에서 인공지능 이용에 관한 논의 / 오예정 2018  36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