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29
발행년 : 2018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한국언론정보학보 
관련링크 : http://www.dbpia.co.kr/Article/NODE07514882 
AI는 왜 여성의 목소리인가?

= Why Do VoiceᐨActivated Technologies Sound Female? : Sound Technology and Gendered Voice of Digital Voice Assistants

  • 저자[authors] 이희은(Hee?Eun Lee)
  • 학술지명[periodical name] 한국언론정보학보
  • 권호사항[Volume/Issue] Vol.90No.-[2018]
  • 발행처[publisher] 한국언론정보학회
  • 자료유형[Document Type] 학술저널
  • 수록면[Pagination] 126-153
  • 언어[language] Korean
  • 발행년[Publication Year] 2018
  • 주제어[descriptor] 사운드 연구,목소리,테크놀로지,젠더,스마트 스피커,음성인식장치,sound studies,voice,technology,gender,smart speaker,voice assistant

초록[abstracts]
[최근 인간의 목소리로 작동하는 소위 ‘인공지능’ 음성인식장치들이 상용화되면서, 디지털 환경에서 구성되는 인간과 테크놀로지의 관계가 새로운 사운드 정경을 형성하고 있다. 이 논문은 미디어와 테크놀로지의 인간 목소리 구현 기술을 살펴봄으로써, 역동적으로 변화하고 있는 인간과 기계의 관계를 문화적인 관점에서 고찰하고자 한다. 특히 기계장치로 구현된 사운드가 단순한 물질적 대상이 아니라 문화적이고 역사적인 구성체임을 설명하기 위해, 최근의 음성인식장치에서 나타나는 젠더화된 사운드의 문제를 중점적으로 살핀다. 먼저 테크놀로지와 문화연구에서 ‘사운드’가 왜 중요한지 논의하고, 인간과 기계가 사운드의 측면에서 맺는 젠더 관계를 살펴본 후, 젠더화가 진행되는 소리의 정경에 대한 문화적인 논의를 한다. 현재 우리의 일상에 스며든 기계의 목소리가 대부분 여성의 목소리 혹은 여성성을 재현하는 목소리라는 점은 중요하다. 음성인식장치 테크놀로지는 유비쿼터스 환경의 핵심으로 향해가는 과정이지만, 인간과 기계와의 관계, 그리고 테크놀로지와 젠더의 문제를 드러내는 문화적인 주요 국면이기도 하다.

Attention to the sound as a cultural domain of critical inquiry has increased recently in media and cultural studies, philosophy of technology as well as arts. Sound, particularly the digitally multimediated voice, becomes a part of our corporeal experiences and a conceptually vexing yet productive category. The world is about to start sounding even more feminine, as smart speakers such as Siri pop up to be effective and affective interfaces. The voice mediated by the AI supported speakers in turn shape the already gendered social and cultural spaces. Three central themes emerge from the ways in which our soundscapes are getting gendered technologically: domestication, personalization, and invisibility. These recurring themes in ubiquitous environment lead us to reconsider the interstices between technology and gender.]

목차[Table of content] 
1. 문제 제기  2. 사운드연구에서 소리 테크놀로지와 인간의 관계  3. 음성인식장치: 테크놀로지와 인간의 관계  4. 젠더화된 소리의 테크놀로지  5. 맺으며  참고문헌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8
429 5 과학 기술 사회 의료 데이터 허브 구축을 위한 법제도 개선 방향 / 이규철 2018  34
428 5 과학 기술 사회 [제402회 과학기술정책포럼] 미래사회 변화를 선도할 핵심기술 / 이세민 2016  36
427 5 과학 기술 사회 인공지능에 대한 주요국의 대응전략 및 한국의 정치발전을 위한 제언 / 박종선 2017  36
426 5 과학 기술 사회 Direct-To-Consumer 광고 판매언설에 관한 연구 / 김춘애 2006  36
425 5 과학 기술 사회 소비자 맞춤형 삼차원 프린팅 서비스 플랫폼 개발을 위한 탐색 / 이국희 2017  37
424 5 과학 기술 사회 의료 데이터 허브 구축을 위한 법제도 개선 방향 - 지정 토론문 / 박미정 2018  41
423 5 과학 기술 사회 4차 산업혁명시대 개인정보권의 법리적 재검토 / 정하명 2017  43
422 5 과학 기술 사회 인공지능 의료기기 위험관리를 위한 규범론적 접근 - 인공지능 소프트웨어 규범화 논의를 중심으로 / 김재선 2017  44
421 5 과학 기술 사회 박근혜-최순실 게이트로 드러난 줄기세포 문제, 그 뿌리를 찾아서 / 최규진 2017  45
420 5 과학 기술 사회 부산광역시 e-응급서비스시스템 인프라 구축 / 김형회 외 2008  45
419 5 과학 기술 사회 유전자 선별 시대에 분배정의의 실현을 위한 선교적 과제 - 기독교평등공동체 구현을 위한 선교를 중심으로 / 김광연 2017  47
418 5 과학 기술 사회 개인정보 침해 관련 정보 제공 서비스 사용 의도 분석 / 김택영 외 2018  48
417 5 과학 기술 사회 「개인정보 비식별 조치 가이드라인」 개선 방안 / 김세민 2017  49
416 5 과학 기술 사회 나노·소재기술개발사업의 연구자 인식조사 / 김태연 2016  50
415 5 과학 기술 사회 특집마당 : 3D 프린팅 기술의 바이오메디컬 응용 / 김완두 외 2014  51
414 5 과학 기술 사회 페이스북의 각 기능 이용이 개인 직무 성과에 미치는 영향 / 이승엽 2016  53
413 5 과학 기술 사회 ’17년 산업부 로봇 R&D 정책 방향 / 김경훈 2017  53
412 5 과학 기술 사회 『뉴로맨서』에 나타난 인공지능 윤리의식에 대한 연구 / 추재욱 2018  53
411 5 과학 기술 사회 빅데이터 환경에서 개인정보 제공 의도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 윤승욱 2018  53
410 5 과학 기술 사회 창조경제의 신산업 발전전략 모색을 통한 3D 프린팅 산업의 발전방안에 관한 연구 / 박현욱 2016  54